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요가(yoga)와 불교 - 요가적 명상서 사마타·위빠사나 발전 요가(yoga)란 무엇인가. 고대 인도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수행 전통을 가리키는 말이다. 불교 또한 넓게 보아 요가적 흐름의 한 갈래로 귀속시킬 수 있다. 흔히 대승불교의 유식학파(唯識學派)를 일컬어 유가행파(瑜伽行派, yogācāra)라고도 부른다. 이것을 그대로 번역하면 ‘요가의..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3
23. 초기불교의 업(業) 초기불교에서는 업을 어떻게 보았는가. 인도철학사에 등장했던 다른 종교적 가르침들과 마찬가지로 초기불교 또한 업과 윤회를 인정했다. 사실 업과 윤회는 붓다의 가르침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업이란 몸과 말과 마음으로 짓는 행위를 일컫는 것으로, 바로 이것..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3
22. 자이나교의 업(業) 자이나교에서는 업을 어떻게 보는가. 자이나교는 초기불교와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던 개혁적 종교이다. 초기불교와 유사한 가르침을 펼쳤으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인도에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자이나교는 초기불교와 함께 바라문교의 권위주의에 맞섰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3
21. 제식주의의 업(業) 제식주의에서는 업을 어떻게 보는가. 초기불교가 출현하기 이전 고대 인도사회를 지배했던 바라문교에서는 제사의 실천을 매우 중요시하였다. 바라문교에서는 격식에 따라 잘 치른 제사는 반드시 거기에 상응하는 합당한 결과를 가져온다고 가르쳤다. 제사는 인간의 소망을 이루어주는..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2
20. 인도철학의 업(業) 업(業, karma)이란 무엇인가. 문자 그대로 옮기자면 행위(action)·일(work) 등이 된다. 인도철학 일반에서 업이란 “특정한 행위 혹은 결심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보적 힘”으로 정의된다. 예컨대 과거의 행위라든가 결심 따위가 현재 혹은 미래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일컬어 업 ..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2
19. 불교에서의 신(神) 불교는 무신론(無神論)인가. 흔히 불교를 일컬어 무신론적 색채가 강하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붓다는 신에 대해 어떻게 말했는가. 과연 그는 신을 완전히 부정했는가. 초기불교 경전에는 무시할 수 없는 빈도로 신들에 관한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깨달음 직후 붓다에게 설법을 간청했..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2
18. 힌두교와 불교 힌두교란 어떤 종교인가. 흔히 인도(India, Hindu)에 뿌리를 둔 다양한 신앙 형태의 복합체로 설명한다. 불교 또한 인도에서 출현하였다. 따라서 넓은 의미로 불교를 힌두교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일부 힌두교 추종자들은 붓다를 힌두교의 최고신인 비슈누(Viṣṇu)의 화신(..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2
17. 단멸론과 불교 단멸론(斷滅論)이란 무엇인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는 반드시 소멸하여 없어진다는 주장을 가리킨다. 특히 초기불교에서 문제시하는 단멸론은 죽음 이후의 삶을 부정하고서 업에 의한 지음과 받음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를 지칭한다. 이러한 주장은 무아(無我)의 가르침과 혼동을 일..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1
16. 숙명론과 불교 - 업에 따른 운명 비판…노력에 의한 변화 강조 불교는 숙명론인가. 불교에 대한 초보적인 오해 중의 하나가 숙명론이 아닐까 싶다. “뿌린 대로 거둔다”, “전생의 업보다”, “팔자는 못 속인다”는 따위의 말들이 이러한 오해를 부추긴다. 그러나 불교는 숙명론과 근본적으로 다르며, 오히려 숙명의 굴레를 벗어나는 데에 주력한다..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1
15. 쾌락주의와 불교 쾌락주의란 무엇인가. 쾌락을 인간 행위의 궁극 목적이자 도덕의 기준으로 삼는 사상적 경향을 가리킨다. 불교가 출현할 당시 일부 사상가들은 잘 먹고 잘 노는 것만이 인생의 유일한 목적이라고 주장했다. 짜르와까(Cārvāka) 혹은 로까야따(Lokāyata) 등으로 일컬어지는 그들은 현..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