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바라문 학도여,
공덕을 쌓고 유익함을 성취하기 위하여 바라문들이 천명한 다섯 가지 법들 가운데,
바라문들은 어떤 법이 공덕을 쌓고 유익함을 성취하는데 더 큰 결실을 가져온다고 천명
하는가?"
"고따마 존자시여,
공덕을 쌓고 유익함을 성취하기 위하여 바라문들이 천명한 다섯 가지 법들 가운데,
바라문들은 베풂이 공덕을 쌓고 유익함을 성취하는데에 더 큰 결실을 가져 온다고
천명합니다."
19.
"바라문 학도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바라문이 큰 제사를 거행하는데
그때 두 바라문이 '이런 이름을 가진 바라문의 큰 제사에 동참하리라.'라고 하면서 왔다 하자.
그 중의 한 바라문이 '오, 식당에서 내가 참으로 내가 상석에 앉아 먼저 물을 받고 먼저 음식을
받아야지. 식당에서 다른 바라문이 상석에 앉아 먼저 물을 받고 먼저 음식을 받지 않기를.'하고
생각했다 하자.
바라문 학도여, 그러나 식당에서
다른 바라문이 상석에 앉아 먼저 물을 받고 먼저 음식을 받고 식당에서 그 바라문이 상석에 앉아
먼저 물을 받고 먼저 음식을 받지 못할 경우가 있을 것이다.
그러면 그는 '식당에서 다른 바라문이 먼저 물을 받고 먼저 음식을 받고 식당에서 내가 상석에
앉아 먼저 물을 받고 먼저 음식을 받지 못하는구나.'라고 그는 화내고 기분 나빠할 것이다.
바라문 학도여, 이것에 대해 바라문들은 어떤 과보를 선언하는가?"
"고따마 존자시여,
바라문들은 '이 보시로 다른 사람이 화내고 기분 나빠하기를.'하는 생각으로 보시를 베풀지
않습니다. 대신에 연민에서 우러나온 보시를 베풉니다."
"바라문 학도여, 그렇다면 바라문들에게
이 연민에서 우러나옴은 공덕을 행하는 여섯 번째 토대가 되지 않겠는가?"
"고따마 존자시여,
바라문들에게 이 연민에서 우러나옴은 공덕을 행하는 여섯 번째 토대가 됩니다."
'맛지마니까야(中部) > M99.수바경-초월·성냄없는 마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범천의 일원이 되는 길 _ 네가지 고귀한 머묾(四梵住) (0) | 2018.04.24 |
---|---|
9. 바라문들이 선언하는 '진실을 말함/고행/불음행/만뜨라/베풂' 5가지 모두는 결국 '악의없는 마음'을 닦기 위한 도구다. (0) | 2018.04.23 |
7. 2) 다섯 가닥의 얽어매는 감각적 욕망에 매인 채, 삼매(마음의 조복)없이 인간을 초월할 수 없다. (0) | 2018.04.23 |
6. 1) 다섯 가지 장애(五蓋)를 제거하지 못한 자는 인간을 초월할 수 없다. (0) | 2018.04.23 |
5. 인간이 인간을 초월한다는 일은 있을 수 없다. 허망한 소리일 뿐. vs '태어날 때부터 눈먼 사람'일 뿐 (0) | 2018.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