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가니까야(長部)/D4.소나단다경-계와 통찰지, 그 雙됨 21

不忘歌 4_소나단다경(D4)

제4경 소나단다경 무엇을 설하셨나 외모 태생 갖추고 만뜨라를 호지해도 살생 도둑 음행 거짓 술을 마신다면 외모 태생 베다 암송 무슨 소용 있는가 나머지 두 가지, 계(sila)와 지혜(panna) 제외하곤 바라문이라 할 수 없다 소나단다 답하였네 계(戒) 통해 지혜 청정, 지혜 통해 계 청정 계 있는 곳 지혜 있고, 지혜 있는 곳에 계가 있으며 계 가진 자 지혜 있고, 지혜 있는 자에겐 계가 있나니 손으로 손을 씻고 발로 발을 씻음 같아 이 세상은 계와 지혜 제일로 하노니 무엇이 그 계(sila)며 그 지혜(panna, 般若)인가? 1. 계를 구족함 법을 듣고 여래에게 믿음 가져 출가하여, 바른 행실과 행동영역 잘 갖추고 작은 허물 대해서도 두려움을 보면서 학습계목 받아 지녀 수행하나니, 유익한 몸과 말..

後記: 소나단다경을 마치며

소나단다경은 세존께서 앙가 지역을 유행하시다가 짬바의 각가라 호수의 언덕에 머무실 때 그 지역에 정착해 있던 소나단다 바라문과 마침 다른 일로 거기 와 있던 500여명의 바라문들이 세존을 찾아 뵙는 것으로부터 시작합니다. 다른 바라문들은 명성이 떨어지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소나단다가 세존을 뵈러 가는 것은 적절하지 않고 세존께서 소나단다를 만나러 오는 것이 적절하지만 소나단다는 세존에 대한 존경의 마음이 있어 세존을 친견하러 갑니다. 하지만 소나단다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세존과 담론하면서 꿰뚫어 알지 못함이 드러나 창피를 당할까 조바심을 내고, 세존께서는 이를 아시고 그가 잘 대답할 수 있는 질문 즉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바라문이라고 인정하는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설하심을 시작하십니다. 소나단다는 1..

18. 통찰지(10∼17): 위빳사나의 지혜 ∼ 모든 번뇌를 소멸하는 지혜

23. (이어서) 1) "그가 이와 같이 1) 마음이 삼매에 들고, 2) 청정하고, 3) 깨끗하고, 4) 흠이 없고, 5) 오염원이 사라지고, 6) 부드럽고, 7) 활발발(活潑潑)하고, 8) 안정되고 흔들림이 없는 상태에 이르렀을 때 지(知)와 견(見)으로 마음을 향하게 하고 기울게 합니다. 그는 이와 같이 꿰뚫어 압니..

17. 통찰지(Paññâ,6∼9): 初禪 ∼ 四禪을 구족하여 머묾

23. (이어서) "바라문이여, 그와 마찬가지로 자신에게서 다섯 가지 장애가 제거되었음을 관찰할 때 환희가 생겨납니다. 환희로운 자에게는 희열이 생깁니다. 희열을 느끼는 자의 몸은 경안(輕安)합니다. 몸이 경안한 자는 행복을 느낍니다. 행복한 자의 마음은 삼매에 듭니다. 그는 감각적 ..

16. 통찰지(5): 다섯 가지 장애(五蓋)를 벗어남

23. (이어서) 1) "그는 세상에 대한 욕심을 제거하여 욕심을 버린 마음으로 머뭅니다. 욕심으로부터 마음을 청정하게 합니다. 2) 악의의 오점을 제거하여 악의가 없는 마음으로 머뭅니다. 모든 생명의 이익을 위하여 연민하여 악의의 오점으로부터 마음을 청정하게 합니다. 3) 해태와 혼침을..

15. 통찰지(4): 외딴 처소를 의지하여 수행함

23. (이어서) "그는 이러한 성스러운 계의 조목을 잘 갖추고, 이러한 성스러운 감각기능의 단속을 잘 갖추고, 이러한 마음챙김과 알아차림(正念正知)을 잘 갖추고, 이러한 (얻은 필수품만으로) 만족함을 잘 갖추어, 숲 속이나, 나무 아래나, 산이나, 골짜기나, 산속 동굴이나, 묘지나, 밀림이..

14. 통찰지(3): 필수품만으로 만족함

23. (이어서) "바라문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는 (얻은 필수품만으로) 만족합니까? 바라문이여, 여기 비구는 몸을 보호하기 위한 옷과 위장을 지탱하기 위한 음식으로 만족합니다. 어디를 가더라도 이것을 지키며 살아갑니다. 바라문이여, 예를 들면 새가 어디를 날아가더라도 자기 양 날..

13. 통찰지(2): 마음챙기고 알아차림

23. (이어서) "바라문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는 마음챙김과 알아차림(正念正知)을 잘 갖춥니까? 바라문이여, 여기 비구는 나아갈 때도 물러갈 때도 (자신의 거동을) 분명히 알면서(正知) 행합니다. 앞을 볼 때도 돌아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합니다. 구부릴 때도 펼 때도 분명히 알면서 ..

12. 통찰지/Paññâ (1): 감각기능의 단속을 구족함

23. (이어서) "바라문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는 감각의 대문을 잘 지킵니까? 바라문이여, 여기 비구는 눈으로 형상을 봄에 그 표상(全體相)을 취하지 않으며, 또 그 세세한 부분상(細相)을 취하지도 않습니다. 만약 그의 눈의 감각기능(眼根)이 제어되어 있지 않으면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