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yyala
"
1) 성냄(dosa)을 ...
2) 어리석음(moha)을 ...
3) 분노(kodha)를 ...
4) 원한(upanāha)을 ...
5) 위선(makkha)을...
6) 앙심(palasa)을...
7) 질투(issa)를...
8) 인색(macchariya)을...
9) 속임(maya)을...
10) 사기(satheyya)를 ...
11) 완고(thambha)를...
12) 성마름(sarambha)을..
13) 자만(mana)을 ...
14) 거만(atimana)을...
15) 교만(mada)을 ...
16) 방일(pamada)을
1)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abhiinaya) ...
2) 철저히 알기 위해서(parinñaya) ...
3) 완전히 없애기 위해서(parikkhayaya)...
4) 버리기 위해서(pahanaya) ...
5) 부수기 위해 Athaggya)...
6) 사그라지게 하기 위해서(vayaya)....
7) 빛바래게 하기 위해서(virigaya)...
8) 소멸하기 위해서(nirodhaya) ...
9) 떨어지게 하기 위해서(cagaya) ...
10) 놓아버리기 위해서(patinissaggaya)...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어떤 것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 이러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세 번째 50개 경들의 묶음이 끝났다.
둘의 모음이 끝났다.
* 육차결집본은 본경에 해당하는 부분에 모두 16개의 경의 번호를 붙이고 있다.
성냄부터 방일까지가 16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 세분해서 육차 결집본 제2권 「넷의 모음」의 마지막 경인
「마음챙김의 확립 등 경」 (A4:271)에서 매긴 방법대로,
앞의 「최상의 지혜로 앎 경」 (A2:17:3)부 터 본경까지의 번호를 매기면
모두 17 (탐, 진, 치, 분노 등) x 10(최상의 지혜로 앎, 철저히 앎 등)=170개의
경들이 된다.
이런 방법으로 경의 수 를 세분해서 계산했기 때문에 『디가 니까야 주석서』 서문
등에서는 「앙굿따라 니까야」에는 모두 9557개의 경이 있다고 한 것이다.
본서 제2권 「마음챙김의 확립 등 경」 (A4:271) 84의 주해를 참조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