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굿따라니까야3/A3. 셋의 모음 57

A3.7 비난받아 마땅함 경: 어리석은 자 _ 몸으로, 말로, 마음으로 비난받아 마땅한 업을 짓는 자

Sāvajja-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어리석은 자라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몸으로 짓는 비난받아 마땅한 업,       말로 짓는 비난받아 마땅한 업,       마음으로 짓는 비난받아 마땅한 업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어리석은 자라 알아야 한다." 2.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현명한 자라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몸으로 짓는 비난받을 일이 없는 업,       말로 짓는 비난받을 일이 없 는 업,       마음으로 짓는 비난받을 일이 없는 업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법을 가진 ..

A3.6 해로움 경: 어리석은 자 _ 몸으로, 말로, 마음으로 불선업을 짓는 자

Akusala-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어리석은 자라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몸으로 짓는 해로운 업[不善業],       말로 짓는 해로운 업,       마음으로 짓는 해로운 업이다.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어리석은 자라 알아야 한다. 2.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현명한 자라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몸으로 짓는 유익한 업[ 善業 ],       말로 짓는 유익한 업,       마음으로 짓는 유익한 업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현명한 자라 알아야 한다."

A3.5 지혜 없음 경: 지혜롭지 않게 질문하는 것, 지혜롭지 않게 대답하는 것, 지혜롭게 대답할 때 기뻐하지 않는 것

Ayoniso-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어리석은 자라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지혜롭지 않게 질문하는 것과       질문에 지혜롭지 않게 대답하는 것과       다른 자가 체계적이고 적절한 문구를 갖추어 지혜로운 질문에 대답할 때       기뻐하지 않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어리석은 자라 알아야 한다."  2.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현명한 자라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지혜롭게 질문하는 것과       질문에 지혜롭게 대답하는 것과       다른 자 가 체계적이고 적절한 문구를 갖추어 지혜로운 ..

A3.4 잘못 경: 1) 잘못을 범했다고 보는 것 2) 인정하고 법답게 고치는 것, 3) 지적하면 받아들이는 것,,, 세 가지 법을 가진 자가 현명한 자다.

Accaya-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어리석은 자라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1) 잘못을 범하고도 잘못을 범했다고 보지 않는 것과       2) 잘못을 범한 것에 대해 잘못을 범했다고 인정하면서도 법답게 고치지 않는 것과       3) 잘못을 범한 것에 대해 다른 자가 지적함에도 불구하고 법답게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어리석은 자라 알아야 한다."  2.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법을 가진 자는 현명한 자라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1) 잘못을 범하고 잘못을 범했다고 보는 것과       2) 잘못을 범한 것에 ..

A3.3 생각 경: 어리석은 자의 특징, 표상, 행동 _ 마음, 말, 몸의 10가지 불선업도

Cinti-sutta 1.     "비구들이여,       어리석은 자의 특징(lakkana)과 표상(nimitta)과 행동(apadana)은 세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이 셋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리석은 자는      나쁜 것을 생각하고, 나쁜 말을 하고, 나쁜 행위를 저지른다.       비구들이여, 만약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현명한 자가 그를 '이 사람은 어리석고 나쁜 사람이다.'라고 알겠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리석은 자는      나쁜 것을 생각하고 나쁜 말을 하고 나쁜 행위를 저지른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현명한 자가 그를 '이 사람은 어리석고 나쁜 사람이다.'라고 안다.       비구들이여,     ..

A3.2 특징 경: 어리석은 자, 현명한 자,, '행위'에 의해서 규정되는 세 가지 특징

Lakkhana-sutta 1.      "비구들이여,       어리석은 자도 행위(업, kamma)에 의해서 규정되고      현명한 자도 행위에 의해서 규정되나니,       [인간의] 통찰지는 [자신의] 행동에 의해서 드러나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세 가지 특징을 가진 자를 어리석은 자라고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몸으로 짓는 나쁜 행위,       말로 짓는 나쁜 행위,       마음으로 짓는 나쁜 행위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특징에 의해 어리석은 자라 알아야 한다."  2.      "비구들이여, 세 가지 특징에 의해 현명한 자라고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셋인가?        몸으로 짓는 좋은 행위,       말로..

A3.1 어리석은 자 경: 어리석은 자의 세 가지 특징을 버려,, 두려움, 위험, 재앙을 일으키지 않으리라

셋의 모음Tika-nipāta I. 첫 번째 50개 경들의 묶음   Pathama-panṇāsaka 제1장 어리석은 자 품          Bala-vagga  어리석은 자경(A3:1)339)Bāla-sutta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사왓티에서 제따 숲의 급고독원에 머무셨다.        거기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부르셨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어떠한 두려움(bhaya)이든 그것이 일어나는 것은 모두 어리석은 자 때문에 일어난다.       현자 때문이 아니다.        어떠한 위험(upasagga)이든 그것이 일어나는 것은 모두 어리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