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後記: 탁발음식의 청정 경을 마치며,,, 탁발음식의 청정 경은 세존께서 라자가하에서 대나무 숲의 다람쥐 보호구역에 머무실 때, 사리뿟따 존자로부터 "요즈음 저는 자주 공(空)에 들어 머뭅니다."라고 함을 들으시고 '내가 요즈음 자주 공에 들어 머물리라.'라고 원한다면 그 비구는 이와 같이 숙고해야 한다."라고 하시면서 '.. 맛지마니까야(中部)/M151.탁발음식의청정경-탁발의청정 2020.01.18
20. 이와 같이 거듭거듭 반조하여 탁발음식을 청정하게 하는 것이다. 21. "사리뿟따여, 누구든지 과거세의 사문-바라문들이 탁발음식을 청정히 했다면, 그들은 모두 이와 같이 거듭거듭 반조해서 탁발음식을 청정하게 했다. 사리뿟따여, 누구든지 미래세의 사문-바라문들이 탁발음식을 청정하게 할 것이라면, 그들은 모두 이와 같이 거듭거듭 반조해서 탁발.. 맛지마니까야(中部)/M151.탁발음식의청정경-탁발의청정 2020.01.17
19. 18) 나는 명지와 해탈을 실현했는가? 20. 18] 나는 명지와 해탈을 실현했는가? "사리뿟다여, 다시 비구는 이와 같이 숙고해야 한다. '나는 명지와 해탈을 실현했는가?' 사리뿟따여, 만일 비구가 반조하여 ' '나는 명지와 해탈을 실현하지 못했다.'라고 안다면 그 비구는 명지와 해탈을 실현하기 위해 정진해야 한다. 사리뿟따여, .. 맛지마니까야(中部)/M151.탁발음식의청정경-탁발의청정 2020.01.17
18. 17) 나는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닦았는가? 19. 17] 나는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닦았는가? "사리뿟다여, 다시 비구는 이와 같이 숙고해야 한다. '나는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닦았는가?' 사리뿟따여, 만일 비구가 반조하여 ' '나는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닦지 못했다'라고 안다면 그 비구는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닦기 위해 정진해야 한다. .. 맛지마니까야(中部)/M151.탁발음식의청정경-탁발의청정 2020.01.17
17. 16) 나는 성스러운 팔정도[八支聖道]를 닦았는가? 18. 16] 나는 성스러운 팔정도[八支聖道]를 닦았는가? "사리뿟다여, 다시 비구는 이와 같이 숙고해야 한다. '나는 성스러운 팔정도[八支聖道]를 닦았는가?' 사리뿟따여, 만일 비구가 반조하여 ' '나는 성스러운 팔정도를 닦지 못했다'라고 안다면 그 비구는 성스러운 팔정도를 닦기 위해 정진.. 맛지마니까야(中部)/M151.탁발음식의청정경-탁발의청정 2020.01.17
16. 15) 나는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를 닦았는가? 17. 15] 나는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를 닦았는가? "사리뿟다여, 다시 비구는 이와 같이 숙고해야 한다. '나는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를 닦았는가?' 사리뿟따여, 만일 비구가 반조하여 ' '나는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를 닦지 못했다'라고 안다면 그 비구는 .. 맛지마니까야(中部)/M151.탁발음식의청정경-탁발의청정 2020.01.17
15. 14) 나는 다섯 가지 힘[五力]을 닦았는가? 16. 14] 나는 다섯 가지 힘[五力]을 닦았는가? "사리뿟다여, 다시 비구는 이와 같이 숙고해야 한다. '나는 다섯 가지 힘[五力]을 닦았는가?' 사리뿟따여, 만일 비구가 반조하여 ' '나는 다섯 가지 힘을 닦지 못했다'라고 안다면 그 비구는 다섯 가지 힘을 닦기 위해 정진해야 한다. 사리뿟따여, .. 맛지마니까야(中部)/M151.탁발음식의청정경-탁발의청정 2020.01.17
14. 13) 나는 다섯 가지 기능[五根]을 닦았는가? 15. 13] 나는 다섯 가지 기능[五根]을 닦았는가? "사리뿟다여, 다시 비구는 이와 같이 숙고해야 한다. '나는 다섯 가지 기능[五根]을 닦았는가?' 사리뿟따여, 만일 비구가 반조하여 ' '나는 다섯 가지 기능을 닦지 못했다'라고 안다면 그 비구는 다섯 가지 기능을 닦기 위해 정진해야 한다. 사.. 맛지마니까야(中部)/M151.탁발음식의청정경-탁발의청정 2020.01.17
13. 12) 나는 네 가지 성취수단[四如意足]을 닦았는가? 14. 12] 나는 네 가지 성취수단[四如意足]을 닦았는가? "사리뿟다여, 다시 비구는 이와 같이 숙고해야 한다. '나는 네 가지 성취수단[四如意足]을 닦았는가?' 사리뿟따여, 만일 비구가 반조하여 '나는 네 가지 성취수단을 닦지 못했다'라고 안다면 그 비구는 네 가지 성취수단을 닦기 위해 정.. 맛지마니까야(中部)/M151.탁발음식의청정경-탁발의청정 2020.01.17
12. 11) 나는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을 닦았는가? 13. 11] 나는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을 닦았는가? "사리뿟따여, 다시 비구는 이와 같이 숙고해야 한다. '나는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을 닦았는가?' 사리뿟따여, 만일 비구가 반조하여 '나는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을 닦지 못했다'라고 안다면 그 비구는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 맛지마니까야(中部)/M151.탁발음식의청정경-탁발의청정 2020.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