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굿따라니까야3 248

A2.1.6 족쇄 경: 족쇄에서 달콤함을 보는 자/역겨움을 보는 자

1.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법이 있다. 무엇이 둘인가? 족쇄에 묶이게 될 법들에서 달콤함을 보는 것과 족쇄에 묶이게 될 법들에서 역겨움[厭惡]을 보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족쇄에 묶이게 될 법들에서 달콤함을 보면서 머무는 자는 탐욕을 버리지 않고 성냄을 버리지 않고 어리석음을 버리지 않는다. 그는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버리지 않아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과 근심·탄식, 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 절망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즉 괴로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나는 말한다. 2. "족쇄에 묶이게 될 법들에서 역겨움을 보면서 머무는 자는 탐욕을 버리고 성냄을 버리고 어리석음을 버린다.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버리고서는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과 근심·탄식, 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 절망에서 벗어난다. 즉..

A2.1.5 통찰했음 경: 불굴의 노력_살점과 피가 마르더라도

"비구들이여, 나는 두 가지를 통찰했나니, 그것은 바로 선법들에서 만족하지 않은 것과 굴하지 않는 노력이다. 비구들이여, 나는 불굴의 노력을 하였다. '피부와 힘줄과 뼈가 쇠약해지고, 몸에 살점과 피가 마르더라도 남자다운 근력과 남자다운 노력과 남자다운 분발로써 얻어야 하는 것을 얻을 때까지 정진을 계속하리라.'라고 비구들이여, 불굴의 노력으로 나는 깨달음을 얻었고 위없는 유가안은을 얻었다. 비구들이여, 그대들도 불굴의 의지로 노력하라. '피부와 힘줄과 뼈가 쇠약해지고 몸에 살점과 피가 마르더라도 남자다운 근력과 남자 다운 노력과 남자다운 분발로써 얻어야 하는 것을 얻을 때까지 정진을 계속하리라.'라고. 비구들이여, 좋은 가문의 아들들이 집을 떠나 바르게 출가함은 위없는 청정범행을 완성하기 위함인 바, ..

A2.1.4 태우지 않음 경: 좋은 행위를 하고, 나쁜 행위를 하지 않아 스스로 태우지 않음

"비구들이여, 두 가지 태우지 않음이 있다. 무엇이 둘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자는 몸으로 좋은 행위를 하고, 몸으로 나쁜 행위를 저지르지 않는다. 말로 좋은 행위를 하고 말로, 나쁜 행위를 저지르지 않는다. 마음으로 좋은 행위를 하고, 마음으로 나쁜 행위를 저지르지 않는다. 그는 '나는 몸으로 좋은 행위를 했다, 나는 몸으로 나쁜 행위를 저지르지 않았다.' 라고 생각하면서 태우지 않는다. '나는 말로 좋은 행위를 했다, 나는 말로 나쁜 행위를 저지르지 않았다.' 라고 생각하면서 태우지 않는다. '나는 마음으로 좋은 행위를 했다. 나는 마음으로 나쁜 행위를 저지르지 않았다.' 라고 생각하면서 태우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두 가지 태우지 않음이다."

A2.1.3 태움 경: 나쁜 행위를 하고, 좋은 행위를 하지 않고 스스로 태움

"비구들이여, 두 가지 태움이 있다. 무엇이 둘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자는 몸으로 나쁜 행위를 저지르고, 몸으로 좋은 행위를 하지 않는다. 말로 나쁜 행위를 저지르고, 말로 좋은 행위를 하지 않는다. 마음으로 나쁜 행위를 저지르고, 마음으로 좋은 행위를 하지 않는다. 그는 '나는 몸으로 나쁜 행위를 저질렀다, 나는 몸으로 좋은 행위를 하지 않았다.' 라고 생각하면서 태운다. '나는 말로 나쁜 행위를 저질렀다. 나는 말로 좋은 행위를 하지 않았다' 라고 생각하면서 태운다. '나는 마음으로 나쁜 행위를 저질렀다, 나는 마음으로 좋은 행위를 하지 않았다.' 라고 생각하면서 태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두 가지 태움이다."

A2.1.2 노력경: 재가자/출가자에게 힘든 두 가지 노력

"비구들이여, 세상에서 해내기 힘든 두 가지 노력이 있다. 무엇이 둘인가? 집에 머무는 재가자가 의복, 음식, 거처, 병구완을 위한 약품을 공양하려는 노력과, 집을 나와 출가한 자가 모든 [재생의] 근거에 대한 집착을 포기하려는 노력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세상에 해내기 힘든 두 가지 노력이다. 이러한 두 가지 노력 가운데 모든 [재생의] 근거에 대한 집착을 포기하려는 노력이 더 수승하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이와 같이 공부지어야 한다. '모든 [재생의] 근거에 대한 집착 을 포기하기 위해 노력하리라.'라고 공부지어야 한다.' * “모든 재생의 근거(upadhi)에 대한 집착을 포기하려는 노력 (sabb-upadhi- patinissaggatthāya padhana)'이란 무더기[五蘊]라는 재생의 근..

A2.1.1 허물경: 금생에/내생에 과보를 받는 허물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사왓티에서 제따 숲의 급고독원에 머무셨다. 거기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부르셨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두 가지 허물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금생에 [과보를] 받는 허물과 내생에 [과보를] 받는 허물이다." 2.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금생에 [과보를] 받는 허물 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자는 왕들이 나쁜 짓을 한 도둑을 잡아 여러 가지 형벌을 가하는 것을 볼 것이다. 채찍으로 때리고 회초리로 때리고 곤봉으로 치고, 손을 자르고 발을 자르고 손발을 다 자르고 귀를 자르고 코를 자르고 귀와 코를 다 자르고, 죽 끓이는 가마솥에 처박고 소라고동처럼 까..

A1.21 몸에 대한 마음챙김 품: 들숨날숨에 마음챙겨,,, 몸(色/물질)을 꿰뚫어 앎

1. "비구들이여, 마음으로 큰 바다에 닿은 자는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작은 강들을 모두 포함한다. 그와 마찬가지로 몸에 대한 마음챙김을 닦고 많이많이 [공부]지은 자는 영지에 동참하는 모든 선법들을 포함한다." 2∼8. "비구들이여, 하나의 법이 있어 그것을 닦고 많이많이 [공부]지으면 크게 절박함으로 인도한다 ... 큰 이익으로 인도한다. ... 큰 유가안은으로 인도한다. ... 마음챙기고 알아차리게 한다. ... 지견을 얻게 한다. ... 금생에서 행복하게 머물게 한다. ... 영지와 해탈의 과를 실현하도록 한다. 어떤 것이 그 하나의 법인가? 몸에 대한 마음챙김이다. 비구들이여, 실로 이 하나의 법을 닦고 많이많이 [공부]지으면 ...... 영지와 해탈의 과를 실현하도록 한다." 9~12. "비구..

A1.20 손가락 튀기기의 연속 품: 손가락 튀기는 순간만큼이라도 수행을 한다면

1. "비구들이여, 다음과 같은 것은 공양받을 확실한 이유이다. 숲 속에 머묾, 탁발음식만 수용함, 분소의를 입음, 삼의만 수용함, 법을 설함, 율을 호지함, 많이 배움, 승랍이 높음, 품행이 단정함, 지지자를 얻음, 많은 지지자를 거느림, 좋은 가문의 후손, 준수한 용모, 고운 말, 욕구가 적음, 병 없음이다. " 사선[四禪] _ 바른 삼매 2.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손가락을 튀기는 순간만큼이라도 초선(初禪)을 닦는다면 그를 일러 비구라 부른다. 그의 선(禪)은 헛되지 않으며, 위의(威儀)로써 머물고, 스승의 교법을 받들고, 교훈을 받아 들이며, 백성들이 주는 보람된 공양을 먹는다. 그것을 많이 닦는 자에 대해서야 말해 무엇하겠는가?" 3.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손가락을 튀기는 순간만큼이라도..

A1.19 잠부 섬 품: 인간으로 죽어 인간으로 태어나는 이 적고,,,

1. "비구들이여, 이 잠부 섬에 아름다운 공원, 아름다운 숲, 아름다운 땅, 아름다운 호수는 얼마 안 되는 반면 가파른 곳, 건널 수 없는 강, 나무 그루터기와 가시가 가득 찬 수풀, 울퉁불퉁한 산은 많다. 그와 마찬가지로 비구들이여, 육지에 태어난 중생들은 적고 물에 태어난 중생들은 많다. 그와 마찬가지로 비구들이여, 인간으로 태어난 중생들은 적고 비인간으로 태어난 중생들은 많다. 그와 마찬가지로 비구들이여, 지역의 중심[中國]에 인간으로 태어난 중생들은 적고 변방에서 무지몽매한 멸려차(蔑戾車)로 태어난 중생들은 많다. 그와 마찬가지로 비구들이여, 통찰력이 있고 재치가 있고 귀머거리와 벙어리가 아니고 잘 설한 것과 잘못 설한 것의 뜻을 판단할 능력이 있는 중생들은 적고 어리석고 둔하고 귀먹고 말 못하..

A1.18 막칼리 품: 막칼리, 업도 업 지음도 정진도 없다.

1. "비구들이여, 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날 때, 그는 많은 사람들에게 손해가 되고 많은 사람들에게 불행이 되고 많은 신과 인간들에게 해로움이 되고 손해가 되고 괴로움이 되기 위해 태어난다. 누가 그 한 사람인가? 삿된 견해를 가진 사람이다. 전도된 견해를 가진 그는 많은 사람들을 정법에서 물러나서 삿된 법에 머물게 한다. 비구들이여, 이 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날 때, 그는 ・・・ 괴로움이 되기 위해 태어난다." 2. "비구들이여, 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날 때, 그는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고, 많은 사람들에게 행복이 되고, 많은 신과 인간들에 게 이로움이 되고 이익이 되고 행복이 되기 위해 태어난다. 누가 그 한 사람인가? 바른 견해를 가진 사람이다. 바른 견해를 가진 그는 많은 사람들을 삿된 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