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무명(無明) 무명(無明)이란 무엇인가. 늙음·죽음(老死)으로 귀결되는 십이연기의 지분들 가운데 맨 처음 등장하는 항목이다. 이것을 조건으로 지음(行) 이하 의식(識)이라든가 정신·물질현상(名色) 따위로 이어지는 십이연기의 연쇄적 과정이 뒤따르게 된다. 나머지 십이연기의 모든 지분들은 바..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21
90. 지음(行) 지음(行)이란 무엇인가. 무명으로부터 시작되는 십이연기의 지분들 가운데 2번째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지음은 의식(識)의 조건이 되며 또한 그것 자체는 무명을 조건으로 발생한다. 지음이라는 용어는 맥락에 따라 다양한 쓰임으로 나타난다. 먼저 의식의 조건이 되는 용례로는 다음을 ..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21
89. 의식(識) 의식(識)이란 무엇인가. 무명으로부터 시작되는 십이연기의 지분들 가운데 3번째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의식은 정신·물질현상(名色)의 조건이 되며 또한 그것 자체는 지음(行)을 조건으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의식이란 어떠한 현상을 ‘의식하거나 식별하여 아는 것’을 가리킨다. 예..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21
88. 정신·물질현상(名色) 정신·물질현상(名色)이란 무엇인가. 무명으로부터 시작되는 십이연기의 지분들 가운데 4번째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정신·물질현상은 여섯 영역(六入)의 조건이 되며 또한 그들 자체는 의식(識)을 조건으로 발생한다. 정신이란 빨리어(Pa-li)로 나마(na-ma)라고 부르며 ‘이름’ 혹은 ‘명..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21
87. 여섯 영역(六入) 여섯 영역(六入)이란 무엇인가. 무명으로부터 시작되는 십이연기의 지분들 가운데 5번째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여섯 영역은 접촉(觸)의 조건이 되며 또한 그들 자체는 정신·물질현상(名色)을 조건으로 발생한다. 여섯 영역이란 눈이나 귀 따위의 감관을 중심으로 하는 인식 발생의 틀이..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21
86. 접촉(觸) 접촉(觸)이란 무엇인가. 무명으로부터 시작되는 십이연기의 지분들 가운데 6번째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접촉은 느낌(受)의 조건이 되며 또한 그 자체는 여섯 영역(六入)을 조건으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접촉이란 눈 따위의 여섯 감관(根)과 그들에 대응하는 외부의 대상(境) 그리고 그들..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21
85. 느낌(受) 느낌(受)이란 무엇인가. 무명으로부터 시작되는 십이연기의 지분들 가운데 7번째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느낌은 갈애(愛)의 조건이 되며 또한 자체적으로는 접촉(觸)을 조건으로 발생한다. 이것은 1) 즐겁거나, 2) 괴롭거나, 3)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일체의 감정을 망라한다. 십이연기의 ..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20
84. 갈애(愛) 갈애(愛)란 무엇인가. 무명으로부터 시작되는 십이연기의 지분들 가운데 8번째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갈애는 집착(取)의 조건이 되며 또한 자체적으로는 느낌(受)을 조건으로 발생한다. 갈애란 타는 목마름으로 물을 구하듯 특정한 대상에 온통 쏠려 있는 경우를 가리킨다. 이것으로 인해..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20
83. 집착(取) 집착(取)이란 무엇인가. 무명으로부터 시작되는 십이연기의 지분들 가운데 9번째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집착은 있음(有)의 조건이 되며 또한 자체적으로는 갈애(愛)를 조건으로 발생한다. 집착이란 특정한 대상을 자신의 소유로 움켜쥐거나 붙잡으려는 정신적 작용을 가리킨다. 이것을 ..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20
82. 있음(有) 있음(有)이란 무엇인가. 무명으로부터 시작되는 십이연기의 지분들 가운데 10번째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있음은 태어남(生)의 조건이 되며 또한 자체적으로는 집착(取)을 조건으로 발생한다. 이것에 대한 경전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비구들이여, 있음에는 이러한 3가지가 있다. 1) 감각.. 식진암(識盡庵)/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201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