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밧달리여,
내가 어린 준마에 대한 비유로 법문을 설할 때에 너희들 몇 명이 거기에 있었다.
밧달리여,
그대는 그것을 기억하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밧달리여,
그것이 무엇 때문이라고 생각하는가?"
"세존이시여,
제가 스승의 교법에서 오랫동안 학습계목을 완전하게 실천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밧달리여,
이것만이 원인이 아니고 이것만이 이유가 아니다.
밧달리여,
나는 오랫동안 내 마음으로 그대의 마음에 대하여 알고 있다.
'이 쓸모없는 인간은 내가 법을 설하더라도
뜻을 파악하고 마음에 잡도리하고 온 마음으로 몰두하고 경청하지 않는구나.'라고.
밧달리여,
그렇더라도 이제 나는 어린 준마의 비유로 법문을 설하리라.
그것을 듣고 잘 마음에 잡도리하라.
나는 설하리라."
"그러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밧달리 존자는 세존께 대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33.
"밧달리여, 예를 들면
능숙한 조련사는 건강한 준마를 얻으면
먼저 그 말에 1) 재갈을 무는 일에 익숙하게 한다.
그 말이 재갈을 무는 훈련을 받으면,
그 말이 이전에 해 본적이 없기 때문에 비틀고 안절부절하고 몸부림치지만
끊임없이 반복하고 점차적으로 숙달되어 마침내 그것에 유순해진다.
밧달리여,
그 건강한 준마가 끊임없이 반복하고 점차적으로 숙달되어 그것에 유순해지면
능숙한 조련사는 그 말이 다시 2) 마구를 차는 일에 능숙하게 한다.
그 말이 마루를 차는 훈련을 받으면,
그 말이 이전에 해 본적이 없기 때문에 비틀고 안절부절하고 몸부림치지만
끊임없이 반복하고 점차적으로 숙달되어 마침내 그것에 유순해진다.
밧달리여,
그 건강한 준마가 끊임없이 반복하고 점차적으로 숙달되어 그것에 유순해지면
능숙한 조련사는 그가 다시
3) [일격으로 네 발을] 동시에 들고 놓으며,
4) [땅바닥에 떨어진 무기를 주을 수 있도록] 둥글게 돌고,
5) [소리를 내지 않도록] 발굽 끝으로 가고,
6) 전력질주하고,
7) [소리를 두려워 않고 적을 향해] 돌진하고,
8) 왕다운 자질을 가지고,
9) 왕다운 묘기를 가지고,
10) 최상의 속력과 최상의 움직임과 최상의 조련을 거치는 훈련을 받으면,
그 말이 이전에 해 본적이 없기 때문에 비틀고 안절부절하고 몸부림치지만
끊임없이 반복하고 점차적으로 숙달되어 마침내 그것에 유순해진다.
밧달리여,
그 건강한 준마가 끊임없이 반복하고 점차적으로 숙달되어 마침내 그것에 유순해지면
능숙한 조련사는 최고로 꾸며주고 돌보아주는 보답을 한다.
밧달리여,
이들 열 가지 요소들을 구족한 어린 준마는 왕에게 어울리고 왕을 섬길 수 있으며
왕의 수족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다."
34.
"밧달리여,
이와 같이 열 가지 법들을 구족한 비구는
공양받아 마땅하고,
선사받아 마땅하고,
보시받아 마땅하고,
합장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밭[福田]이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밧달리여, 여기 비구는
1) 무학(無學)의 바른 견해를 구족한다.
2) 무학의 바른 사유를 구족한다.
3) 무학의 바른 말을 구족한다.
4) 무학의 바른 행위를 구족한다.
5) 무학의 바른 생계를 구족한다.
6) 무학의 바른 정진을 구족한다.
7) 무학의 바른 마음챙김을 구족한다.
8) 무학의 바른 삼매를 구족한다.
9) 무학의 바른 지혜를 구족한다.
10) 무학의 바른 해탈을 구족하다.
밧달리여,
이와 같은 열 가지 법들을 구족한 비구는
공양받아 마땅하고,
선사받아 마땅하고,
보시받아 마땅하고,
합장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밭[福田]이다."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설하셨다.
밧달리 존자는 흡족한 마음으로 세존의 말씀을 크게 기뻐했다.
- 밧달리 경(M65)이 끝났다.
'맛지마니까야(中部) > M65.밧달리경-계목의 완전한 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後記: 밧달리 경을 마치며,,, (0) | 2017.09.16 |
---|---|
7. 중생들의 근기, 시기, 승가의 규모/이득/배움의 많고 적음/오래됨에 따라 학습계목은 늘어난다_ 번뇌 거리들이 나타나고 그를 물리치기 위함이다. (0) | 2017.09.11 |
6. 무슨 이유로 어떤 비구는 오래 훈계하고 어떤 비구는 그렇게 하지 않습니까? (0) | 2017.09.11 |
5. 4) 학습계목(戒)을 완전하게 실천하기 때문에, 스스로 선정과 지혜와 열반을 증득한다. (0) | 2017.09.11 |
4. 3) 학습계목(戒)를 완전하게 실천하지 못하면, 외딴 처소를 의자해 수행하더라도 성취할 수 없다. (0) | 2017.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