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진암(識盡庵) 400

Ⅱ-4-1-19. 단견(斷見)과 상견(常見)을 여읨 -연기(緣起)라는 중도(中道)

"만일 어떤 사람이 생명[jiiva; 영혼]이 육체와 같다는 견해[斷見]를 고집한다면, 그는 고귀한 삶[梵行]을 영위하지 못 할것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생명은 육체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라는 견해[常見]를 고집 한다면, 이런 경우에도 역시 고귀한 삶은 불가능하다. 완전한 깨달음을 얻..

Ⅱ-4-1-17. '자아'라는 인습적인 언어로, 집착하지 않고 표현할 뿐

"칫타여, 예를 들면 소에게서 우유가, 우유에서 요구르트가, 요구르트에서 생버터가, 생버터에서 버터가, 버터에서 크림(제호)이 생겨난다. 우유가 있을 때, 그것을 요구르트라거나 생버터라거나, 버터라거나, 크림(제호)이라고는 부를 수 없다. 바로 이와 같이, 과거의 나의 자아..

Ⅱ-4-1-16. 연기(緣起)를 보는 자, 그는 법(法)을 본다.

"연기(緣起)를 보는 자, 그는 법(法)을 본다. 법을 보는 자, 그는 연기를 본다." 『中部』28 『象跡喩大經』 MN I, 190-1. <역주 : 위의 經文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지만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조건에 의존된 발생의 의미를 지닌 연기(緣起)라고 하는 진리(眞理)를 보는 ..

Ⅱ-4-1-15. 과거, 현재, 미래의 자아의 획득 - 인습적 표현

"칫타(Citta)여, 만일 사람들이 그대에게 다음과 같이 질문한다면 어떻게 답하겠는가? '당신은 과거에 존재했었습니까? 당신은 과거에 존재하지 않았다고 할 수는 없습니까? 당신은 미래에 존재할 것입니까? 당신은 미래에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까? 당신은 현재 존..

Ⅱ-4-1-13. 존재하는 현상의 세 가지 특성(三法印)

"비구들이여, 여래가 이 세상에 나타났거나 나타나지 않았거나 모든 형성된 것은 변하는 것이다(諸行無常). 즉, 물질적 현상(色)은 변하는 것, 감수작용(受)은 변하는 것, 표상작용(想)은 변하는 것, 형성작용(行)은 변하는 것, 인식작용(識)은 변하는 것이라는 사실은 정해진 것이며..

Ⅱ-4-1-12. 정견(正見) - 사성제四聖諦)로 '나'를 바로 봄

"어떤 이가 '고타마 붓다는 어떠한 견해를 취하십니까?' 라고 묻는다면, 다음과 같은 답을 듣게 될 것이다. '여래(如來)는 모든 견해를 없애버렸다. 왜냐하면, 여래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이것이 물질적 현상(色)이다. 이것이 물질적 현상의 발생이다. 이것이 ..

Ⅱ-4-1-11. 바른 이해(正見)는 正精進, 正念과 항상 짝이 된다.

"잘못된 이해(邪見)를 잘못된 이해라고 알고, 바른 이해(正見)를 바른 이해라고 알면서, '바른 이해'(첫번 째 덕목)를 닦는다. 잘못된 이해를 극복하고 바른 이해를 일으키기 위해서 노력하는 가운데, 바른 노력(正精進 ; 여섯번 째 덕목)을 닦는다. 깨어있는 마음으로 잘못된 이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