냐나틸로카 스님 이야기 (2) 스위스 불교 국가 별 불교 개요 2007/12/28 22:10 http://blog.naver.com/florajean/40045870198 Buddhism in Swiss 스위스는 유럽에서 불교도 2위국이다. 인구의 0.6%에 해당하는 35만명의 불교도를 가진 프랑스 다음으로 불교도가 많은 나라이다. 스위스는 영국과 맞먹는 불교도수를 가졌으며 독일이나 이태리보..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냐나틸로카 스님 이야기 (1) 유럽인들이 처음으로 불교를 접할 수 있었던 것은 불교 경전의 역경과 출판을 통해서였다. 불교인들의 목숨을 건 전법 활동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들의 말로 번역된 서적을 통해 비로소 부처님의 가르침을 만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여명기가 지나자 서구 불교에 새로운 변화..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Ⅲ-9. 청정한 범행(梵行)의 진정한 목적 "비구들이여, 청정한 범행의 목적은 재물, 명예, 명성을 얻는 것이 아니며, 계(戒), 정(定), 지견(知見)을 얻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흔들림이 없는 마음의 자유[不動의 心解脫; akuppaa cetovimutti]가 청정한 범행의 목적이며, 핵심이며, 궁극의 도달점이다." 『中部』29,『心材喩大經』MA I, ..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Ⅲ-8. 아라한 "비구들이여, '나는 있다'라는 생각은 허망한 생각이다. '이것은 나다'라는 생각은 허망한 생각이다. '나는 이렇게 될 것이다'라는 생각은 허망한 생각이다. '나는 이렇게 되지 않을 것이다'라는 생각은 허망한 생각이다. 허망한 생각은 병이며, 질병이고, 가시이다. 하지만 이러한 ..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Ⅲ-7. 열반(涅槃) "이와 같이 보는 그는 감각적인 욕망의 번뇌[慾漏]로부터 마음이 자유로워지고, 존재하고자 하는 번뇌[有漏]로부터 마음이 자유로워지고, 어리석음의 번뇌[無明漏]로부터 마음이 자유로워진다[解脫]. 마음이 자유로와 졌을 때, '자유로워졌다'라는 앎이 있고[解脫知見] '윤회는 끝..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Ⅲ-6. 바른 이해(正見: 위빠사나) - 1번 째 덕목 "그 어떠한 물질적인 것(色), 감수작용(受), 표상작용(想), 형성작용(行), 인식작용(識)이 있다하더라도 그 현상[法]들을 그는 영원하지 못한 것[無常], 괴로움[苦], 견고하지 못한 것, 질병, 가시, 고난, 짐, 적, 방해자, 실체가 없는 것[空], 무아(無我)라고 하는 관점에서 본다. 그리고 그는 이..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Ⅲ-5. 올바른 마음집중(正定) - 8 번째 덕목 "이러한 고귀한 실천(戒)의 덕목들과 고귀한 감각기관의 제어와 올바른 마음챙김(正念)과 분명한 앎(正知)을 잘 갖추고 그는 인적이 드문 조용한 곳(아란냐), 나무 아래, 산 속의 협곡, 산 속의 바위굴, 묘지, 나무가 울창한 숲, 노지(露地), 짚단을 쌓아놓은 곳과 같은 사람들의 왕래..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Ⅲ-4. 올바른 마음챙김(正念)과 분명한 앎(正知) - 7 번째 덕목 "그는 앞으로 나아갈 때나 뒤로 들아 갈 때도, 분명한 앎을 지니며, 앞을 볼 때나, 주위를 볼 때도 분명한 앎을 지니며, (팔다리를) 구부리거나 펼 때에도 분명한 앎을 지니며, (탁발을 하기 위해서) 가사(승복)를 수하고(옷을 입고), 발우를 들 때도 분명한 앎을 지니며, 먹고 마시고 ..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Ⅲ-3. 감각기관의 제어(正精進) - 6 번째 덕목 "그 비구는 눈[시각기관]으로 대상[色]을 볼 때, 전체적인 윤곽이나 세부적인 모습에 집착해서 그 대상을 보려고 하지 않는다. 만일 그가 눈을 제어하지 않은 상태로 (대상을 보고) 있다면, (그 대상에 대해) 탐착하거나 싫어하는 등의 온전하지 못한 마음 상태(不善法)가 생겨나게 ..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Ⅲ-2. 계(戒) - 3, 4, 5 번째 덕목 2.1 바른 행위[正業] "그는 이와 같이 출가하여 출가 수행자[比丘]가 익혀야 할 생활규정을 잘 지키며, 살생을 버리고 살생에서 멀리 떠나 있다. 몽둥이와 칼을 버리고 부끄러워하는 마음을 지니고, 동정심을 품으며, 모든 생명 있는 존재에 대해서 자비의 마음을 지니고서 지낸다.[..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