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 19

A3.4 잘못 경: 1) 잘못을 범했다고 보는 것 2) 인정하고 법답게 고치는 것, 3) 지적하면 받아들이는 것,,, 세 가지 법을 가진 자가 현명한 자다.

Accaya-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어리석은 자라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1) 잘못을 범하고도 잘못을 범했다고 보지 않는 것과       2) 잘못을 범한 것에 대해 잘못을 범했다고 인정하면서도 법답게 고치지 않는 것과       3) 잘못을 범한 것에 대해 다른 자가 지적함에도 불구하고 법답게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어리석은 자라 알아야 한다."  2.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현명한 자라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1) 잘못을 범하고 잘못을 범했다고 보는 것과       2) 잘못을 범한 것에 ..

A3.3 생각 경: 어리석은 자의 특징, 표상, 행동 _ 마음, 말, 몸의 10가지 불선업도

Cinti-sutta 1.     "비구들이여,       어리석은 자의 특징(lakkana)과 표상(nimitta)과 행동(apadana)은 세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이 셋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리석은 자는      나쁜 것을 생각하고, 나쁜 말을 하고, 나쁜 행위를 저지른다.       비구들이여, 만약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현명한 자가 그를 '이 사람은 어리석고 나쁜 사람이다.'라고 알겠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리석은 자는      나쁜 것을 생각하고 나쁜 말을 하고 나쁜 행위를 저지른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현명한 자가 그를 '이 사람은 어리석고 나쁜 사람이다.'라고 안다.       비구들이여,     ..

A3.2 특징 경: 어리석은 자, 현명한 자,, '행위'에 의해서 규정되는 세 가지 특징

Lakkhana-sutta 1.      "비구들이여,       어리석은 자도 행위(업, kamma)에 의해서 규정되고      현명한 자도 행위에 의해서 규정되나니,       [인간의] 통찰지는 [자신의] 행동에 의해서 드러나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세 가지 특징을 가진 자를 어리석은 자라고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몸으로 짓는 나쁜 행위,       말로 짓는 나쁜 행위,       마음으로 짓는 나쁜 행위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특징에 의해 어리석은 자라 알아야 한다."  2.      "비구들이여, 세 가지 특징에 의해 현명한 자라고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몸으로 짓는 좋은 행위,       말로..

A3.1 어리석은 자 경: 어리석은 자의 세 가지 특징을 버려,, 두려움, 위험, 재앙을 일으키지 않으리라

셋의 모음Tika-nipāta I. 첫 번째 50개 경들의 묶음   Pathama-panṇāsaka 제1장 어리석은 자 품          Bala-vagga  어리석은 자경(A3:1)339)Bāla-sutta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사왓티에서 제따 숲의 급고독원에 머무셨다.        거기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부르셨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어떠한 두려움(bhaya)이든 그것이 일어나는 것은 모두 어리석은 자 때문에 일어난다.       현자 때문이 아니다.        어떠한 위험(upasagga)이든 그것이 일어나는 것은 모두 어리석은..

A2.17.5 반복: 16가지 마음의 오염원과 어리석음의 17가지를,, 최상의 지혜로 알고,, 없애고, 버리고, 부수고, 소멸하기 위해서,,, 사마타와 위빳사나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Peyyala      "        1) 성냄(dosa)을 ...         2) 어리석음(moha)을 ...         3) 분노(kodha)를 ...         4) 원한(upanāha)을 ...         5) 위선(makkha)을...         6) 앙심(palasa)을...         7) 질투(issa)를...        8) 인색(macchariya)을...        9) 속임(maya)을...      10) 사기(satheyya)를 ...       11) 완고(thambha)를...       12) 성마름(sarambha)을..       13) 자만(mana)을 ...       14) 거만(atimana)을...      15) 교만(mada)을 ...

A2.17.4 철저히 앎 경: 욕망을 철저히 알기 위해서, 없애고, 버리고, 부수고, 사그라지게 하고, 빛바래게 하고, 소멸하고, 포기하고, 놓아버리기 위해서,,,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Pariññā-sutta      "      1)      비구들이여,      욕망(raga)을 철저히 알기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어떤 것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욕망을 철저히 알기 위해서 이러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2)      비구들이여,      욕망(raga)을 철저히 없애기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어떤 것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욕망을 철저히 없애기 위해서 이러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3)      비구들이여,      욕망(raga)을 철저히 버리기 위해서      두 가지 법을..

A2.17.3 최상의 지혜로 앎 경: 욕망(raga)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Abhinna-sutta      "비구들이여,      욕망(raga)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어떤 것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욕망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 이러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 육차결집본은 이 이하를 욕망의 반복(Raga-peyyala)으로 부르고 있다.

A2.17.2 빠띠목카 경: 이러한 이유로 빠띠목카(바라제목차, 戒目)를 나는 제정하였다.

Patimokkha-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여래는 제자들에게      [비구 빠띠목카와 비구니 빠띠목카의 두 가지] 빠띠목카(바라제목차, 戒目)를 제정하였다.         * '학습계목(sikkhápada)'과 '빠띠목카(pâtimokkha, 바라제목차, 계목)'의 뜻은           큰 차이가 없다.           그래서 청정도론」에서는 "빠띠목카란 학습계율의 계목을 뜻한다." (Vis.I.43)라고           설명한다.            다만 빠띠목카는 비구 빠띠목카 (비구계목)나 비구니 빠띠목카(비니)라는 문맥에만           거의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빠띠목카를 포함한 5계, 8계, 10계 등의 계목을           모두 학습계목이라 부..

A2.17.1 학습계목 경: 두 가지 법으로 된 여섯 가지 이유 때문에, 여래는 제자들에게 학습계목을 제정하였다.

제17장 율 등의 품(A2:17:1~5)     Vinayādi-vagga       * PTS본에는 본품의 명칭이 없다.        육차결집본에는 본 품의 1~2번 경을 「율의 반복」 (Vinaya-peyyala)이라고         이름하고 있고,         본 품의 3번 경 이하를  「탐욕의 반복」 (Raga-peyyala)이라 부르고 있어서        이를 참조하여 「율 등의 품」(Vinayādi-vagga)이라고 본 품의 명칭을 정하였다.         학습계목 경(A2:17:1)      Sikkhapada-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여래는 제자들에게 학습계목을 제정하였다.       어떤 것이 둘인가?       1)      승가가 미덕을 갖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