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이것을 두고 일차대합송이라 한다. 70. 합송이 끝나자 대지는 바다 끝까지 여러 가지로 진동하였고, 여러 가지 경이로움을 드러내었다. 그것은 마치 '마하깟사빠 장로는 이것을 통해서 십력(十力)을 가지신 부처님의 교법을 5천 년 세월 동안 지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라고 환희심이 생겨서 '사 ∼ 두(善哉)'라고 칭송의 말.. 디가니까야(長部)/디가니까야주석서서문-일차대합송 2014.03.26
27. 7) 법의 무더기(法蘊)에 의해서는 8만 4천 가지 68. 어떻게 해서 법의 무더기(法蘊)에 의해서는 8만 4천 가지인가? 모든 부처님 말씀은 "8만 2천은 부처님으로부터 받은 것이고 2천은 비구들로부터 받은 것이니 나는 8만 4천 가지의 이러한 법들을 전개하노라."(Thag.92; 위 11) 이와 같이 법온을 통해서는 8만 4천 가지로 설명이 된다. 여기서 1).. 디가니까야(長部)/디가니까야주석서서문-일차대합송 2014.03.26
26. 6) 구성요소(分)에 의해서는 아홉 가지(九分敎) 67. 어떻게 구성요소(分, anga)에 의해서 아홉 가지(九分敎)인가? (삼장은) 모두 1) 경(經, sutta) 2) 응송(應頌, geyya) 3) 상세한 설명(別記, 授記, veyyakarana), 4) 게송(偈頌, gatha), 5) 감흥어(感興語, udana), 6) 여시어(如是語, itivuttaka), 7) 본생담(本生譚, jakata), 8) 미증유법(未曾有法, abbhutadhamma), 9) 문답.. 디가니까야(長部)/디가니까야주석서서문-일차대합송 2014.03.26
25. 5) 니까야에 의해서는 다섯 가지 64. 그러면 어떻게 해서 니까야(部)에 의해서는 다섯 가지인가? 이 모든 것은 1)「디가 니까야」(장부, 긴 경모음) 2)「맛지마 니까야」(중부, 중간 길이 경모음) 3)「상윳따 니까야」(상응부, 주제뱔 경모음) 4)「앙굿따라 니까야」(증지부, 숫자별 경모음) 5 「쿳다까 니끼야」(소부) 의 .. 디가니까야(長部)/디가니까야주석서서문-일차대합송 2014.03.26
24. 4-5) 삼장에 대한 능숙함을 얻기 위해서 49. 이와 같이 안 뒤에 다시 이 삐따까들에 대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능숙함을 드러내기 위해서 1) ① 가르침과 ② 교법과 ③ 설명의 구분에 따라 삼장에 대해 적절하게 밝히고 2) ① 공부지음과 ② 버림과 ③ 심오함을 밝힌다. 3) 교학에 따른 구분에는 ① 성취와 ② 재난이 있나니 비구가 얻.. 디가니까야(長部)/디가니까야주석서서문-일차대합송 2014.03.26
23. 4-4) 장(藏, 삐따까, Pitaka)에 대하여 48. 그리고 여기서 다 적용되어 나타나는 (삐따까)에 대해서는 삐따까(藏)의 의미에 능통한 자들은 말하기를 삐따까는 교학을 분류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것을 한데 모아서 율 등으로 세 가지라고 알아야 한다. 교학(pariyatti)은 "삐따까(藏, 聖典)에 전해내려 온다고 해서 (받아들.. 디가니까야(長部)/디가니까야주석서서문-일차대합송 2014.03.26
22. 4-3) 논(論, 아비담마, Abhidhamma)에 대하여 46. 이제 아비담마(論)에 대해서는 여기서 1) 증장이 있고 2) 특징을 가졌고 3) 공경과 4) 한정과 5) 수승함을 설한 법들 이라고 해서 아비담마(論)라고 불린다. 여기서 참으로 'abhi-'라는 단어는 증장과 특징을 가짐과 공경과 한정과 수승함을 보여준다. 이 가운데서 1) "나에게는 극심한 괴로.. 디가니까야(長部)/디가니까야주석서서문-일차대합송 2014.03.26
21. 4-2) 경(經, 숫따, Sutta)에 대하여 45. 이제 경에 대해서는 1) 의미들을 드러내기 때문에 2) 잘 설해졌기 때문에 3) 산출하기 때문에 4) 방출하기 때문에 5) 경을 보호하기 때문에 6) 실 줄과 흡사하기 때문에 경이라 불린다. 1) 자신의 의미(attha)와 다른 의미 등으로 분류되는 의미들을 드러내기(sucana) 때문 이다. 2) 또한 여기서.. 디가니까야(長部)/디가니까야주석서서문-일차대합송 2014.03.26
20. 4-1) 율(律, 위나야, Vinaya)에 대하여 44. 이 가운데서 1) 다양하고 2) 특별한 방법이기 때문에 3) 그리고 몸과 마음을 길들이기 때문에 율의 의미에 능통한 자는 이것을 율이라고 부른다. 1) 여기서 다섯 가지「빠띠목카」의 암송인 빠라지까(바라이죄) 등과 일곱 가지 범계(犯戒)에 대한 「칸다까」의 논모와 (비구, 비구니) 위.. 디가니까야(長部)/디가니까야주석서서문-일차대합송 2014.03.26
19. 4) 삐따까(藏) - 율장, 경장, 논장에 의해서 세 가지 43. 어떻게 헤서 삐따까(藏)에 의해서 세 가지인가? 이 모든 부처님의 말씀은 율장과 경장과 논장의 세 가지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1] 여기서 일차 합송에서 합송되었거나 합송되지 않았거나 간에 모두를 한데 모이서 (합송한) 1) 두 가지 「빠띠목카」, 2) 두 가지 「위방가」(경분별), 3) 22.. 디가니까야(長部)/디가니까야주석서서문-일차대합송 201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