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6 3

A2.17.5 반복: 16가지 마음의 오염원과 어리석음의 17가지를,, 최상의 지혜로 알고,, 없애고, 버리고, 부수고, 소멸하기 위해서,,, 사마타와 위빳사나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Peyyala      "        1) 성냄(dosa)을 ...         2) 어리석음(moha)을 ...         3) 분노(kodha)를 ...         4) 원한(upanāha)을 ...         5) 위선(makkha)을...         6) 앙심(palasa)을...         7) 질투(issa)를...        8) 인색(macchariya)을...        9) 속임(maya)을...      10) 사기(satheyya)를 ...       11) 완고(thambha)를...       12) 성마름(sarambha)을..       13) 자만(mana)을 ...       14) 거만(atimana)을...      15) 교만(mada)을 ...

A2.17.4 철저히 앎 경: 욕망을 철저히 알기 위해서, 없애고, 버리고, 부수고, 사그라지게 하고, 빛바래게 하고, 소멸하고, 포기하고, 놓아버리기 위해서,,,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Pariññā-sutta      "      1)      비구들이여,      욕망(raga)을 철저히 알기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어떤 것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욕망을 철저히 알기 위해서 이러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2)      비구들이여,      욕망(raga)을 철저히 없애기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어떤 것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욕망을 철저히 없애기 위해서 이러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3)      비구들이여,      욕망(raga)을 철저히 버리기 위해서      두 가지 법을..

A2.17.3 최상의 지혜로 앎 경: 욕망(raga)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Abhinna-sutta      "비구들이여,      욕망(raga)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어떤 것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욕망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 이러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 육차결집본은 이 이하를 욕망의 반복(Raga-peyyala)으로 부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