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27

A2.17.3 최상의 지혜로 앎 경: 욕망(raga)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Abhinna-sutta      "비구들이여,      욕망(raga)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어떤 것이 둘인가?       사마타와 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욕망을 최상의 지혜로 알기 위해서 이러한 두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 육차결집본은 이 이하를 욕망의 반복(Raga-peyyala)으로 부르고 있다.

A2.17.2 빠띠목카 경: 이러한 이유로 빠띠목카(바라제목차, 戒目)를 나는 제정하였다.

Patimokkha-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여래는 제자들에게      [비구 빠띠목카와 비구니 빠띠목카의 두 가지] 빠띠목카(바라제목차, 戒目)를 제정하였다.         * '학습계목(sikkhápada)'과 '빠띠목카(pâtimokkha, 바라제목차, 계목)'의 뜻은           큰 차이가 없다.           그래서 청정도론」에서는 "빠띠목카란 학습계율의 계목을 뜻한다." (Vis.I.43)라고           설명한다.            다만 빠띠목카는 비구 빠띠목카 (비구계목)나 비구니 빠띠목카(비니)라는 문맥에만           거의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빠띠목카를 포함한 5계, 8계, 10계 등의 계목을           모두 학습계목이라 부..

A2.17.1 학습계목 경: 두 가지 법으로 된 여섯 가지 이유 때문에, 여래는 제자들에게 학습계목을 제정하였다.

제17장 율 등의 품(A2:17:1~5)     Vinayādi-vagga       * PTS본에는 본품의 명칭이 없다.        육차결집본에는 본 품의 1~2번 경을 「율의 반복」 (Vinaya-peyyala)이라고         이름하고 있고,         본 품의 3번 경 이하를  「탐욕의 반복」 (Raga-peyyala)이라 부르고 있어서        이를 참조하여 「율 등의 품」(Vinayādi-vagga)이라고 본 품의 명칭을 정하였다.         학습계목 경(A2:17:1)      Sikkhapada-sutta      "비구들이여,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여래는 제자들에게 학습계목을 제정하였다.       어떤 것이 둘인가?       1)      승가가 미덕을 갖추고..

A2.16.1∼100 분노 품: 분노·원한/위선·앙심을 품음/질투·인색/속임·사기/양심 없음·수치심 없음 _ 괴로움과 행복을 익게 하는 법들

제16장 분노 품(A2:16:1~100)Kodha-vagga 1.     "비구들이여, 두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분노와 원한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법이 있다." 2.      "... 위선과 앙심을 품음이다. ..."3.      "... 질투와 인색이다...." 4.      "... 속임과 사기이다. ..."5.      "... 양심 없음과 수치심 없음이다. ..."  6.      "... 분노 없음과 원한 없음이다. ..."7.      "... 위선 없음과 앙심을 품지 않음이다. ..."8.      "... 질투 없음과 인색하지 않음이다. ..."9.      "... 속이지 않음과 사기 치지 않음이다. ..."10.      "....

A2.15.1 ∼ 17 : 증득 품 外 두 가지 쌍으로 된 법들

제15장 증득 품(A2:15:1~17)     Samapatti-vagga 1.     "비구들이여, 두 가지 법이 있다.      어떤 것이 둘인가?       증득[證得]에 대한 능숙함과      증득으로부터의 출정(出定)에 대한 능숙함이다."         * 본 품과 다음 품의 경들은 짝이 되는 두 가지 법수만을 나열하고 있기 때문에         지면상 경의 이름을 명기하지 않았다.       * "알맞은 음식과 알맞은 기후를 취하여 증득에 드는 것에 능숙한 것이          증득에 대한 능숙함(samapatti-kusalata)이고,           미리 결정한 시간을 다 채우고 증득에서 나오는 것에 대해서 능숙함이          출정에 대한 능숙함(samápatti-vutthān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