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95

14. 범아일여와 불교 - 경험했다고 해서 지견에 빠지는 것이 바른 것일까?

범아일여(梵我一如)란 무엇인가. 우주적 자아인 브라흐만(Brahman)과 개체적 자아인 아뜨만(Ātman)이 동일하다는 가르침을 말한다. 불교가 출현할 무렵 일부 바라문교의 현인들은 변화하는 현상계 너머에 과연 무엇이 존재하는가의 문제에 천착해 들어갔다. 현상 세계의 번잡스러움과 덧..

13. 금욕주의와 불교 - 어떻게 의혹을 뛰어넘을 것인가?

금욕주의란 무엇인가. 세속적인 명예라든가 이익을 추구하는 따위의 욕심을 경계하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 이르려는 종교적·철학적 경향을 일컫는 말이다. 초기불교 또한 이러한 부류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초기불교의 전반적인 색채가 출세간의 금욕적 삶을 지향했다는 사..

12. 제식주의와 불교 - 세속적 욕망 좇는 의식으로서 제사 vs 참된 제사

제사란 불교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불교가 출현할 무렵 고대 바라문교는 인도 사회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바라문교의 실천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제사의례이다. 제사는 신(神) 혹은 초월적 존재에게 감사의 마음을 올리거나 은총을 구하고자 행해..

11. 바라문교와 불교 - 초월적 존재에 의존하는 바라문교 비판

불교와 비불교는 어떻게 구분될 수 있을까. 불교는 인도에서 출현했으며 당시 유행하던 여러 종교·사상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고대의 바라문교이다. 바라문교는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 전에 형성된 베다(Veda)라는 문헌에 근거한 종교이다. 바라문교의 계승자들은 이 ..

9. 초기불교와 그 이후의 불교 - '어떻게 괴로움의 끝'에서 ‘무엇이 법’으로 변화

초기불교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또한 초기불교와 그 이후 형성된 불교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붓다에 의해 직접 주도된 불교를 두고 우리는 흔히 초기불교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근본불교라는 이름을 더 선호한다. 또 다른 일부에서는 원시불교, 소승불교,..

8. 방일하지 말고(sati) 성취하라 - 마지막 가르침

붓다의 마지막 가르침은 어떠했을까. 그는 스스로의 임종을 어떻게 받아들였고 또한 어떤 자세로 임하였을까. 우리는 붓다의 마지막 모습에서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으며, 그가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수행을 해야 할까. 붓다의 최후는 우리에게 많은 생각거리를 제공한다. 붓다의 열반..

6. 그분은 무엇을 가르쳤는가? - 진리에 이르는 길, 戒·定(사마티, 止)·慧(위빠사나, 觀)

붓다는 무엇을 가르쳤을까. 그의 가르침은 과연 어떠한 특징을 지닐까. 붓다는 깨달음을 얻은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다음의 게송을 읊었다. “참으로 힘들게 성취한 진리, 왜 내가 가르쳐야 하는가. 탐욕과 분노에 사로잡힌 자들은 이 진리를 깨닫기 어렵네. 흐름을 거슬러가고 오묘하고 심오하고 미세한 진리를 보기 어렵네. 어둠에 싸여 탐욕에 물든 자들은 보지 못하네.” 이것을 읊고 나서 붓다는 전법(傳法)을 하지 않는 쪽으로 마음을 먹었다. 그는 그의 가르침이 다른 사람들에게 쉬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을 우려하였다. 그리고 그것으로 인해 또 다른 상처와 괴로움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자 하였다. 붓다는 그의 가르침을 받아들이는 데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 탐욕과 분노를 꼽고 있다. 이점은 그의 깨달음이 단순히 이지적 ..

5.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 붓다는 무엇을 깨달았는가?

붓다는 과연 무엇을 깨달았을까. 우리는 불교를 깨달음의 종교라고 말한다. 또한 불교는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 깨달음을 실현하고자 하는 사람들에 의해 오늘날에까지 전해져 내려왔다. 그렇다면 깨달음이란 도대체 무엇을 가리키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도달하고자 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