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1-3. 삼보(三寶)/불법승(佛 法 僧) - 상가(僧) 상가의 원래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모임, 또는 공동체이다. 불교에서의 상가의 의미는 비구 즉, 걸식하는 승려들의 승단(僧團)을 말한다. 이 상가는 미얀마, 태국, 스리랑카, 캄보디아, 라오스 그리고 치타공(벵갈) 등에서 그 원래의 형태대로 지금도 존재하고 있다. 불교의 상가는 ..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1.16
Ⅰ-1-2. 삼보(三寶)/불법승(佛 法 僧) - 담마(法) 담마는 그 전체가, 붓다가 발견하고, 깨닫고, 선포한 해탈에의 가르침이다. 이 담마는 고대 인도어의 하나인 팔리어로 기록되어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며, 경(經), 율(律), 론(論) 삼장(三藏)의 형식으로 보존되어 있다. 율장이란, 사원의 질서에 대한 규범들을 내용으로 하는, 계율의..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1.16
Ⅰ-1-1. 삼보(三寶)/불법승(佛 法 僧) - 붓다(佛) 붓다 또는 깨달은 분 - 어원적 의미는 '아는 사람' 또는 '깨친 사람'- 이라는 명칭은 인도의 성자, 고타마라는 분에게 주어진, 존경의 뜻이 담긴 이름이다. 고타마는, 세상에 불교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 해탈의 법을 발견하고 세상 사람들에게 선포한 분이다. 고타마 붓다는 기..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1.16
목 차 I. 서 문 삼보(三寶) - 불법승(佛 法 僧) 1. 붓다(佛) 2. 담마(法) 3. 상가(僧) 세 가지 피난처[三歸依] 오계 (五戒) II. 네 가지 고귀한 진리(四聖諦) 1. '괴로움'의 고귀한 진리[苦聖諦] 1.1 괴로움의 고귀한 진리의 정의 1.2 다섯 가지 무더기(五蘊) 1.2.1 물질적 현상의 무더기(色蘊) 1.2.2 감수..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1.16
표 지 The Word of the Buddha An Outline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n the words of the Pali canon. Compiled, translated, and explained by Nyanatiloka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CEYLON 나냐틸로까 엮음 정원 옮김 위빳사나 카페 http://vipassana.buddhism.org/ 에서 퍼왔습니다. ((()))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1.16
7. 사각지 (捨覺支 upekkhā) - 평온, 갈애를 꿰뚫어 일체를 여읨 Ⅶ. 사각지 (捨覺支 upekkhā) 마지막으로, 일곱 번째 깨달음의 요소는 ‘우뻬카(upekkhā)’, 즉 평온함[捨]이다. 아비담마에서는 우뻬카의 뜻을 ‘따뜨라맛잣따따(tatramajjhattatā)’, 즉 중립성이라는 말로 요약하고 있다. 이것은 정신적 평온함을 가리키지 쾌락주의에서의 무관심과 ..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5
6. 정각지 (定覺支 samādhi) - 집중, 心解脫과 慧解脫 VI. 정각지 (定覺支 samādhi) 여섯 번째의 깨달음 인자는 집중[定 samādhi]이다. 고요해진 마음만이 명상주제에 쉽게 집중할 수 있다. 고요하고 집중된 마음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본다. 집중통일된 마음은 다섯 가지 장애[五蓋 pañca nīvaranāni]를 정복해낸다. 정(定)은 마음의 안정..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5
5. 경안각지 (輕安覺支 passaddhi) - 몸(受蘊,想蘊,行蘊)의 고요함, 마음(識蘊)의 고요함 V. 경안각지 (輕安覺支 passaddhi) 잔잔함 또는 고요함, 즉 경안(輕安 passaddhi)譯19)이 깨달음의 다섯 번째 요소이다. * 경안 : 輕安 또는 除로 한역되듯 ‘빳삿디’에는 가뿐함, 제거함의 뜻이 있다. 경안에는 두 가지가 있다. ‘까야 빳삿디(身輕安 kāya passaddhi)’는 몸의 고요함이다. ..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5
4. 희각지 (喜覺支, pīti) - 청정의 길, 출세간의 참된 기쁨 IV. 희각지 (喜覺支 pīti) 네 번째의 깨달음 인자는 삐띠(pīti), 기쁨 또는 환희이다. 이것 역시 정신작용[心所]으로서 몸과 마음 양면에 두루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특성을 갖추지 못하고서는 깨달음을 향한 길을 계속해 나아갈 수가 없다. 이런 기쁨이 없으면 법이..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5
3. 정진각지 (精進覺支 viriya) - 굴복, 포기, 벗어나지 않고 청정과 깨달음의 길로 나아감 III. 정진각지 (精進覺支 viriya) 세 번째의 깨달음 인자는 정진력(viriya)이다. 이것 역시 마음에 부수해서 일어나는 정신작용[心所 cetasika]으로 성스러운 팔정도(八正道)의 여섯 번째 항목이며 거기서는 정정진(正精進 sammā-vāyāma)으로 불린다. 부처님의 생애를 살펴보면 그분께서.. 식진암(識盡庵)/칠각지(七覺支) 2012.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