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성냄 - 미워함 성냄이란 무엇인가. 노여워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마음에 들지 않은 대상과의 접촉에서 발생한다. 안팎의 거슬리는 현상들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가운데 미움과 노여움의 마음이 싹튼다. 거슬리는 현상에 대해 사라져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강할수록 그것의 지속에서 오는 내면의 ..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4.14
33. 탐냄 - 물듦 탐냄이란 무엇인가. 무언가를 가지거나 차지하려는 마음을 말한다. 이것은 즐겁거나 매혹적인 대상과의 접촉에서 발생한다. 우리는 주변의 끌리는 현상들을 마주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탐냄에 물든다. 실제로 탐냄의 원어는 빨리어(Pāli)로 라가(rāga)인데 이것은 ‘물들다’라는 뜻..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4.14
32. 출세간(出世間) 출세간(lokuttara)이란 무엇인가. 일체의 세간적(lokiya) 존재 양태를 벗어난 경지를 가리킨다. 범부 중생들은 탐냄과 성냄과 어리석음에 갇혀 자신들만의 특정한 존재 방식을 벗어나지 못한다. 지옥·아귀·축생·수라·인간·천상계 등이 그것이다. 육도윤회(六道輪廻)란 이러한 6가지 굴..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24
31. 세계의 구성 세계(世界, loka)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세간(世間)으로도 옮겨지는 이것은 우리 자신의 마음을 반영하여 여러 차원으로 나뉘어 설명된다. 우리가 마주하는 세계란 우리에게 해석된 결과로서의 세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계란 우리 자신의 정신적인 역량과 밀접한 상관관계에 놓이게 ..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24
30. 마음과 세계 - “마음의 원리가 참으로 모든 것을 지배한다” 마음(citta)은 무엇이고 세계(loka)란 무엇인가. 또한 이들의 관계는 어떠한가. 일반적으로 마음이란 대상(ārammaṇa)에 반응하여 일으키는 내면의 인식과 정서를 가리킨다. 그리고 세계란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 혹은 주변의 현상을 망라하여 일컫는 명칭이다. 서구적 사고에 친숙한 현..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24
29. 견해의 위험성 - 일체의 망상적 견해/잠재적 성향 견해(diṭṭhi)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그것은 왜 필요하며 또한 그 위험성은 무엇인가. 우리 인간은 동물들과 달리 견해를 지닌다. 험난한 인생의 여정에서 견해를 바로 세우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바른 견해는 우리로 하여금 나아가야 할 목적지를 분명히 해준다. 만약 옳고 그름에..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24
28. 무아(無我)의 가르침 무아(無我)란 무엇인가. ‘나’를 구성하는 육신(色)·느낌(受)·지각(想)·지음(行)·의식(識)의 5가지 경험적 요인들, 즉 오온(五蘊)이 ‘나’가 아니라는 의미이다. 또한 이들 모두가 ‘나의 것’도 아니고 ‘나의 자아’도 아니라는 뜻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다섯 요인을 우리 자..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5
27. 괴로움(苦)에 대한 가르침 괴로움(苦)이란 무엇인가. 우리의 존재 자체가 괴로움이라는 의미이다. ‘나’ 자신을 구성하는 육신(色)괴로움에 대한 가르침·느낌(受)·지각(想)·지음(行)·의식(識)의 5가지 경험적 요인들, 즉 오온(五蘊)이 그렇다는 것이다. 흔히 우리는 이러한 다섯 요인을 자기 자신으로 여기며 ..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5
26. 무상(無常)의 가르침 - “항상하지 않는다” 무상(無常)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항상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모든 것이 변화의 여정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우리는 나날이 변해가며 또한 새롭게 태어나고 죽어간다.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는 다르다. 현재의 ‘나’가 10년 후 혹은 100년 후까지 지속되지는 않는..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5
25. 철학과 불교 - 사유체계 vs 실존 혹은 진리 불교는 철학(哲學)인가. 많은 연구자들이 불교에 대해 철학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불교가 철학의 일종으로 해석될 여지는 많다. 붓다는 어느 종교가보다 철학적으로 뛰어난 면모를 보였고, 당시 유행했던 사상적 경향들을 두루 섭렵하였다. 또한 그의 가르침은 합리적 사고..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