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1] 해로운 사유
"목수여,
무엇이 해로운 사유인가?
감각적 욕망에 대한 사유, 악의에 대한 사유, 해코지에 대한 사유이다.
목수여,
이를 일러 해로운 사유라 한다.
2] 해로운 사유의 일어남
목수여,
이 해로운 사유는 어디에서 일어나는가?
그들의 일어남도 설했나니
인식에서 일어난다고 말한다.
어떠한 인식인가?
인식은 다양하고 여러 종류이고 여러 형태인데
감각적 욕망에 대한 인식, 악의에 대한 인식, 해코지에 대한 인식이 있다.
그것에서 해로운 사유가 일어난다.
3] 해로운 사유의 소멸
목수여, 그러면
어디서 이 해로운 사유는 남김없이 소멸하는가?
그들의 소멸도 설했다.
목수여, 여기 비구는
감각적 욕망들을 완전히 떨쳐버리고 해로운 법[不善法]들을 떨쳐버린 뒤,
일으킨 생각[尋]과 지속적 고찰[伺]이 있고,
떨쳐버렸음에서 생긴 희열[喜]과 행복[樂]이 있는
초선(初禪)을 구족하여 머문다.
여기서 이 해로운 사유는 남김없이 소멸한다.
4] 해로운 사유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
목수여,
어떻게 도를 닦을 대 해로운 사유를 소멸하기 위해 도를 닦는 것인가?
목수여, 여기 비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나쁘고 해로운 법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열의를 일으키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이미 일어난 나쁘고 해로운 법들은 제거하기 위해
열의를 일으키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유익한 법들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열의를 일으키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이미 일어난 유익한 법들은
지속하게 하고 사라지지 않게 하고 증장하게 하고 충만하게 하고 닦기 위해
열의를 일으키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쓴다.
목수여,
이렇게 도를 닦을 때 해로운 사유를 소멸하기 위해 도를 닦는 것이다."
'맛지마니까야(中部) > M78.사마나만디까경-계행을 넘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최고의 경지를 얻은 자 _ 무학의 열 가지 법을 구족한 자 (0) | 2017.11.25 |
---|---|
8. 4) 유익한 사유/일어남/소멸/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 (0) | 2017.11.25 |
6. 2) 유익한 행위/일어남/소멸/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 (0) | 2017.11.24 |
5. 1) 해로운 행위/일어남/소멸/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 (0) | 2017.11.24 |
4. 행동과 사유에 있어서 무엇이 유익하고 해로운 것인지/그 일어남과 소멸/그 소멸을 위한 도닦음을 꿰뚫어 알아야 (0) | 2017.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