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성제(四聖諦)란 무엇인가.
괴로움이라는 고귀한 진리(苦聖諦),
괴로움의 원인이라는 고귀한 진리(苦集聖諦),
괴로움의 소멸이라는 고귀한 진리(苦滅聖諦),
괴로움을 소멸하는 길이라는 고귀한 진리(苦道聖諦)
의 넷을 가리킨다.
이러한 사성제는 초기불교의 궁극적 가르침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붓다의 가르침은
보시(施論), 계율(戒論), 천상세계(生天論), 사성제(四聖諦)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그는 이들 각각의 과정을 충분히 마친 사람들에 한해 최종적으로 사성제의 가르침을 펼쳤다.
사성제를 빨리어(Pāli)로 표현하자면 ‘4가지 아리야삿짜(cattāri ariyasaccāni)’가 된다.
아리야삿짜란 말 그대로 ‘고귀한 진리’로 옮길 수 있다.
초기불교에서 아리야삿짜라는 표현은 고(苦)·집(集)·멸(滅)·도(道)의 사성제를 가리킨다.
붓다는 다양한 가르침을 펼쳤지만 그의 모든 가르침은 결국 사성제로 귀결될 수 있다.
“사성제를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여 긴 세월을 이생 저생으로 치달려 왔나니,
이제 이것을 보아 새로운 존재로의 이끌림을 근절했노라.
괴로움의 뿌리를 잘라버렸나니,
이제 다시 태어남이란 있지 않도다.”
괴로움이란 태어남·늙음·병듦·죽음 등 인간의 실존에서 피할 수 없는 현상들을 지칭한다.
그런데 이들은 형이상학적 차원에서 제시되는 괴로움이 아니라는 점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괴로움에 직면한 우리는
“나는 괴롭다.” “나는 이 괴로움이 싫다.”는 따위의 생각에 발버둥을 친다.
그러나 붓다는 이러한 생각마저 내려놓고서 괴로움을 직시하라고 이른다.
이러한 붓다의 가르침은 다만 “이러한 괴로움이 있다.”라는 방식으로 표현된다.
이와 같은 붓다의 진술은 매우 단순하지만 심오한 깊이를 지닌다.
우리는 괴로움을 그 자체로 보지 않고서
습관적으로 ‘나’라든가 ‘너’라든가 혹은 ‘우리’ 따위의 관념을 투사한다.
그 결과 그것의 실체를 정확히 알지도 못한 채
성급히 제거에 나서거나 혹은 애써 도피하려 몸부림친다.
붓다에 따르면 대부분의 중생들은 그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걷잡을 수 없는 괴로움의 수렁에 빠진다. “나의 이 괴로움은 도대체 언제까지 갈 것인가.”
“나의 이 지긋지긋한 괴로움을 누구에게 호소한단 말인가.”
그러나 그러한 마음상태로는 괴로움의 실체를 알 수 없으며,
그것의 원인에 대한 자각과 소멸에 이르는 길로도 나아갈 수 없다.
우리는 괴로움을 ‘나의 것’으로 개인화하는 경향을 지닌다.
혹은 그것을 ‘나’ 혹은 ‘나의 자아’로 실체화하곤 한다.
그러나 붓다는 다만 “이러한 괴로움이 있다.”라는 사실에 주목하라고 이른다.
섣부르게 괴로움에 맞서는 것은 오히려 괴로움을 증폭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괴로움을 있는 그대로 느끼고 수용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태도는 괴로움 자체로부터
그것이 파생시킨 불안과 공포 따위의 부정적 정서를 분리시킨다.
그리하여 갖가지 정서적·심리적 뒤엉킴과 부풀림의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해준다.
이렇게 되었을 때 비로소 우리는 괴로움에 대해
‘나’를 개입시키지 않고
덧없이 흘러가는 현상의 하나로 초연히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우리는 이와 같이 괴로움을 마주해야 하고, 이해해야 하며,
또한 그것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끝마쳐야 한다.
이렇게 할 때
마침내 괴로움의 원인과 그것의 소멸과 소멸에 이르는 방법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붓다는 이러한 3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사성제 각각에 적용하여
도합 12단계 이르는 점진적인 수행의 여정(三轉十二行相)을 제시한다.
붓다는 이 과정을 그 자신에게 철저히 적용시켜 실현한 연후에,
비로소 신과 인간들에 대해
‘위없는 바른 깨달음(無上正等正覺, anuttaraṃ sammāsaṁbodhi)’을 선언했다고 한다.
사성제는 언어적 유희 차원에 머무는 사변적·형이상학적 가르침이 아니다.
이것은 타오르는 불길을 멎게 하는 단비와 같이 실제적인 효력을 지닌다.
'식진암(識盡庵) > 임승택교수님의 초기불교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44. 집성제(集聖諦) - '괴로움의 원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 (0) | 2013.05.25 |
---|---|
42. 고성제(苦聖諦) -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 (0) | 2013.05.20 |
40. 천상세계에 관한 가르침 - 보시·지계로 천상세계에 태어남 (0) | 2013.05.15 |
39. 계율에 대한 가르침 - 내적 비난과 두려움으로부터의 지킴 (0) | 2013.05.15 |
38. 보시(布施)에 대한 가르침 - 깨달음으로의 첫 걸음 (0) | 201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