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 문
삼보(三寶) - 불법승(佛 法 僧)
1. 붓다(佛)
2. 담마(法)
3. 상가(僧)
세 가지 피난처[三歸依]
오계 (五戒)
II. 네 가지 고귀한 진리(四聖諦)
1. '괴로움'의 고귀한 진리[苦聖諦]
1.1 괴로움의 고귀한 진리의 정의
1.2 다섯 가지 무더기(五蘊)
1.2.1 물질적 현상의 무더기(色蘊)
1.2.2 감수작용의 무더기(受蘊)
1.2.3 표상작용의 무더기(想蘊)
1.2.4 형성작용의 무더기(行蘊)
1.2.5 인식작용의 무더기(識蘊)
1.2.6 인식작용의 의존에 의한 발생(緣起)
1.2.7 네 가지 무더기[四蘊]에 대한 인식작용의 무더기[識蘊]의 의존성
1.3 존재의 세 가지 특성(三法印)
1.4 세 가지 경고
1.5 윤회-生死의 반복
2. '괴로움의 발생'의 고귀한 진리(苦集聖諦)
2.1 '괴로움의 발생'의 고귀한 진리의 정의
2.2 모든 현상의 조건에 의한 발생
2.3 현재의 행위(業)의 결과
2.4 미래의 행위의 결과
2.5 의지작용으로서의 행위
2.6 행위의 상속자
3. '괴로움의 소멸'의 고귀한 진리(苦滅聖諦)
3.1 '괴로움의 소멸'의 고귀한 진리의 정의
3.2 모든 현상의 조건에 의한 소멸
3.3 열반
3.4 아라한
3.5 변하지 않는 것
4.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의 고귀한 진리(苦滅道聖諦)
4.0 두 가지 극단과 중도(中道)
4.0.1 여덟 가지 길
4.1.1 네 가지 고귀한 진리에 대한 앎
4.1.2 온전함(善)과 온전치 못함(不善)에 대한 앎
4.1.3 법의 세 가지 특성(三法印)에 대한 앎
4.1.4 부적절한 질문
4.1.5 다섯 가지 족쇄
4.1.6 이치에 맞지 않는 사유
4.1.7 자아에 대한 여섯 가지 견해
4.1.8 이치에 맞는 사유
4.1.9 수타원- 성인의 흐름에 들어선 사람
4.1.10 두 가지 正見
4.1.11 바른 이해(正見)와 다른 덕목과의 관계
4.1.12 모든 견해에서 자유로워짐
4.1.13 존재하는 현상의 세 가지 특성(三法印)
4.1.14 자아에 대한 견해(我見)
4.1.15 과거, 현재, 미래 그리고 자아
4.1.16 연기와 법
4.1.17 '자아'는 언어적인 표현에 불과
4.1.18 오온에 대한 무지
4.1.19 두 가지 극단과 중도(中道)
4.1.20 조건에 의한 발생(緣起)
4.1.21 업 - 윤회의 원인
4.1.22 업의 소멸
4.2.1 두 가지의 바른 사유
4.2.2 다른 덕목과의 관계
4.3.1 바른 언어의 정의
4.3.2 세간의 바른 언어와 출세간적 바른 언어
4.3.3 다른 덕목들과의 관계
4.4.1 바른 행위의 정의
4.4.2 세간의 바른 행위와 출세간의 바른 행위
4.4.3 다른 덕목들과의 관계
4.5.1 바른 생계의 정의
4.5.2 세간의 바른 생계와 출세간의 바른 생계
4.5.3 다른 덕목들과의 관계
4.6.1 바른 노력의 정의
4.7.0 『대념처경』 서언
4.7.1 몸에 대한 마음챙김 (身念處)
4.7.1.1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出入息念)
4.7.1.2 동작[行住坐臥]에 대한 마음챙김
4.7.1.3 분명한 앎(正知)
4.7.1.4 육체에 대해 싫어하는 마음을 일으킴(厭逆作意)
4.7.1.5 네 가지 요소(四大; 地水火風)에 대한 관찰
4.7.1.6 묘지에서의 아홉 가지 관찰 [부정관(不淨觀)]
4.7.1.7「몸에 대한 마음챙김」의 열 가지 이익
4.7.2 느낌에 대한 마음챙김[受念處]
4.7.3 마음에 대한 마음챙김 (心念處)
4.7.4 법에 대한 마음챙김 (法念處)
4.7.4.1 다섯 가지 덮개(五蓋)에 대한 마음챙김
4.7.4.2 다섯 가지 집착된 무더기(五取蘊)에 대한 마음챙김
4.7.4.3 여섯 가지 인식 기관과 인식 대상(六內外處)에 대한 마음챙김
4.7.4.4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七覺支)에 대한 마음챙김
4.7.4.5 네 가지 고귀한 진리(四聖諦)에 대한 마음챙김
4.7.4.6 네 가지 마음챙김의 이익 - 마음챙김 수행에 의한 깨달음의 보증
4.7.5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 [出入息念] (간추림)
4.7.5.1 호흡의 관찰
4.7.5.2 호흡의 관찰과 네 가지 마음챙김
4.7.5.3 호흡의 관찰과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
4.7.5.4 호흡의 관찰과 해탈의 성취
4.7.6 네 가지 마음챙김에 의한 열반의 성취
4.8.1 바른 마음집중의 정의
4.8.2 바른 마음집중의 대상·조건·향상
4.8.3 네 가지 마음집중[四禪]
III. 수행의 단계에서 팔정도의 점진적인 향상
1. 신심과 바른 사유(正思惟) - 2 번째 덕목
2. 계(戒) - 3, 4, 5 번째 덕목
3. 감각기관의 제어(正精進) - 6 번째 덕목
4. 올바른 마음챙김(正念)과 분명한 앎(正知) - 7 번째 덕목
5. 올바른 마음집중(正定) - 8 번째 덕목
6. 바른 이해(正見; 위빠사나) - 1번 째 덕목
7. 열반(涅槃)
8. 아라한
9. 청정한 범행(梵行)의 진정한 목적
※ 범례
[* ]의 문장은 냐나틸로카 스님의 보충설명
<역주>는 역자의 보충설명
'식진암(識盡庵) > 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Ⅰ-2. 세 피난처(三歸依) (0) | 2012.01.16 |
---|---|
Ⅰ-1-3. 삼보(三寶)/불법승(佛 法 僧) - 상가(僧) (0) | 2012.01.16 |
Ⅰ-1-2. 삼보(三寶)/불법승(佛 法 僧) - 담마(法) (0) | 2012.01.16 |
Ⅰ-1-1. 삼보(三寶)/불법승(佛 法 僧) - 붓다(佛) (0) | 2012.01.16 |
표 지 (0) | 2012.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