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지마니까야(中部)/M140.요소의 분석 경-존재와 벗어남 12

※後記: 요소의 분석 경을 마치며,,,

요소의 분석 경은 세존께서 마가다를 유행하실 때 라자가하에 도착하셔서 도공 박가와(가띠까라)를 찾아 가셔서 그의 작업장에서 하룻밤을 묵을 것을 청하셔서, 거기에 먼저 머물고 있던 출가한 선남자 뿍꾸사띠 존자에게 설하신 경입니다. ■ 왕이었던 뿍꾸사띠 선남자, 친구로부터 세..

11. 뿍꾸사띠 선남자의 죽음과 행처

33. 그러자 뿍꾸사띠 존자는 "참으로 스승께서 내게 오셨구나. 참으로 선서께서 내게 오셨구나. 참으로 정등각자께서 내게 오셨구나."라고 [생각하면서] 자리에서 일어나 한쪽 어깨로 옷을 입고서 세존의 발아래 머리를 조아려 엎드리고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저는 잘못..

10. '존재 벗음' _ '나'라는 병, 종기, 화살(空想, 헛된 생각)을 벗음 _ 고요함(寂靜) [6]

6] '존재 벗음' _ 4가지 토대에 굳게 서 공상(空想, 헛된 생각)이 일어나지 않음 _ 고요함(寂靜) 30. "'여기에 굳게 선 자에게 공상(空想, 허황된 생각)이 일어나지 않으며 공상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 때 고요한 성자(muni-santa)라고 한다.'라고 한 것은 무엇을 두고 설한 것인가?" 31. [존재 벗음 _ '나'라는 병, 종기, 화살를 벗음] "비구여, 1) '나는 있다.'라는 것은 공상(空想, 허황된 생각)이다. 2) '이것이 나다.'라는 것은 공상이다. 3) '나는 있을 것이다.'라는 것은 공상이다. 4) '나는 있지 않을 것이다.'라는 것은 공상이다. 5) '나는 물질을 가진 자가 될 것이다.'라는 것은 공상이다. 6) '나는 물질을 갖지 않은 자가 될 것이다.'라는 것은 공상..

9. '존재 벗음'의 토대 4) 고요함의 토대 _ 탐냄, 성냄, 어리석음의 고요함 [5-4]

28. 5-4] 고요함[upasama]의 토대 _ 탐냄, 성냄, 어리석음의 고요함 5-4-1] 탐욕이 고요해짐 "전에 그가 어리석었을 때 그는 탐욕과 열망과 욕망이 있었다. 이제 그것을 제거하고 그 뿌리를 자르고 그것을 야자수 줄기처럼 만들고 멸절시켜 미래에 다시는 일어나지 않게끔했다. 5-4-2] 성냄이 고요..

8. '존재 벗음'의 토대 3) 버림의 토대 _ 모든 집착을 놓아버림 [5-3]

27. 5-3] 버림[caga]의 토대 _ 모든 집착을 놓아버림 _ 재생의 근거를 멸절시킴 [5-3] "전에 그가 어리석었을 때 그에게는 재생의 근거가 있었고 거기에 빠졌다. 이제 그것을 제거하고 그 뿌리를 자르고 그것을 야자수 줄기처럼 만들고 멸절시켜 미래에 다시는 일어나지 않게끔 했다. 그러므로 ..

7. '존재 벗음'의 토대 2) '열반'이라는'진리'의 토대 _ 허황하지 않기 때문 [5-2]

26. 5-2] 진리[sacca]의 토대 "이런 그의 해탈은 진리에 확고하여 흔들림이 없다. 비구여, 허황한 법은 거짓이고, 허황하지 않은 열반은 진리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진리를] 구족한 비구는 최상의 진리의 토대를 구족한다. 비구여, 이것이 최상의 성스러운 진리이니 바로 허황하..

6. '존재 벗음'의 토대 1) 지혜(panna)의 토대 _ '이 모든 것의 소멸'에 대한 지혜 _ 6가지 요소를 꿰뚫어 앎 [5-1]

5-1] 통찰지[panna, 지혜]의 토대 _ 6가지 요소[dhatu]를 꿰뚫어 앎 _ '이 모든 것(모든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지혜 13. "비구여, 그러면 어떻게 통찰지를 소홀히 여기지 않는가? 이들 여섯 가지 요소들이 있으니 1) 땅의 요소, 2) 물의 요소, 3) 불의 요소, 4) 바람의 요소, 5) 허공의 요소, 6) 알음알..

4. '존재를 벗으려는 자'의 네 가지 토대[adhitthana] _ '존재 벗음(해탈·열반)'의 4가지 토대

11. 4] '존재를 벗으려는 자'의 네 가지 토대[adhitthana] - '존재 벗음(해탈·열반)'의 4가지 토대 [4] "비구여, '이 사람은 네 가지 토대[adhitthana]를 가지고 있다.'라고 한 것은 무엇을 두고 한 말인가? 1) 통찰지[panna]의 토대, 2) 진리[sacca]의 토대, 3) 버림[caga]의 토대, 4) 고요함[upasama]의 토대가 있..

3. '존재'_ 6가지 요소(界)로 구성되어, 6가지 감각장소(處)를 가지고, 18가지 추구(伺)를 함

8. 1] 여섯 가지 요소[界. dhatu] _ 드러난 이 모든 것(물질·정신현상)의 6가지 구성요소 [1] "비구여, '이 사람은 여섯 가지 요소[界, dhatu]로 이루어졌다.'라고 한 것은 무엇을 두고 한 말인가? 1) 땅의 요소[地界], 2) 물의 요소[水界], 3) 불의 요소[火界], 4) 바람의 요소[風界], 5) 허공의 요소[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