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진암(識盡庵) 400

51. 바른 의도(正思惟) - 바른 견해 바탕으로 한 실천적 태도

바른 의도란 무엇인가. 팔정도의 두 번째 항목으로서 마음을 올곧게 쓰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가끔 ‘바른 생각’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그러나 팔정도의 바른 의도란 일반적인 생각이나 사고와 구분되며, 바른 견해를 바탕으로 한 실천적 태도를 가리킨다. 따라서 이것은 목적을 달성..

50. 바른 견해(正見) - 진리의 완성에 이르는 첫 걸음

바른 견해(正見)란 무엇인가. 팔정도의 첫 번째 항목으로서 붓다의 가르침을 올바르게 보고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바른 견해는 팔정도의 출발점이 되는 동시에 이후의 다른 항목들에 대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것이 철저하지 못하면 나머지 항목의 닦음 역시 온전할 수 없다. 따라..

49. 팔정도와 돈오점수(頓悟漸修) - 사성제 순서에는 돈오점수 원리 담겨

팔정도(八正道)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도성제를 이루는 여덟의 바른 방법을 가리킨다. 곧 바른 견해·바른 의도·바른 언어·바른 행위·바른 삶·바른 노력·바른 마음지킴·바른 삼매를 일컫는다. 붓다는 고성제를 통해 괴로움의 현실을, 집성제를 통해 그 원인을, 멸성제를 통해 ..

48. 도성제 - '괴로움 소멸하는 길'에 관한 거룩한 진리

도성제(道聖諦)란 무엇인가. 괴로움을 소멸하는 길에 관한 고귀한 진리를 가리킨다. 괴로움이 소멸된 경지란 열반을 의미하며 혹은 깨달음의 완성으로도 바꾸어 말할 수 있다. 도성제는 바로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성제의 최종 위치에 놓인다. 괴로움에 대한 인식(苦聖諦)으..

46. 멸성제 - '괴로움의 소멸'에 관한 고귀한 진리

멸성제(滅聖諦)란 무엇인가. 괴로움의 소멸에 관한 고귀한 진리를 가리킨다. 갈애(愛)를 제거하면 괴로움이 사라진다는 사실을 전하는 가르침이다. 멸성제는 초기불교의 궁극 목적을 드러내는 것으로 열반(涅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경전에서는 다음과 같..

45. 집성제와 갈애 - 감관의 단속, '바르게 관찰하는 이'

왜 갈애(愛)가 문제인가. 붓다는 이것으로 인해 집착(取)이 발생한다고 가르친다. 괴로움의 현실 즉 고성제를 집약하는 오취온(五取蘊)이 갈애로부터 이루어진다. 늙음과 죽음으로 귀착되는 불건전한 존재상황(有)이 이것을 조건으로 발생한다. 또한 우리는 갈애로 인해 몽둥이를 들게 되..

44. 집성제(集聖諦) - '괴로움의 원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

집성제(集聖諦)란 무엇인가. 괴로움의 원인에 관한 고귀한 진리를 가리킨다. 모든 괴로움에는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바로 그 원인을 밝히는 가르침이 사성제의 두 번째 항목인 집성제이다. 경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괴로움의 원인이라는 거룩한 진리가 있..

42. 고성제(苦聖諦) -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

고성제(苦聖諦)란 무엇인가. 고귀한 진리(ariyasacca)로서의 괴로움을 가리킨다. 경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괴로움이라는 거룩한 진리(苦聖諦)가 있다. 즉 1) 태어남도 괴로움이요, 2) 늙음도 괴로움이요, 3) 병듦도 괴로움이요, 4) 죽음도 괴로움이요, 5) 슬픔·..

41. 사성제의 의미 - 완전한 깨달음으로 향하는 실제적 방법

사성제(四聖諦)란 무엇인가. 괴로움이라는 고귀한 진리(苦聖諦), 괴로움의 원인이라는 고귀한 진리(苦集聖諦), 괴로움의 소멸이라는 고귀한 진리(苦滅聖諦), 괴로움을 소멸하는 길이라는 고귀한 진리(苦道聖諦) 의 넷을 가리킨다. 이러한 사성제는 초기불교의 궁극적 가르침에 해당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