9. 인간 사리뿟따 / 친구와 친척들 사리뿟따 존자는 감사하는 마음과 친절, 남을 돕는 마음과 참을성 같은 훌륭한 성품 덕분에 출가자로서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깊은 교우관계를 많이 맺을 수 있었다. 그 중에 목갈라나와는 젊었을 때부터 친구이자 도반으로 아주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그 친분은 부처님의 말년 죽음.. 식진암(識盡庵)/사리뿟따 이야기 2011.01.22
8. 인간 사리뿟따 / 성냄이 없는 이 『법구경』 주석서(389-90)에는 이 상수제자의 또 다른 탁월한 성품이라 할 참을성과 너그러움을 잘 드러내주는 일화가 있다. 부처님께서 머물고 계시던 기원정사 근처에서 한 무리의 사람들이 "우리 존자께서는 참을성이 많으셔서 누가 모욕하고 때리더라도 도무지 화낼 줄을 모르신다." .. 식진암(識盡庵)/사리뿟따 이야기 2011.01.02
7. 인간 사리뿟따 / 도움을 주는 이 많은 비구 중에서도 사리뿟따는 남을 돕는 일에 탁월하였다. 「데와다하경(『상응부』 22:2)」에서 부처님께서는 "비구들이여, 사리뿟따는 현명하고 다른 비구들에게 도움을 주는 이다."라고 당신의 훌륭한 제자에 대해서 직접 말씀하고 계신다. 주석서에서는 이 말씀을 설명하면서 남을 .. 식진암(識盡庵)/사리뿟따 이야기 2010.12.26
6. 인간 사리뿟따 / 상수제자 부처님께서는 「대보시경(『장부』 14)」에서 아흔 한 겁 전의 위빳시 부처로부터 시작되는 여섯 과거불에 대해 상세한 이야기를 하고 계신다. 이분들이 누구며 이 세상에 나왔던 때는 언제며 어느 부족, 어느 계급 태생이고 얼마나 오래 살면서 교화하였는지 밝히신다. 그분들이 거느렸.. 식진암(識盡庵)/사리뿟따 이야기 2010.10.27
5. 법을 찾아서 /「본생경」에 나타난 사리뿟다 이 두 사람의 그 이후 행적에 관해서는 그 이상의 이야기가 없다. 하지만 생사 윤회를 거듭하는 동안 이 두 친구의 행로는 그들보다 훨씬 이전, 과거 스물 네 번째 부처님의 발아래 엎드려 최고의 부처가 되기를 서원했던 한 인물의 행로와 여러 차례 교차되고 있다. 이분이 바로 우리 시.. 식진암(識盡庵)/사리뿟따 이야기 2010.10.22
4. 법을 찾아서 / 숙세의 서원 위의 부처님 말씀은 불교 사상의 근본적인 교의를 분명히 나타내고 있다. 즉 현재의 우리 모습과 우리 생의 운명이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가 하는 것은 단순히 우리의 육체적 탄생으로 시작되는 금생이라는 짧은 기간에 우리가 무엇을 의도하고 무엇을 행했는가의 결과만이 아니라, 무시(.. 식진암(識盡庵)/사리뿟따 이야기 2010.08.04
3. 법을 찾아서 / 초년기 이 이야기는 인도의 라자가하(王舍城)에서 그다지 멀지 않은 곳에 있는 우빠띠사와 꼴리따라는 두 브라만 마을에서 시작된다. 때는 부처님께서 세간에 출현하시기 몇년 전이었다. 우빠띠사 마을에 사는 브라만의 아내 루빠사리(Ruupasari)라는 여인이 임신을 하게 되었다. 같은 날 꼴리따 .. 식진암(識盡庵)/사리뿟따 이야기 2010.07.21
2. 서 문 스리랑카의 절에 가면 부처님상 양옆에 두 나한상이 모셔져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그 나한상은 한쪽 어깨에 가사를 걸친 편단 우견(偏袒右肩) 차림으로 두 손을 합장하고 공경하는 자세로 서있다. 그들의 발치에서는 신심 깊은 신도들이 바친 꽃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이 두 분 나.. 식진암(識盡庵)/사리뿟따 이야기 2010.07.18
1. 목 차 열 넷 사리뿟따 이야기 Saariputta The Marshal of the Dhamma 냐나뽀니까스님지음 이 준 승 옮김 (The Wheel Publication No.90∼92)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Sri Lanka □ 들어가는 말 □ 법을 찾아서 …… 7 초년기 … 7 숙세의 서원 … 19 『본생경』에 나타난 사리뿟따 … 23 □ 인간 사리뿟따 …… 28 상수제.. 식진암(識盡庵)/사리뿟따 이야기 2010.07.18
질문 1: 완전히 소멸하는 것이 최종 목표란 말인가? 1. 마할리경의 전개 디가니까냐 제1권 계온품 제6경 마할리 경을 보다가 일어난 의문입니다. 마할리(릿차위의 웃탓다)가 세존께 여쭙기를 마할리는 세존의 제자들은 '삼매 수행의 실현을 위해서 세존 밑에서 청정범행을 닦습니까?라고 묻고 세존께서는 '그것이 아니다'라고 부정하시고 '.. 식진암(識盡庵)/그대는 무엇을 두고 '나'라고 하는가 2010.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