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을 보는 자, 그는 연기를 본다."
<역주 :
위의 經文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지만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조건에 의존된 발생의 의미를 지닌 연기(緣起)라고 하는 진리(眞理)를 보는 자,
즉 마음과 육체을 위시로 한 여러 가지 현상들의 상호의존적인 발생관계를 깨닫는 자는
괴로움의 생존에서 벗어나는 진리로서의 법(法)을 즉,
구원의 진리(salvic truth)인 열반을 얻는다.
열반으로서의 법을 깨달은 자는 다름 아닌 연기의 이치를 깨달은 자이다.
연기의 이치는 우리의 삶과 동떨어진 진리가 아니라
바로 한 순간 한 순간의 마음의 일어남과 몸의 움직임에서 확인되어지는 진리이며,
이처럼 자신의 마음과 육체에서 직접적으로 이해하고 체득한 연기법에 대한 파악은
바로 자신의 마음과 육체의 본질을 직접적으로 꿰뚫어 보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의 심신을 떠나서 진리를 발견한다는 것은
자기 집의 뜰에 매화를 두고 봄을 찾아 밖으로 헤메이는 것과 같다.>
'식진암(識盡庵) > 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Ⅱ-4-1-18. 범부의 무지 (0) | 2012.01.30 |
---|---|
Ⅱ-4-1-17. '자아'라는 인습적인 언어로, 집착하지 않고 표현할 뿐 (0) | 2012.01.30 |
Ⅱ-4-1-15. 과거, 현재, 미래의 자아의 획득 - 인습적 표현 (0) | 2012.01.30 |
Ⅱ-4-1-14. '나'를 어떻게 볼 것인가? (我見) (0) | 2012.01.30 |
Ⅱ-4-1-13. 존재하는 현상의 세 가지 특성(三法印) (0) | 2012.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