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들이여, 여기에 어떤 수행자가
여섯 가지 내적인 인식 기관과 외적인 인식 대상[六內外處]이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면서 지낸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어떻게 여섯 가지 내적인 인식 기관과 외적인 인식 대상이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면서 지내는가?
여기에 비구가
눈[眼; 시각 기관]을 알아차리고,
색[色; 시각 대상으로서의 모양과 색깔]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이 두 가지를 조건으로 해서 생겨난 (번뇌의) 족쇄[結; samyojana]를 알아차린다.
그리고 아직 생겨나지 않은 족쇄가 생겨나면 그것을 알아차리고,
생겨난 족쇄가 끊어지면 그것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끊어진 족쇄가 이후로 생겨나지 않으면 그것을 알아차린다.
귀[耳; 청각기관]를 알아차리고,
소리[聲]를 알아차린다.
그리고 이 두 가지를 조건으로 해서 생겨난 (번뇌의) 족쇄를 알아차린다.
그리고 아직 생겨나지 않은 족쇄가 생겨나면 그것을 알아차리고,
생겨난 족쇄가 끊어지면 그것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끊어진 족쇄가 이후로 생겨나지 않으면 그것을 알아차린다.
코[鼻; 후각기관]를 알아차리고,
냄새[香]를 알아차린다.
그리고 이 두 가지를 조건으로 해서 생겨난 (번뇌의) 족쇄를 알아차린다.
그리고 아직 생겨나지 않은 족쇄가 생겨나면 그것을 알아차리고,
생겨난 족쇄가 끊어지면 그것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끊어진 족쇄가 이후로 생겨나지 않으면 그것을 알아차린다.
맛[味]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이 두 가지를 조건으로 해서 생겨난 (번뇌의) 족쇄를 알아차린다.
그리고 아직 생겨나지 않은 족쇄가 생겨나면 그것을 알아차리고,
생겨난 족쇄가 끊어지면 그것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끊어진 족쇄가 이후로 생겨나지 않으면 그것을 알아차린다.
몸[身; 촉각 기관]을 알아차리고,
접촉[觸]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이 두 가지를 조건으로 해서 생겨난 (번뇌의) 족쇄를 알아차린다.
그리고 아직 생겨나지 않은 족쇄가 생겨나면 그것을 알아차리고,
생겨난 족쇄가 끊어지면 그것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끊어진 족쇄가 이후로 생겨나지 않으면 그것을 알아차린다.
마음[意; 사고 기관]을 알아차리고,
마음의 현상(法)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이 두 가지를 조건으로 해서 생겨난 (번뇌의) 족쇄를 알아차린다.
그리고 아직 생겨나지 않은 족쇄가 생겨나면 그것을 알아차리고,
생겨난 족쇄가 끊어지면 그것을 알아차린다.
그리고 끊어진 족쇄가 이후로 생겨나지 않으면 그것을 알아차린다.
이와 같이, 그는
1) 내적으로,
2) 또는 외적으로,
3) 또는 내외적으로,
법에서 법을 관찰하는 수행을 하면서 지낸다.
1) 또는 법에서 현상이 생겨나는 것을 관찰하는 수행을 하면서 지낸다.
2) 또는 법에서 (생겨난 현상이) 사라지는 것을 관찰하는 수행을 하면서 지낸다.
3) 또는 법에서 현상들이 생겨나고 사라지는 것을 관찰하는 수행을 하면서 지낸다.
또는 그에게 '법이 있다'라고 하는 마음챙김이 분명하게 확립된다.
바로 이 마음챙김은 분명한 앎을 얻기 위한 것이며,
(현상들에 대해서) 놓침이 없는 알아차림을 얻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그는 마음이 기울어져 의지하는 것이 없이 지내며,
그 어떠한 세간적인 것에 대해서도 집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비구들이여,
여섯 가지 내적인 인식 기관과 외적인 인식 대상(六內外處)이라는 법에서
법을 관찰하는 수행을 하면서 지낸다."
<역주 1)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오개(五蓋), 오온(五蘊), 십이처(十二處), 칠각지(七覺支), 사성제(四聖諦)가 설해져 있는
법에 대한 마음챙김(法念處)의 수행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이러한 교리들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수행을 해 나가면서 알아차림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점이다.
네 가지 마음챙김(四念處)을 바탕으로 하여 수행하는 위빠사나 수행의
대상 또는 주제는 인간의 정신적∙육체적(물질적) 현상을 세분한 다섯 가지 무더기(五蘊)
이다.
다섯 가지 무더기로 제시된 우리들 자신의 정신적∙육체적인 현상이 생겨나면
생겨나는 그 순간 바로 알아차리고, 사라지면 사라지는 바로 그 순간 알아차리는 것이
마음챙김을 바탕으로 한 위빠사나 수행의 비결이다.
즉, 끊임없이 생겨났다가는 사라지는 정신적∙육체적 현상들을
바로 그 생멸의 순간에 포착하는 것이 마음챙김이며,
이러한 마음챙김이 있을 때, 현상들에 대한 바른 이해인 지혜가 생겨나는 것이다.
법에 대한 마음챙김의 다섯 가지 집착된 무더기(五取蘊)에 대한 항목에서는
이처럼 생멸 하는 심신의 현상을 하나도 빠트림 없이 마음챙겨서 알아차릴 것을
가르치고 있다.
법에 대한 마음챙김의 세 번째 항목인
여섯 가지 인식 기관과 인식 대상(六內外處)에 대한 마음챙김에서는
인식 기관이 인식 대상과 부딪힐 때 생겨나는 번뇌를 다스리는 가르침으로 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눈으로 사물을 보는 순간 마음챙김이 없으면
우리의 마음에는 탐욕과 싫어함이라는 번뇌가 생겨나서
번뇌에 의해서 속박되어 버리고 만다.
이때, 번뇌가 생겨났으면 생겨났다고 바로 알아차리면, 그 번뇌는 끊어지게 된다.
번뇌가 끊어지면, 바로 번뇌가 끊어졌다고 알아차리고
다시 일차적인 마음챙김의 대상으로 돌아와서 마음챙김에 틈이 없게 해야 한다.
번뇌가 생겨나는 관문인 감각기관을 다스리는 가장 좋은 방법은
마음챙김이라는 문지기를 감각기관의 문에다 굳게 세워 놓는 것이다.
마음챙김이 굳게 자리하고 있을 때,
보고, 듣고, 냄새맡고, 맛보고, 접촉하고, 생각하는 등의 인식이 생길 때,
마음을 얽어매는 족쇄인 번뇌는 생기지 않는다.
마음챙김이라는 하나의 방패가 있을 때, 온갖 번뇌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식진암(識盡庵) > 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Ⅱ-4-7-4-5. 네 가지 고귀한 진리(四聖諦)에 대한 마음챙김 (0) | 2012.02.15 |
---|---|
Ⅱ-4-7-4-4.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七覺支)에 대한 마음챙김 (0) | 2012.02.14 |
Ⅱ-4-7-4-2. 다섯 가지 집착된 무더기(五取蘊)에 대한 마음챙김 (0) | 2012.02.14 |
Ⅱ-4-7-4-1. 다섯 가지 덮개(五蓋)에 대한 마음챙김 (0) | 2012.02.13 |
Ⅱ-4-7-4. 법에 대한 마음챙김 (法念處) (0) | 201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