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인도철학의 업(業) 업(業, karma)이란 무엇인가. 문자 그대로 옮기자면 행위(action)·일(work) 등이 된다. 인도철학 일반에서 업이란 “특정한 행위 혹은 결심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보적 힘”으로 정의된다. 예컨대 과거의 행위라든가 결심 따위가 현재 혹은 미래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일컬어 업 ..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2
19. 불교에서의 신(神) 불교는 무신론(無神論)인가. 흔히 불교를 일컬어 무신론적 색채가 강하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붓다는 신에 대해 어떻게 말했는가. 과연 그는 신을 완전히 부정했는가. 초기불교 경전에는 무시할 수 없는 빈도로 신들에 관한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깨달음 직후 붓다에게 설법을 간청했..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2
18. 힌두교와 불교 힌두교란 어떤 종교인가. 흔히 인도(India, Hindu)에 뿌리를 둔 다양한 신앙 형태의 복합체로 설명한다. 불교 또한 인도에서 출현하였다. 따라서 넓은 의미로 불교를 힌두교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일부 힌두교 추종자들은 붓다를 힌두교의 최고신인 비슈누(Viṣṇu)의 화신(..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2
17. 단멸론과 불교 단멸론(斷滅論)이란 무엇인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는 반드시 소멸하여 없어진다는 주장을 가리킨다. 특히 초기불교에서 문제시하는 단멸론은 죽음 이후의 삶을 부정하고서 업에 의한 지음과 받음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를 지칭한다. 이러한 주장은 무아(無我)의 가르침과 혼동을 일..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1
16. 숙명론과 불교 - 업에 따른 운명 비판…노력에 의한 변화 강조 불교는 숙명론인가. 불교에 대한 초보적인 오해 중의 하나가 숙명론이 아닐까 싶다. “뿌린 대로 거둔다”, “전생의 업보다”, “팔자는 못 속인다”는 따위의 말들이 이러한 오해를 부추긴다. 그러나 불교는 숙명론과 근본적으로 다르며, 오히려 숙명의 굴레를 벗어나는 데에 주력한다..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1
15. 쾌락주의와 불교 쾌락주의란 무엇인가. 쾌락을 인간 행위의 궁극 목적이자 도덕의 기준으로 삼는 사상적 경향을 가리킨다. 불교가 출현할 당시 일부 사상가들은 잘 먹고 잘 노는 것만이 인생의 유일한 목적이라고 주장했다. 짜르와까(Cārvāka) 혹은 로까야따(Lokāyata) 등으로 일컬어지는 그들은 현..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1
14. 범아일여와 불교 - 경험했다고 해서 지견에 빠지는 것이 바른 것일까? 범아일여(梵我一如)란 무엇인가. 우주적 자아인 브라흐만(Brahman)과 개체적 자아인 아뜨만(Ātman)이 동일하다는 가르침을 말한다. 불교가 출현할 무렵 일부 바라문교의 현인들은 변화하는 현상계 너머에 과연 무엇이 존재하는가의 문제에 천착해 들어갔다. 현상 세계의 번잡스러움과 덧..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1
13. 금욕주의와 불교 - 어떻게 의혹을 뛰어넘을 것인가? 금욕주의란 무엇인가. 세속적인 명예라든가 이익을 추구하는 따위의 욕심을 경계하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 이르려는 종교적·철학적 경향을 일컫는 말이다. 초기불교 또한 이러한 부류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초기불교의 전반적인 색채가 출세간의 금욕적 삶을 지향했다는 사..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1
12. 제식주의와 불교 - 세속적 욕망 좇는 의식으로서 제사 vs 참된 제사 제사란 불교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불교가 출현할 무렵 고대 바라문교는 인도 사회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바라문교의 실천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제사의례이다. 제사는 신(神) 혹은 초월적 존재에게 감사의 마음을 올리거나 은총을 구하고자 행해..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11
11. 바라문교와 불교 - 초월적 존재에 의존하는 바라문교 비판 불교와 비불교는 어떻게 구분될 수 있을까. 불교는 인도에서 출현했으며 당시 유행하던 여러 종교·사상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고대의 바라문교이다. 바라문교는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 전에 형성된 베다(Veda)라는 문헌에 근거한 종교이다. 바라문교의 계승자들은 이 ..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