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그때 깟짜나곳따 존자가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린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깟짜나곳따 존자는 세존께 이렇게 여쭈었다.
3.
"세존이시여,
'바른 견해[正見], 바른 견해'
라고들 합니다.
세존이시여,
바른 견해는 어떻게 해서 있게 됩니까?
"
4.
"깟짜야나여,
이 세상은 대부분 두 가지를 의지하고 있나니
그것은 있다는 관념과 없다는 관념이다.
깟짜야나여,
세상의 일어남을 있는 그대로 바른 통찰지로 보는 자에게는
세상에 대해 없다는 관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깟짜야나여,
세상의 소멸을 있는 그대로 바른 통찰지로 보는 자에게는
세상에 대해 있다는 관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
5.
"깟짜야나여,
세상은 대부분 [갈애와 사견으로 인해] 집착과 취착과 천착에 묶여 있다.
그러나 [바른 견해를 가진 성스러운 제자는],
마음이 머무는 곳이요 천착하는 곳이요 잠재하는 곳인
그러한 집착과 취착을
'나의 자아'라고 가까이하지 않고 취착하지 않고 고수하지 않는다.
그는
'
단지 괴로움이 일어날 뿐이고,
단지 괴로움이 소멸할 뿐이다.'라는 데 대해서
의문을 가지지 않고 의심하지 않는다.
여기에 대한 그의 지혜는
다른 사람을 의지하지 않는다.
깟짜야나여,
이렇게 해서 바른 견해가 있게 된다
."
6.
"깟짜야나여,
'모든 것은 있다.'는 이것이 하나의 극단이고
'모든 것은 없다.'는 이것이 두 번째 극단이다.
깟짜야나여,
이러한 양 극단을 의지하지 않고
중간[中]에 의해서 여래는 법을 설한다.
1) 무명을 조건으로 의도적 행위들이,
2) 의도적 행위들을 조건으로 알음알이가,
3) 알음알이를 조건으로 정신·물질이,
4)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여섯 감각장소가,
5) 여섯 감각장소를 조건으로 감각접촉이,
6) 감각접촉을 조건으로 느낌이,
7) 느낌을 조건으로 갈애가,
8) 갈애를 조건으로 취착이,
9) 취착을 조건으로 존재가,
10) 존재를 조건으로 태어남이,
11)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죽음과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전체 괴로움의 무더기[苦蘊]가
발생한다.
그러나
1) 무명이 남김없이 빛바래어 소멸하기 때문에 의도적 행위들이 소멸하고,
2) 의도적 행위들이 소멸하기 때문에 알음알이가 소멸하고,
3) 알음알이가 소멸하기 때문에 정신·물질이 소멸하고,
4) 정신·물질이 소멸하기 때문에 여섯 감각장소가 소멸하고,
5) 여섯 감각장소가 소멸하기 때문에 감각접촉이 소멸하고,
6) 감각접촉이 소멸하기 때문에 느낌이 소멸하고,
7) 느낌이 소멸하기 때문에 갈애가 소멸하고,
8) 갈애가 소멸하기 때문에 취착이 소멸하고,
9) 취착이 소멸하기 때문에 존재가 소멸하고,
10) 존재가 소멸하기 때문에 태어남이 소멸하고,
11) 태어남이 소멸하기 때문에
늙음·죽음과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이 소멸한다.
이와 같이
전체 괴로움의 무더기[苦蘊]가
소멸한다."
'식진암(識盡庵) > 그대는 무엇을 두고 '나'라고 하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있다'라는 생각은 허망한 생각이요, 질병이요 가시이다 (界分別經 MA III, 246) (0) | 2013.09.05 |
---|---|
윤회의 시작(S15.1 풀과 나무 경 - 무더기 상윳따에서) (0) | 2013.09.04 |
아라한의 사망(열반)은 완전한 파멸이 아니다 - 마하시 사야도(Mahasi Sayadaw) (0) | 2012.08.17 |
유신견(有身見)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0) | 2012.02.20 |
'나'라는 소견(유신견)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 담마디나 비구니 (0) | 2012.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