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굿따라니까야3/A1. 하나의 모음 21

A1.21 몸에 대한 마음챙김 품: 들숨날숨에 마음챙겨,,, 몸(色/물질)을 꿰뚫어 앎

1. "비구들이여, 마음으로 큰 바다에 닿은 자는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작은 강들을 모두 포함한다. 그와 마찬가지로 몸에 대한 마음챙김을 닦고 많이많이 [공부]지은 자는 영지에 동참하는 모든 선법들을 포함한다." 2∼8. "비구들이여, 하나의 법이 있어 그것을 닦고 많이많이 [공부]지으면 크게 절박함으로 인도한다 ... 큰 이익으로 인도한다. ... 큰 유가안은으로 인도한다. ... 마음챙기고 알아차리게 한다. ... 지견을 얻게 한다. ... 금생에서 행복하게 머물게 한다. ... 영지와 해탈의 과를 실현하도록 한다. 어떤 것이 그 하나의 법인가? 몸에 대한 마음챙김이다. 비구들이여, 실로 이 하나의 법을 닦고 많이많이 [공부]지으면 ...... 영지와 해탈의 과를 실현하도록 한다." 9~12. "비구..

A1.20 손가락 튀기기의 연속 품: 손가락 튀기는 순간만큼이라도 수행을 한다면

1. "비구들이여, 다음과 같은 것은 공양받을 확실한 이유이다. 숲 속에 머묾, 탁발음식만 수용함, 분소의를 입음, 삼의만 수용함, 법을 설함, 율을 호지함, 많이 배움, 승랍이 높음, 품행이 단정함, 지지자를 얻음, 많은 지지자를 거느림, 좋은 가문의 후손, 준수한 용모, 고운 말, 욕구가 적음, 병 없음이다. " 사선[四禪] _ 바른 삼매 2.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손가락을 튀기는 순간만큼이라도 초선(初禪)을 닦는다면 그를 일러 비구라 부른다. 그의 선(禪)은 헛되지 않으며, 위의(威儀)로써 머물고, 스승의 교법을 받들고, 교훈을 받아 들이며, 백성들이 주는 보람된 공양을 먹는다. 그것을 많이 닦는 자에 대해서야 말해 무엇하겠는가?" 3.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손가락을 튀기는 순간만큼이라도..

A1.19 잠부 섬 품: 인간으로 죽어 인간으로 태어나는 이 적고,,,

1. "비구들이여, 이 잠부 섬에 아름다운 공원, 아름다운 숲, 아름다운 땅, 아름다운 호수는 얼마 안 되는 반면 가파른 곳, 건널 수 없는 강, 나무 그루터기와 가시가 가득 찬 수풀, 울퉁불퉁한 산은 많다. 그와 마찬가지로 비구들이여, 육지에 태어난 중생들은 적고 물에 태어난 중생들은 많다. 그와 마찬가지로 비구들이여, 인간으로 태어난 중생들은 적고 비인간으로 태어난 중생들은 많다. 그와 마찬가지로 비구들이여, 지역의 중심[中國]에 인간으로 태어난 중생들은 적고 변방에서 무지몽매한 멸려차(蔑戾車)로 태어난 중생들은 많다. 그와 마찬가지로 비구들이여, 통찰력이 있고 재치가 있고 귀머거리와 벙어리가 아니고 잘 설한 것과 잘못 설한 것의 뜻을 판단할 능력이 있는 중생들은 적고 어리석고 둔하고 귀먹고 말 못하..

A1.18 막칼리 품: 막칼리, 업도 업 지음도 정진도 없다.

1. "비구들이여, 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날 때, 그는 많은 사람들에게 손해가 되고 많은 사람들에게 불행이 되고 많은 신과 인간들에게 해로움이 되고 손해가 되고 괴로움이 되기 위해 태어난다. 누가 그 한 사람인가? 삿된 견해를 가진 사람이다. 전도된 견해를 가진 그는 많은 사람들을 정법에서 물러나서 삿된 법에 머물게 한다. 비구들이여, 이 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날 때, 그는 ・・・ 괴로움이 되기 위해 태어난다." 2. "비구들이여, 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날 때, 그는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고, 많은 사람들에게 행복이 되고, 많은 신과 인간들에 게 이로움이 되고 이익이 되고 행복이 되기 위해 태어난다. 누가 그 한 사람인가? 바른 견해를 가진 사람이다. 바른 견해를 가진 그는 많은 사람들을 삿된 법에서..

A1.17 씨앗 품: 삿된/바른 견해라는 씨앗

1. "비구들이여, 이것 이외에 다른 어떤 법에 의해서도 아직 일어 나지 않은 불선법이 일어나고, 또 이미 일어난 불선법은 증장하고 드세어지는 것을 나는 보지 못하나니, 그것은 바로 삿된 견해[邪見]이다. 비구들이여, 삿된 견해를 가진 자에게 아직 일어나지 않은 불선법이 일어나고 또 이미 일어난 불선법은 증장하고 드세어진다." 2. "비구들이여, 이것 이외에 다른 어떤 법에 의해서도 아직 일어 나지 않은 선법들이 일어나고, 또 이미 일어난 선법들은 증장하고 충만해지는 것을 나는 보지 못하나니, 그것은 바로 바른 견해이다. 비구들이여, 바른 견해를 가진 자에게 아직 일어나지 않은 선법들이 일어나고, 또 이미 일어난 선법들은 증장하고 충만해진다." 3. "비구들이여, 이것 이외에 다른 어떤 법에 의해서도 아..

A1.16 한 가지 법 품: 열 가지 계속해서 생각함[隨念, annusati]

1. "비구들이여, 하나의 법이 있어, 그것을 닦고 많이 공부 지으면 절대적인 역겨움, 탐욕이 빛바램, 소멸, 고요함, 최상의 지혜, 깨달음, 열반을 얻게 한다. 무엇이 그 하나의 법인가? 부처님을 계속해서 생각함이다. 비구들이여, 이 하나의 법을 닦고 많이 공부 지으면 절대적인 역겨움, 탐욕이 빛바램, 소멸, 고요함, 최상의 지혜, 깨달음, 열반을 얻게된다." 2~10. "비구들이여, 하나의 법이 있어, 그것을 닦고 많이 공부 지으면 [윤회에 대한 절대적인 역겨움, 탐욕이 빛바램, [탐욕 등의] 소멸, [오염원들의] 고요함, 최상의 지혜, 깨달음, 열반을 얻게 된다. 무엇이 그 하나의 법인가? 법을 계속해서 생각함이다....." "... 승가를 계속해서 생각함이다. ..." "... 계를 계속해서 생각..

A1.15 불가능 품: 불가능 한 것/가능한 것

(1) 첫 번째 1. "비구들이여, 이것은 있을 수 없고 불가능한 일이다. 바른 견해를 가진 사람이 형성된 것(行, sankhara)은 어떤 것이건 그것을 영원하다고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비구들이여, 이것은 가능한 일이다. 범부가 형성된 것은 어떤 것이건 그것을 영원하다고 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다." 2. "비구들이여, 이것은 있을 수 없고 불가능한 일이다. 바른 견해를 가진 사람이 형성된 것은 어떤 것이건 그것을 행복하다고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비구들이여, 이것은 가능한 일 이다. 범부가 어떠한 형성된 것이든 그것을 행복하다고 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다." 3. "비구들이여, 이것은 있을 수 없고 불가능한 일이다. 바른 견해를 가진 사람이 형성된 것은 어떤 것이건 ..

A1.14 으뜸 품: 각 방면에서 으뜸가는 80분의 제자들

(1) 첫 번째 1-1. "비구들이여, 나의 구참(參) 비구 제자들 가운데서 안냐꼰단냐가 으뜸이다." * 본 품은 다시 7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첫 번째부터 네 번째까지는 각 방면에서 으뜸인 비구 47분들을 모은 품이고, 다섯 번째는 비구니 13분을, 여섯 번째는 남자 신도 10분을, 일곱 번째는 여자 신도 10분을 모은 것이다. 이렇게 해서 각 방면에서 으뜸가는 80분의 부처님 제자들이 거명되고 있다. (중복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주석서는 이 80분 의 으뜸가는 분들의 설명에 무려 335쪽을 할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역자[대림스님]는 이를 참조해서 간략하게 주를 달았다. 이하 주해들에서 별다른 출처를 밝히지 않은 것은 모두 본서의 해당부분에 상응하는 「앙굿따라 니까야 주..

A1.13 한 사람 품: 그 한 사람, 여래·아라한·정등각

1. "비구들이여, 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날 때, 그는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고, 많은 사람들에게 행복이 되고, 세상을 연민하고 많은 신과 인간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이익이 되고 행복이 되기 위해 태어난다. 누가 그 한 사람인가? 여래·아라한·정등각이시다. 비구들이여, 이 분은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고, 많은 사람들에 게 행복이 되고, 세상을 연민하고 많은 신과 인간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이익이 되고 행복이 되기 위해 태어난다." 2. "비구들이여, 한 사람의 출현은 세상에서 아주 얻기 어렵다. 어떤 한 사람인가? 여래·아라한·정등각이시다. 비구들이여, 참으로 이 한 사람의 출현은 세상에서 아주 얻기 어렵다." 3. "비구들이여, 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날 때 그는 비범한 사람으로 태어난다. 누가 그 ..

A1.12 범계가 아님 등의 품: 비구가 범계에 관하여 정법을 사라지게 함

1. "비구들이여, 비구들이 있어 그들은 범계가 아닌 것(계를 범하지 않은 것)을 범계(犯, 계를 범함)라고 말한다. 비구들이여, 그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손해가 되고 많은 사람들에게 불행이 되고 많은 신과 인간들에게 해로움이 되고 손해가 되고 괴로움이 되게 한다. 또한 그 들은 많은 악덕(德)을 쌓고 정법을 사라지게 한다." 2. "범계를 범계가 아니라고 말한다...." 3. “가벼운 범계를 무거운 범계라고 말한다. ..." 4. "무거운 범계를 가벼운 범계라고 말한다. ..." 5. "추악한 범계를 추악한 범계가 아니라고 말한다...." 6. "추악한 범계가 아닌 것을 추악한 범계라고 말한다...." 7. "구제할 수 있는 범계를 구제할 수 없는 범계라고 말한다. ..." 8. “구제할 수 없는 범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