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바라문이여, 엣날에 마하위지따(大勝)라는 왕이 있었소.
그는 부자여서 큰 재물과 큰 재산을 가겼으며
수많은 금은과 수많은 즐길 거리와 수많은 재물과 곡식을 가졌으며
그의 창고와 곳간은 가득 차 있었소.
바라문이여,
그때 마하위지따 왕이 한적한 곳에 가서 홀로 앉아 있는 중에 이런 분별심이 일어났소.
'나는 인간이 누릴 수 있는 막대한 재산을 얻었고 광대한 영토를 다스리며 살고 있다.
이제 나에게 오랫동안 이익과 행복이 있도록 나는 큰 제사를 지내리라.'라고.
바라문이여, 그러자 마하위지따 왕은 궁중제관 바라문을 불러서 이와 같이 말했소.
"바라문이여, 내가 한적한 곳에 가서 홀로 앉아 있는 중에 이런 분별심이 일어났소.
'나는 인간이 누릴 수 있는 막대한 재산을 얻었고 광대한 영토를 다스리며 살고 있다.
이제 나에게 오랫동안 이익과 행복이 있도록 나는 큰 제사를 지내리라.'라고.
바라문이여, 나는 큰 제사를 지내기를 원합니다.
존자는 내게 오랫동안 이익과 행복이 있도록 나를 훈도해 주시오."
11.
"바라문이여, 이렇게 말하자 궁중제관 바라문은 마하위지따 왕에게 이렇게 말했소.
'폐하의 영토는 (도둑이라는) 가시밭이 있고 살벌합니다.
마을을 약탈하는 경우도 있고, 성읍을 약탈하는 경우도 있고,
도시를 약탈하는 경우도 있으며, 노상강도들도 있습니다.
이처럼 (도둑이라는) 가시밭이 있고 살벌한 영토에서 세금을 올린다면
폐하는 폐하의 소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폐하께서는
'나는 이 도둑의 무리를 죽이거나 묶거나 재산을 몰수하거나 꾸짖거나 추방하거나 하여
처벌하리라."고 생각하실지 모릅니다.
그러나 그것은 도둑의 무리에 대한 바른 처벌이 아닙니다.
처벌에서 살아남은 무리들이 있을 것이며
그들은 나중에 왕국을 해코지할 것입니다.
대신에 이제 이런 방법을 써서 이 도둑의 무리를 바르게 처벌하셔야 합니다.
이제 폐하께서는 폐하의 왕국에서
농사와 목축에 적합한 자들에게는 씨앗과 음식을 제공하십시오.
폐하의 왕국에서
상업에 적합한 자들에게는 자금을 제공하십시오.
폐하의 왕국에서
왕의 측근이 되기에 적합한 자들에게는 음식과 보수를 제공하십시오.
이처럼 자신의 직업에 몰두하는 자들은 왕국을 해코지하지 않을 것입니다.
더불어 폐하에게는 큰 세입이 있을 것입니다.
땅은 안정되고, 영토는 (도둑이라는) 가시밭이 없어지고, 살벌하지 않게 됩니다.
백성들은 기쁨을 누리고, 기뻐서 자식들을 안고 춤을 추고,
집의 문을 열어놓고 살 것이라 생각됩니다."라고.
바라문이여, 그러자 마하위지따 왕은
'존자여 그랗게 하겠소이다.'라고 궁중제관 바라문에게 대답한 뒤
왕국에서 농사와 목축에 적합한 자들에게는 씨앗과 음식을 제공하고,
왕국에서 상업에 적합한 자들에게는 자금을 제공하였으며,
왕국에서 왕의 측근이 되기에 적합한 자들에게는 음식과 보수를 책정해 주었소.
이제 자신의 직업에 몰두하는 자들은 왕국을 해코지하지 않았소.
더불어 마하위지따 왕에게는 큰 세입이 생겼소.
영토는 (도둑이라는) 가시밭이 없어지고 살벌하지 않게 되었소.
백성들은 기쁨을 누리고,
기뻐서 가슴에 자식들을 안고 춤을 추고,
집의 문을 열어놓고 살았소."
'디가니까야(長部) > D5.꾸따단따경-참된 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필수품 (2): 왕 자신이 여덞 가지 구성요소를 갖춤 (5∼12) (0) | 2009.11.13 |
---|---|
6. 필수품 (1): 지도층과의 상의 및 동의 - 네 무리 (1∼4) (0) | 2009.11.13 |
4. 3가지 제사의 태도와 16가지 제사의 필수품을 세존께 묻다. (0) | 2009.11.11 |
3. 꾸따단따가 세존을 칭송하여 자기가 가야하는 이유를 밝힘 (0) | 2009.11.10 |
2. 다른 바라문들이 명성이 떨어지는 것 등을 이유로 꾸따단따를 말림 (0) | 2009.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