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느낌에 대한 마음지킴 느낌에 대한 마음지킴(受念處)이란 무엇인가. 몸·느낌·마음·법의 4가지를 대상으로 하는 사념처의 명상에서 두 번째에 해당되는 내용이다. 좋거나 나쁜 느낌들에 몰입되지 말고 다만 그들을 알아차림의 대상으로 삼으라는 가르침 이다. 편안하거나 좋은 느낌도, 불편하거나 거북한 ..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08
60. 몸에 대한 마음지킴 몸에 대한 마음지킴(身念處)이란 무엇인가. 몸·느낌·마음·법의 4가지를 대상으로 하는 사념처의 명상에서 첫 번째에 해당되는 내용이다. 몸 혹은 육체적 행위는 가장 쉽게 포착할 수 있는 알아차림의 대상이다. 육체적 현상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주의를 모으고 알아차리는 과정을 통..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08
59. 사념처 사념처(四念處)란 무엇인가. 초기불교를 대표하는 명상법의 하나로서 몸(身)·느낌(受)·마음(心)·법(法)에 대해 지속적으로 알아차리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사념처(cattāro satipaṭṭhānā)라는 명칭을 풀이하자면 ‘네 가지에 대한 마음지킴의 확립’이 된다. 몸이나 느낌..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08
58. 삼학과 팔정도 - 서로 맞물리며 깊어지는 순환적 구조 삼학(三學)이란 무엇인가. 붓다의 제자로서 닦아야할 3가지 배움의 조목을 가리킨다. 계학(戒學, sīlasikkhā), 정학(定學, samādhisikkhā), 혜학(慧學, paññāsikkhā)이 그것이다. 계학은 입과 몸으로 짓는 악한 행위를 다스리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밖으로 드러나는 품행..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08
57. 바른 삼매(正定) - 들뜬 마음 가라앉혀 집중된 상태 바른 삼매란 무엇인가. 팔정도의 마지막 항목으로 산만하거나 들뜬 마음을 가라앉혀 고요히 집중된 상태를 가리킨다. 이것은 바른 마음지킴(正念)의 지속적인 실천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삼매의 경지에 도달하면 혼란스러움이 사라지고 있는 그대로를 꿰뚫어보는 통찰의 능력이 생겨..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08
56. 바른 마음지킴(正念) - 깨인 마음 유지해 나가는 것 바른 마음지킴이란 무엇인가. 팔정도의 일곱 번째 항목으로 깨인 마음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마음지킴(sati)이란 초기불교명상에서 가장 중요한 심리적 원리로 꼽히며 원래의 의미는 ‘잊지 않음’이다. 특히 팔정도의 바른 마음지킴은 사념처(四念處)와 동일한 내용을 지닌다. 사념처..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08
55. 바른 노력(正精進) - 노력하고 마음을 잡아 힘쓰는 것 바른 노력이란 무엇인가. 팔정도의 여섯 번째 항목으로 바르게 실천에 매진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수행의 여정에서 가장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으며, 팔정도의 나머지 항목들에 대해 그 에너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바른 노력은 사정단(四正斷, cattāro sammappadhānā)으로 ..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08
54. 바른 삶(正命) - 올바른 생활수단으로 살아가는 것 바른 삶이란 무엇인가. 팔정도의 다섯 번째 항목으로서 그릇된 생활수단을 멀리하고 올바른 생활수단을 통해 건전하게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것은 바른 생계로 번역하기도 한다. 재가자의 경우 적절한 직업을 통해 건전한 경제적 활동을 영위해 나가는 것이 바른 삶이다. 한편..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08
53. 바른 행위(正業) 바른 행위란 무엇인가. 팔정도의 네 번째 항목으로서 옳지 않은 행위를 멀리하고 옳은 행위만을 잘 구별하여 실천하는 것을 가리킨다. 특히 이것은 계율의 준수와 깊은 관련을 지닌다. 우리는 바른 행위가 전제될 때 본격적인 명상의 실천으로 옮겨갈 수 있다. “유익한 법(善法)의 처음..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08
52. 바른 언어(正語) 바른 언어란 무엇인가. 팔정도의 세 번째 항목으로서 바르게 말하는 것을 가리킨다. 특히 도성제에 속한 이것은 사성제에 입각하여 바른 견해에 부합하는 언어를 구사하는 것을 일컫는다. 바른 언어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바른 언어란 무엇인가. 1) 거짓말로부터 떠나는 것, 2) 이간..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