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그러면 어떻게 해서 니까야(部)에 의해서는 다섯 가지인가?
이 모든 것은
1)「디가 니까야」(장부, 긴 경모음)
2)「맛지마 니까야」(중부, 중간 길이 경모음)
3)「상윳따 니까야」(상응부, 주제뱔 경모음)
4)「앙굿따라 니까야」(증지부, 숫자별 경모음)
5 「쿳다까 니끼야」(소부)
의 다섯 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1) 디가니까야
이 가운데 어떤 것이 「디가 니까야」(장부)인가?
세 가지 품(品, vagga)으로 결집된 「범망경」(D1)등의 34가지 경들이다.
34가지 경들이 세 가지 품으로 결집된
이것이「디가 니까야」이니 순서에 따라 첫 번째가 된다.
65.
그러면 왜 이것을 「디가 니까야」라고 부르는가?
긴 길이(digha-ppamanana)의 경들을 모아서 담고 있기 때문이다.
참으로 모아서 담고 있기 때문에 니까야(Nikaya)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나는 어떤 한 부류(nikaya, 무리)도 이 축생으로 태어난 생명들보다 더 다양한 것을
관찰하지 못한다."(S22:100/iii 152)라고 하셨다.
기어다니는 (축생의 부류), 진흙창의 더미라는 표현은 교법에서도 통용되고
세상에서도 통용된다.
「맛지마 니까야」등에 대해서도 니까야라는 단어의 뜻을 알아야 한다.
66.
2) 맛지마니까야
어떤 것이 「맛지마 니까야」(중부)인가?
중간 길이(majjhima-ppamana)를 가진 15품으로 결집된,
「근본을 가르치는 경」(M1) 등의 152가지 경들이다.
150가지 경들과 다시 두 개의 경이 15품으로 파악된 것이 「맛지마 니까야」이다.
3) 상윳띠니까야
어떤 것이 「상윳따 니까야」(상응부)인가?
「천신 상응」(S1) 등으로 설해진
「격류를 건넘에 대한 경」(S1:1) 등 7,762개의 경들이다.
7,000개의 경들과 700개의 경들과
2개의 경들이 주제별(相應)로 결집된 것이다.
4) 앗굿따라니까야
어떤 것이 「앙굿따라 니까야」(증지부)인가?
(주요 주제의 숫자가) 하나씩, 하나씩 증가하면서 설해진
「마음의 유혹에 대한 경」(A1:1) 등의 9,557개의 경들이다.
9,000개의 경들과 500개의 경들과
57개의 경들이 「앙굿따라 니까야」에 있는 숫자이다.
5) 쿳다까니까야
어떤 것이「쿳다까 니끼야」(소부)인가?
모든 율장과 논장과 앞에서 밝힌「쿳다까 니끼야」 등 15가지로,
네 가지 니까야를 제외한 나머지 부처님의 말씀이다.
「디가 니끼야」등 네 가지 니까야를 제외한
그 외의 부처님 말씀을 쿳다까 니까야라고 한다.
이와 같이 니까야에 의해서 다섯 가지이다,
'디가니까야(長部) > 디가니까야주석서서문-일차대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 7) 법의 무더기(法蘊)에 의해서는 8만 4천 가지 (0) | 2014.03.26 |
---|---|
26. 6) 구성요소(分)에 의해서는 아홉 가지(九分敎) (0) | 2014.03.26 |
24. 4-5) 삼장에 대한 능숙함을 얻기 위해서 (0) | 2014.03.26 |
23. 4-4) 장(藏, 삐따까, Pitaka)에 대하여 (0) | 2014.03.26 |
22. 4-3) 논(論, 아비담마, Abhidhamma)에 대하여 (0) | 201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