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가니까야(長部)/디가니까야주석서서문-일차대합송

19. 4) 삐따까(藏) - 율장, 경장, 논장에 의해서 세 가지

이르머꼬어리서근 2014. 3. 25. 23:59

 

43.

    어떻게 헤서 삐따까()에 의해서 세 가지인가?

 

    이 모든 부처님의 말씀은

    율장경장논장의 세 가지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1]

    여기서

    일차 합송에서 합송되었거나 합송되지 않았거나 간에  모두를 한데 모이서 (합송한)

 

    1) 두 가지 「빠띠목카」,

    2) 두 가지 「위방가」(경분별),

    3) 22가지 「칸다까」(犍道),

    4) 16가지 「빠리와라」(補遺) -

 

    이것을 율장(律藏)이라 한다.

 

 

 

    2]

    1)「범망경」(D1) 등 34가지 경의 결집이 「디가 니까야」(장부)이다.

    2)「근본문경」(根本門經,M1) 등 152가지 경의 결집이 「맛지마 니까야」(중부)이다.

    3)「격류를 건너는 경」(S1:1) 등 7,762가지 경의 결집이 「상윳따 니까야」(상응부)

       이다.

    4)「마음의 유혹에 대한 경」(A1;1) 등 9,757가지 경의 결집이 「앙굿따라 니까야

       (증지부)이다.

    5)「소송경」,「법구경」,「자설경」,「여시어경」,「숫다니빠따」,

       「천궁사」,「아귀사」,「장로게」,「장로니게」,「본생담」,

       「의석」, 「무애해도」,「전기」,「불종성」,「행장」

          의 15가지 분류가 「쿳다까 니까야 」(소부)이다.

 

    이것을 경장(經藏)이라 한다.

 

 

 

    3]

    1)법집론」(法集論, Dhammasangani),

    2)분별론」(分別論, Vibhanga),

    3)계론」(界論, Dhatukatha),

    4)인시설론」(人施設論, Puggalapannatti),

    5)논사」(論事, Kathavatthu),

    6)쌍론」(雙論, Yamaka),

    7)발취론」(發趣論, Patthana) -

 

    이것을 논장(論藏)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