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사각지 (捨覺支 upekkhā) - 평온, 갈애를 꿰뚫어 일체를 여읨 Ⅶ. 사각지 (捨覺支 upekkhā) 마지막으로, 일곱 번째 깨달음의 요소는 ‘우뻬카(upekkhā)’, 즉 평온함[捨]이다. 아비담마에서는 우뻬카의 뜻을 ‘따뜨라맛잣따따(tatramajjhattatā)’, 즉 중립성이라는 말로 요약하고 있다. 이것은 정신적 평온함을 가리키지 쾌락주의에서의 무관심과 ..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5
6. 정각지 (定覺支 samādhi) - 집중, 心解脫과 慧解脫 VI. 정각지 (定覺支 samādhi) 여섯 번째의 깨달음 인자는 집중[定 samādhi]이다. 고요해진 마음만이 명상주제에 쉽게 집중할 수 있다. 고요하고 집중된 마음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본다. 집중통일된 마음은 다섯 가지 장애[五蓋 pañca nīvaranāni]를 정복해낸다. 정(定)은 마음의 안정..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5
5. 경안각지 (輕安覺支 passaddhi) - 몸(受蘊,想蘊,行蘊)의 고요함, 마음(識蘊)의 고요함 V. 경안각지 (輕安覺支 passaddhi) 잔잔함 또는 고요함, 즉 경안(輕安 passaddhi)譯19)이 깨달음의 다섯 번째 요소이다. * 경안 : 輕安 또는 除로 한역되듯 ‘빳삿디’에는 가뿐함, 제거함의 뜻이 있다. 경안에는 두 가지가 있다. ‘까야 빳삿디(身輕安 kāya passaddhi)’는 몸의 고요함이다. ..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5
4. 희각지 (喜覺支, pīti) - 청정의 길, 출세간의 참된 기쁨 IV. 희각지 (喜覺支 pīti) 네 번째의 깨달음 인자는 삐띠(pīti), 기쁨 또는 환희이다. 이것 역시 정신작용[心所]으로서 몸과 마음 양면에 두루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특성을 갖추지 못하고서는 깨달음을 향한 길을 계속해 나아갈 수가 없다. 이런 기쁨이 없으면 법이..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5
3. 정진각지 (精進覺支 viriya) - 굴복, 포기, 벗어나지 않고 청정과 깨달음의 길로 나아감 III. 정진각지 (精進覺支 viriya) 세 번째의 깨달음 인자는 정진력(viriya)이다. 이것 역시 마음에 부수해서 일어나는 정신작용[心所 cetasika]으로 성스러운 팔정도(八正道)의 여섯 번째 항목이며 거기서는 정정진(正精進 sammā-vāyāma)으로 불린다. 부처님의 생애를 살펴보면 그분께서..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5
2. 택법각지 (擇法覺支, dhammavicaya) - 법을 검토하여 스스로 증득함(自內證) II. 택법각지 (擇法覺支 dhammavicaya) 두 번째의 깨달음 인자는 법[dhamma]을 예리하게 검토하는 ‘택법(dhammavicaya)’이다. 이것은 사람이나 신의 세계를 형성하고 있는 모든 구성요소들의 진정한 성질을 이해하는 날카로운 분석적 지식이다. 이것은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즉 법으로 보는 것이..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5
1. 염각지 (念覺支 sati) - 마음챙김 I. 염각지 (念覺支 sati) 이제 칠각지의 각지들을 하나씩 다루어 보자. 첫 번째 각지, 즉 첫 번째 인자는 마음챙김[念 sati]이다. 마음챙김은 자제력을 키우는 데 가장 효과적인 수행법이고 또 마음챙김을 닦는 사람은 누구나 해탈의 길을 찾아내게 된다. 마음챙김에는 네 종류가 있는..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5
들어가는 말 불교 경전인 삼장에는 부처님께서 때와 장소에 맞추어 다양하게 설하신 깨달음의 인자[覺支]譯1)에 관한 법문들이 많이 들어 있다. 『상응부』5권 「대품」에는 ‘봇장가 상응’이라는 제목의 장(章)이 눈에 띄는데, 그 장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깨달음의 인자에 관해 부처님..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3
목 차 칠각지(七覺支) 깨달음의 일곱 가지 인자(因子) The Seven Factors of Enlightenment - Satta Bojjhaṅgā - PIYADASSI MAHA THERA 삐야닷시 스님 지음 전채린 옮김 (The Wheel Publication No. 1)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1980. Sri Lanka ▲ 차 례 들어가는 말 6 Ⅰ. 염각지 (念覺支) 18 Ⅱ. 택법각지 (擇法覺支) 23 Ⅲ..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