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계목을 일견하고,,, 위나야(Vinaya) 비구 227계목을 일견하게 된 이유 몇 가지가 있습니다. 언젠가는 봐야할 숙제와도 같은 것이었기도 합니다. 첫 번째로는 현실적인 이유입니다.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보시, 지계, 수행을 아야기 하는데, 보시는 계(戒)를 지키는 것보다는 쉽습니다. 보시는 내가 가진 것이 있.. Vinaya-비구 227계(戒)/출죄(出罪)와 포살 外 2015.08.17
포살과 자자 "대중이여, 들으시라. 오늘은 15일 포살일이니, 만약 대중에게 지장이 없다면 교단은 포살을 베풀고 계본(戒本)을 외리라. 무엇을 교단의 첫 행사라고 하는가? 여러 대덕이 몸의 청정함을 고백함이니, 나는 이제 계본을 읽으리라. 대중은 여기에서 잘 듣고, 잘 생각 할지어다. 만약 스스로 .. Vinaya-비구 227계(戒)/출죄(出罪)와 포살 外 2015.08.16
ĀPATTI DESANĀ (Confession) 1) 후배가 선배에게 참회할 때 Confession by Junior Monk Junior. Ahaṃ bhante sabbā āppatiyo avikkaromi. 후배(後輩) - 아항 반때 사빠 아빠띠요 아위까로미 저의 여러 가지 허물들을 말하겠습니다. 스님 Venerable Sir, I am disclosing all of my offences. Senior. Sādhu āvuso, sādhu, sādhu. 선배(先輩) -.. Vinaya-비구 227계(戒)/출죄(出罪)와 포살 外 2015.08.16
오와다 빠리목카 (Ovada Patimokkha)- Daily advice to bhikkhus ● Sabbapāpassa akaraṇaṃ (Abstaining from all evil.) 삽바빠빧싸 아까라낭 ☞ 일체의 악행을 저지르지 않고 ● Kusalassa upasampadā (Doing what is good.) 꾸살라싸 우빠삼빠다 ☞ 착한 공덕을 힘껏 행하며 ● Sacitta-pariyodapanaṃ (Cleansing one's mind.) 사찟따-빠리요다빠낭 ☞ 자기의 마음.. Vinaya-비구 227계(戒)/출죄(出罪)와 포살 外 2015.08.16
포살(布薩) PATTHANĀ(祈願文) Ekayano ayam bhikkhave maggo, 에카야노 아얌 비카베 마꼬 Sattanam visuddhiya, 사따남 위수띠야 Sokaparidevanam samatikkamaya, 소카빠리데바남 사마띠카마야 Dukhadomanassanam atthangamaya, 두카도마마싸남 아딴가마야 Ñayassa adhigamaya, 나야싸 아디가마야 Nibbanassa sacchikiriyaya. 니빠나싸 사치키리야야 Yadidam cattaro .. Vinaya-비구 227계(戒)/출죄(出罪)와 포살 外 2015.08.16
범계(犯戒)의 형태와 출죄(出罪)방법 There are 7 types of offences for the violation of Vinaya Rules. 1. Parajika 犯戒 4가지 Parajika 중에서 하나라도 犯하면 영원히 비구의 신분이 될 수 없 다. 어떤 방법으로도 치유되거나 出罪할 수 없다. 佛法을 대실(大失)하게 된다. The breach in any of the 4-Parajika Rules result in the termination of monkhood. Cannot be cured, .. Vinaya-비구 227계(戒)/출죄(出罪)와 포살 外 2015.08.16
Adhikarana Samatha 7계 (Ways of settling disputes) 이 계율은 승가에서 싸움, 분쟁, 논쟁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해결, 중재, 조정하기 위한 계율이다. These 7 Settlement Rules resolve, arbitrate, and quall any dispute, disagreement, or legal issue arising among the monks or sangha. 1. 쌍방을 출석시킴-in the presence of both parties(Sammukha Vinaya Settlement Rules). 문제에 해당된 비.. Vinaya-비구 227계(戒)/8. Adhikarana Samatha 7계 2015.08.15
7. 설법과 용변에 관한 戒 (Paduka Section/rules on preaching and disposal of excrements) 61. 비구는 샌달을 신고 있는 사람에게 설법해서는 안 된다. Must not must not preach anyone with sandals on. 62. 신발을 신고 있는 사람에게 설법해서는 안 된다. Must not preach anyone with shose on. 63. 수레 등 탈것을 타고 있는 사람에게 설법해서는 안 된다. Must not preach anyone on a vehicle. 64. 벤치나 침대에 누.. Vinaya-비구 227계(戒)/7. Sekhiya 75계 2015.08.15
6. 공양작법에 관한 戒 (Surusuru Section/rules on table manners) 51. 비구는 빨아먹는 소리를 내면서 공양해서는 안 된다. A monk must not eat making sucking sounds. 52. 공양하면서 밥 넣는 손을 핥아서는 안 된다. Must not lick one's feeding hand while eating. 53. 공양하면서 손가락으로 발우를 박박 긁어서 먹으면 안 된다. Must not eat by scraping the bowl with fingers. 54. 공양하면.. Vinaya-비구 227계(戒)/7. Sekhiya 75계 2015.08.15
5. 공양작법에 관한 戒 (Kabala Section/rules on table manners) 41. 비구는 음식을 입 가까이 가져오기도 전에 입을 크게 벌려서는 안 된다. A monk must not open his mouth wide when the food is not brought close to the mouth yet. 42. 먹고 있는 동안에 어떤 손가락이나 다섯 손가락 모두를 입 속에 넣어서 는 안 된다. Must not put all the 5 fingers, or any finger, into the mouth while eating... Vinaya-비구 227계(戒)/7. Sekhiya 75계 2015.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