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진암(識盡庵) 400

Ⅲ-9. 청정한 범행(梵行)의 진정한 목적

"비구들이여, 청정한 범행의 목적은 재물, 명예, 명성을 얻는 것이 아니며, 계(戒), 정(定), 지견(知見)을 얻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흔들림이 없는 마음의 자유[不動의 心解脫; akuppaa cetovimutti]가 청정한 범행의 목적이며, 핵심이며, 궁극의 도달점이다." 『中部』29,『心材喩大經』MA I, ..

Ⅲ-6. 바른 이해(正見: 위빠사나) - 1번 째 덕목

"그 어떠한 물질적인 것(色), 감수작용(受), 표상작용(想), 형성작용(行), 인식작용(識)이 있다하더라도 그 현상[法]들을 그는 영원하지 못한 것[無常], 괴로움[苦], 견고하지 못한 것, 질병, 가시, 고난, 짐, 적, 방해자, 실체가 없는 것[空], 무아(無我)라고 하는 관점에서 본다. 그리고 그는 이..

Ⅲ-5. 올바른 마음집중(正定) - 8 번째 덕목

"이러한 고귀한 실천(戒)의 덕목들과 고귀한 감각기관의 제어와 올바른 마음챙김(正念)과 분명한 앎(正知)을 잘 갖추고 그는 인적이 드문 조용한 곳(아란냐), 나무 아래, 산 속의 협곡, 산 속의 바위굴, 묘지, 나무가 울창한 숲, 노지(露地), 짚단을 쌓아놓은 곳과 같은 사람들의 왕래..

Ⅲ-4. 올바른 마음챙김(正念)과 분명한 앎(正知) - 7 번째 덕목

"그는 앞으로 나아갈 때나 뒤로 들아 갈 때도, 분명한 앎을 지니며, 앞을 볼 때나, 주위를 볼 때도 분명한 앎을 지니며, (팔다리를) 구부리거나 펼 때에도 분명한 앎을 지니며, (탁발을 하기 위해서) 가사(승복)를 수하고(옷을 입고), 발우를 들 때도 분명한 앎을 지니며, 먹고 마시고 ..

Ⅲ-3. 감각기관의 제어(正精進) - 6 번째 덕목

"그 비구는 눈[시각기관]으로 대상[色]을 볼 때, 전체적인 윤곽이나 세부적인 모습에 집착해서 그 대상을 보려고 하지 않는다. 만일 그가 눈을 제어하지 않은 상태로 (대상을 보고) 있다면, (그 대상에 대해) 탐착하거나 싫어하는 등의 온전하지 못한 마음 상태(不善法)가 생겨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