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naya-비구 227계(戒)/출죄(出罪)와 포살 外

오와다 빠리목카 (Ovada Patimokkha)- Daily advice to bhikkhus

이르머꼬어리서근 2015. 8. 16. 10:19

 

 

Sabbapāpassa akaraṇaṃ

 (Abstaining from all evil.)

  삽바빠빧싸 아까라낭

 

   일체의 악행을 저지르지 않고

 

 

 

Kusalassa upasampadā

 (Doing what is good.)

    꾸살라싸 우빠삼빠다

 

   착한 공덕을 힘껏 행하며

 

 

 

Sacitta-pariyodapanaṃ

 (Cleansing one's mind.)

     사찟따-빠리요다빠낭

 

    ☞ 자기의 마음을 청정히 하는 것

 

 

 

Etam Buddhāna Sāsanaṃ

 (This is the teaching of all the Buddhas.)

     에땅 붓다나 사사낭

 

    이것이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Khanti paramaṃ tapo titikkhā

 (Patience is the highest practice.)

     칸띠 빠라망 따뽀띠 띡카

 

     고통을 참고 견디는 데는 인욕심이 으뜸이요,

 

 

 

Nibbānaṃ paramaṃ vadanti Buddhā

 (Nibbāna is supreme, say the Buddhas.)

  닙바낭 빠라망 와단띠 붓다

 

    닙바나는 위없는 여래의 가르침

 

 

 

Nahi pabbajito parūpaghāti

 (A mendicant does not harm others.)

     나히 빱 바지또 빠루빠가띠

 

    출가자는 남을 해치지 말라

 

 

 

Samaṇo hoti paraṃ viheṭha yanto

 (A recluse oppresses no one.)

    사마노 호띠 빠랑 위헤타 얀또

 

   남을 해치거나 괴롭히는 자는 수행자가 아니다.

 

 

 

 

Anūpavādo anūpaghāto

 (Not insulting, not harming.)

  아누빠와도 아누빠가또

 

    욕설을 말고 살해도 말라.

 

 

 

Pātimokkhe ca saṃvaro

 (Restrained according to the moral code.)

     빠띠목케 짜 상와로

 

    계율을 잘 지켜 스스로 억제하라.

 

 

 

Mattaññutā ca bhattasmiṃ

 (Moderating in food, dwelling in solitude.)

  맛딴뉴따 짜 밧따스밍

 

   먹는 데 절제하고 고요한 곳에 머물며

 

 

 

Panthañ ca sayanāsanaṃ

 (Engaging in higher mental development.)

  빤딴 짜 사야나사낭

 

    높은 선정에 마음을 바쳐라.

 

 

 

Adhicitte ca āyogo Etaṃ Buddhāna sāsanaṃ

 (This is all teaching of the Buddha)

  아디찟떼 짜 아요고 에땅 붓다나 사사낭

 

    이것이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