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2. 계(戒) - 3, 4, 5 번째 덕목 2.1 바른 행위[正業] "그는 이와 같이 출가하여 출가 수행자[比丘]가 익혀야 할 생활규정을 잘 지키며, 살생을 버리고 살생에서 멀리 떠나 있다. 몽둥이와 칼을 버리고 부끄러워하는 마음을 지니고, 동정심을 품으며, 모든 생명 있는 존재에 대해서 자비의 마음을 지니고서 지낸다.[..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Ⅲ-1. 신심과 바른 사유(正思惟) - 2 번째 덕목 "비구들이여, 여기 여래, 1) 공양 받을 만한 분(應供; 阿羅漢), 2) 완전히 깨달은 분(正邊知), 3) 지혜와 실행을 완전히 갖춘 분(明行足), 4) [열반에] 잘 도달한 분(善逝), 5) 세간을 아는 분(世間解), 6) 위없는 분(無上士), 7) 사람들을 잘 조어하는 분(調御丈夫), 8) 하늘과 인간의 스승(天..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Ⅲ. 수행의 단계에서 팔정도의 점진적인 향상 1. 신심과 바른 사유(正思惟) - 2 번째 덕목 2. 계(戒) - 3, 4, 5 번째 덕목 바른 언어(正語), 바른 행위(正業), 바른 생계( 正命) 3. 감각기관의 제어(正精進) - 6 번째 덕목 4. 올바른 마음챙김(正念)과 분명한 앎(正知) - 7 번째 덕목 5. 올바른 마음집중(正定) - 8 번째 덕목 6. 바른 이해(正見;..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Ⅱ-4-8-3. 네 가지 마음집중[四禪] [1] 초선(初禪) "비구들이여, 비구는 1) 모든 감각적인 욕망을 떨어버리고, 2) 모든 온전하지 못한 법들[不善法]을 떨쳐 버리고 3) (마음집중의 대상에 대한) 거친 사유[尋]와 미세한 사유[伺]가 있고, 4) (감각적인 욕망 등에서) 멀리 떠남에 의해서 생겨난 희열[喜, piiti]과 행복감[樂, su..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Ⅱ-4-8-2. 바른 마음집중의 대상·조건·향상 "네 가지 마음챙김[四念處], 이것이 마음집중의 근거[nimittaa]이다.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 이것이 마음집중의 조건이다. 이러한 법들을 실행하고, 닦으며, 계발하는 것, 이것이 마음집중의 향상[bhaavanaa]이다." 『中部』 44 『有明小經』 MN I, 301. * [바른 마음집중은 근접삼매(近..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Ⅱ-4-8-1. 바른 마음집중[正定] "바른 마음집중이란 무엇인가? 마음이 하나의 대상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cittekaggataa ; 心一境性], 이것이 마음집중[三昧]이다." * [가장 넓은 의미에서 생각할 때, '바른 마음집중'[正定; sammaa-samaadhi]이란, 모든 온전한 의식 상태[善心; kusala-citta]에 내재하고 있는 정신적인 집중상태를 말하..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9
Ⅱ-4-7-9. 네 가지 마음챙김(四念處)과 열반 "마치 코끼리 조련사가 코끼리의 야성적인 습성을 제어하고 인간에게 맞는 습성을 가르치기 위해서, 땅에 커다란 기둥을 세워놓고 코끼리 목을 붙들어 매어놓는 것과 같이, 1) 세간의 생활에 바탕을 둔 습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2) 세간의 생활에 대한 기억과 성향을 제어하기 위하..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6
Ⅱ-4-7-8. 七覺支와 慧解脫의 성취 "비구들이여, 어떻게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고 자주 익혀서 지혜[명, vijjaa]에 의한 해탈을 이루게 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비구가 (세간적인 것에서) 멀리 떨어짐[遠離, viveka]에 의거해서, 감각적인 욕망을 버림[離欲, viraaga]에 의거해서, (번뇌 또는 괴로움의) 소멸[滅..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6
Ⅱ-4-7-7. 四念處와 七覺支의 완성 "비구들이여, 어떻게 네 가지 마음챙김[四念處]을 닦고 자주 익혀서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七覺支]를 완성시키는가? 비구들이여, 열심히, 분명한 앎을 지니고, 마음챙김을 지니고, 세간에 대한 탐착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제어하면서, 어떤 비구가 몸에서 몸을 관찰하는 수행을 ..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6
Ⅱ-4-7-6-4. 出入息念과 法念處 "비구들이여 어느 비구가 (13) '무상함을 관찰하면서 숨을 들이쉬리라'고 마음을 다지면서 수행하며, '무상함을 관찰하면서 숨을 내쉬리라'며 마음을 다지면서 수행한다. (14) '(마음속에) 탐욕이 없음을 관찰하면서 숨을 들이쉬리라'고 마음을 다지면서 수행하며, '탐욕이 없음을 관.. 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201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