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진암(識盡庵) 400

16. 숙명론과 불교 - 업에 따른 운명 비판…노력에 의한 변화 강조

불교는 숙명론인가. 불교에 대한 초보적인 오해 중의 하나가 숙명론이 아닐까 싶다. “뿌린 대로 거둔다”, “전생의 업보다”, “팔자는 못 속인다”는 따위의 말들이 이러한 오해를 부추긴다. 그러나 불교는 숙명론과 근본적으로 다르며, 오히려 숙명의 굴레를 벗어나는 데에 주력한다..

14. 범아일여와 불교 - 경험했다고 해서 지견에 빠지는 것이 바른 것일까?

범아일여(梵我一如)란 무엇인가. 우주적 자아인 브라흐만(Brahman)과 개체적 자아인 아뜨만(Ātman)이 동일하다는 가르침을 말한다. 불교가 출현할 무렵 일부 바라문교의 현인들은 변화하는 현상계 너머에 과연 무엇이 존재하는가의 문제에 천착해 들어갔다. 현상 세계의 번잡스러움과 덧..

13. 금욕주의와 불교 - 어떻게 의혹을 뛰어넘을 것인가?

금욕주의란 무엇인가. 세속적인 명예라든가 이익을 추구하는 따위의 욕심을 경계하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 이르려는 종교적·철학적 경향을 일컫는 말이다. 초기불교 또한 이러한 부류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초기불교의 전반적인 색채가 출세간의 금욕적 삶을 지향했다는 사..

12. 제식주의와 불교 - 세속적 욕망 좇는 의식으로서 제사 vs 참된 제사

제사란 불교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불교가 출현할 무렵 고대 바라문교는 인도 사회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바라문교의 실천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제사의례이다. 제사는 신(神) 혹은 초월적 존재에게 감사의 마음을 올리거나 은총을 구하고자 행해..

11. 바라문교와 불교 - 초월적 존재에 의존하는 바라문교 비판

불교와 비불교는 어떻게 구분될 수 있을까. 불교는 인도에서 출현했으며 당시 유행하던 여러 종교·사상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고대의 바라문교이다. 바라문교는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 전에 형성된 베다(Veda)라는 문헌에 근거한 종교이다. 바라문교의 계승자들은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