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결실(4) 제4선(四禪)을 구족하여 머묾 81. "대왕이여, 다시 비구는 행복도 버리고 괴로움도 버리고, 아울러 그 이전에 이미 기쁨과 슬픔을 소멸하였으므로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으며, 평온으로 인해 마음챙김이 청정한(捨念淸淨) 제4선(四禪)을 구족하여 머무릅니다. 그는 이 몸을 지극히 청정하고 지극히 깨끗한 마음으.. 디가니까야(長部)/D2.사문과경-출가의 결실 18가지 2011.12.18
19. 결실(3) 제3선(三禪)을 구족하여 머묾 79. "대왕이여, 다시 비구는 희열이 바래었기 때문에 평온하게 머물고, 마음챙기고 알아차리며(正念正知) 몸으로 행복을 경험합니다. (이 禪 때문에) 성자들이 그를 두고 '평온하고 마음챙기며 행복하게 머문다.'고 묘사하는 제3선(三禪)을 구족하여 머뭅니다. 그는 희열이 사라진 .. 디가니까야(長部)/D2.사문과경-출가의 결실 18가지 2011.12.18
18. 결실(2) 제2선(二禪)을 구족하여 머묾 77. "대왕이여, 다시 비구는 일으킨 생각(尋)과 지속적 고찰(伺)을 가라앉혔기 때문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자기 내면의 것이고, 확신이 있으며, 마음이 단일한 상태이고,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이 없고, 삼매에서 생긴 희열과 행복이 있는 제2선(二禪)을 구족하여 머무.. 디가니까야(長部)/D2.사문과경-출가의 결실 18가지 2011.12.18
17. 결실(1) 초선(初禪)을 구족하여 머묾 75. "대왕이여, 그와 마찬가지로 자신에게서 다섯 가지 장애가 제거되었음을 관찰할 때 환희가 생겨납니다. 환희로운 자에게는 희열이 생깁니다. 희열을 느끼는 자의 몸은 경안(輕安)합니다. 몸이 경안한 자는 행복을 느낍니다. 행복한 자의 마음은 삼매에 듭니다. 그는 감각적 욕.. 디가니까야(長部)/D2.사문과경-출가의 결실 18가지 2011.12.18
16.(6) 다섯 가지 장애(五蓋)를 벗어남 68. 1) "그는 세상에 대한 욕심을 제거하여 욕심을 버린 마음으로 머무릅니다. 욕심으로부터 마음을 청정하게 합니다. 2) 악의의 오점을 제거하여 악의가 없는 마음으로 머무릅니다. 모든 생명의 이익을 위하여 연민하여 악의의 오점으로부터 마음을 청정하게 합니다. 3) 해태와 혼침을 제.. 디가니까야(長部)/D2.사문과경-출가의 결실 18가지 2011.12.18
15.(5) 외딴 처소를 의지하여 수행함 67. "그는 이러한 성스러운 계의 조목을 잘 갖추고, 이러한 성스러운 감각기능의 단속을 잘 갖추고, 이러한 마음챙김과 알아차림(正念正知)을 잘 갖추고, 이러한 (얻은 필수품만으로) 만족함을 잘 갖추어, 숲 속이나, 나무 아래나, 산이나, 골짜기나, 산속 동굴이나, 묘지나, 밀림이.. 디가니까야(長部)/D2.사문과경-출가의 결실 18가지 2011.12.18
14.(4) 필수품만으로 만족함 66. "대왕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는 (얻은 필수품만으로) 만족합니까? 대왕이여, 여기 비구는 몸을 보호하기 위한 옷과 위장을 지탱하기 위한 음식으로 만족합니다. 어디를 가더라도 이것을 지키며 살아갑니다. 대왕이여, 예를 들면 새가 어디를 날아가더라도 자기 양 날개만을 짐으로 하여 날아가는 것과 같습니다. 대왕이여, 그와 마찬가지로 비구는 몸을 보호하기 위한 옷과 위장을 지탱하기 위한 음식으로 만족합니다. 어디를 가더라도 이것을 지키며 살아갑니다. 대왕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얻은 필수품만으로) 만족합니다." 디가니까야(長部)/D2.사문과경-출가의 결실 18가지 2011.12.18
13.(3) 마음챙기고 알아차림 65. "대왕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는 마음챙김과 알아차림(正念正知)을 잘 갖춥니까? 대왕이여, 여기 비구는 나아갈 때도 물러갈 때도 (자신의 거동을) 분명히 알면서(正知) 행합니다. 앞을 볼 때도 돌아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합니다. 구부릴 때도 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합니.. 디가니까야(長部)/D2.사문과경-출가의 결실 18가지 2011.12.18
12.(2) 감각기능의 단속을 구족 - 안으로 더렵혀지지 않는 행복을 경험함 64. "대왕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는 감각의 대문을 잘 지킵니까? 대왕이여, 여기 비구는 눈으로 형상을 봄에 그 표상(全體相)을 취하지 않으며, 또 그 세세한 부분상(細相)을 취하지도 않습니다. 만약 그의 눈의 감각기능(眼根)이 제어되어 있지 않으면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이라는 나쁘고 해로운 법(不善法)들이 그에게 (물밀듯이) 흘러들어 올 것입니다. 따라서 그는 눈의 감각기능을 잘 단속하기 위해 수행하며, 눈의 감각기능을 잘 방호하고 눈의 감각기능을 잘 단속하기에 이릅니다. 여기 비구는 귀로 소리를 들음에 그 표상(全體相)을 취하지 않으며, 또 그 세세한 부분상(細相)을 취하지도 않습니다. 만약 그의 귀의 감각기능(耳根)이 제어되어 있지 않으면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이라는 나쁘고 해로운 법(不善法)들이 .. 디가니까야(長部)/D2.사문과경-출가의 결실 18가지 2011.12.18
後記: 범망경(梵網經)을 마치며 범망경(梵網經)은 라자가하와 날란다 사이에 난 대로를 따라 유행승 숩삐야와 그의 제자 브라흐마닷다가 세존의 일행을 따라오면서 스승은 세존을 비방하고 제자는 칭송하는 말을 하면서 따라오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세존께서는 비방에 대해서 그리고 칭송에 대해서 어떻게 대처해야 .. 디가니까야(長部)/D1.범망경-62가지 견해의 그물 2011.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