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노래, 그의 이야기/그의 야그

삼예사의 종론

이르머꼬어리서근 2008. 12. 31. 08:46

 

 

삼예사 논쟁의 역사적 배경과 그 내용

 

 

1.


티베트문화는 최초의 티베트왕국을 건설한 송짼감뽀(Srong btsan sgam po) 왕의

네팔계 왕비당나라 문성(文成)공주의 두 왕비가 상징적으로 보여주듯이,

인도계 문화와 중국계 문화의 습합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러나 티베트에서 불교가 적극적으로 수입되고 장려된 것은

티송데짼 왕(재위시기: 742∼797)에 의해서였다.

 

그는 전통종교인 본(Bon)교 대신에 불교를 장려했고,

인도에서 학승 샨타락시타와 밀교승 파드마삼바바(Padmasambhava)를 초청해

불교의 논리와 위세를 통해 본교를 억제했다고 한다.


그러나 샨타락시타의 돌연한 죽음 이후 인도계 불교의 영향력은 퇴색해 갔고,

그 대신에 티베트의 정치적·군사적 영향력 하에 들어간 툰황 일대에서 유행한

중국계 선불교가 라사에 전해지고 많은 후원자를 얻게 되었다.

 

그 당시 티베트가 중국불교계와 상당한 교류를 했다는 것은

원측의 《해심밀경소》가 법성(法成 = Chos grub)에 의해 티베트어로 번역되었다는 사실에서도

방증된다.

 

중국 선불교의 대표자는 화상 마하연으로 티베트의 사료에서 그는

흐와샹 마흐옌(Hva shang Mah yan)으로 음사되고 있다.

 

 

2.

 

그의 가르침은 본연적 자성의 밝음, 이것의 ‘자발적’ 활동을 강조했고,

모든 수행과 노력 대신에 어떠한 분별작용이나 지향적 의식작용조차 없는

불사불관(不思不觀)의 상태를 깨달음의 상태로 간주했다고 전해진다.

 

이것은 그가 샨타락시타에 의해 대변되는 철학적 교의적 불교 대신에,

모든 의식작용의 소거를 선정 체험 속에서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비철학적인 선불교의 전통에 서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이러한 가르침은 당시 티베트에서 크게 어필했다.

 


이에 자극받은 티베트의 인도계 불교의 후원자인 예세 왕뽀(Ye shes dbang po)는

샨타락시타의 유지를 받들어 그의 제자인 까말라쉴라를 초청해 교의논쟁을 시도했고

이것이 소위 라사의 종론(宗論) 또는 삼예의 종론이라고 불리는

삼예사의 논쟁의 역사적 배경이다.

입회한 왕은 논쟁에서 패배한 자는 티베트을 떠나야 한다고 선언했다.


티베트문헌에 따르면 논쟁이 시작할 때에 마하연은 자신이 연장자로서

질문을 제기하거또는 그것에 답할 수 있거나 어느 편도 좋다고 말한다.

 

이에 까말라쉴라는 자신은 도한 대로 논의하거나, 의도한 대로 명제를 제출하거나

또는 의도한 견해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고 답한다.

 

부똔의 《불교사》에 따르면 마하연은 먼저 다음과 같이 자신의 견해를 표현했다.


만일 사람이 선행이나 악행을 한다면 그 결과로서 선취나 악취에 태어나게 된다.

그렇다면 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불가능하며

깨달음을 얻는데 항시 장애가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어떤 사고작용도 없는 사람은 현세의 생존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다.

이같은 방식으로 사람은 제10지에 도달한 보살처럼 깨달음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간략한 인용만으로 마하연의 교의를 파악할 수는 없지만,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악업은 물론 선업도 배제하고

어떠한 사고작용도 일으키지 말아야 한다는 그의 입장

티베트불교에 의해 일종의 정적(靜寂)주의로 받아들여졌다.

 

왜냐하면 이에 대한 까말라쉴라의 반론은 깨달음에 이르는 길이

어떠한 사고작용도 배제한다는 마하연의 두 번째 언급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의 반론은 다음과 같다.


만일 사람이 어떤 일에 대해서도 분별작용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면

이것은 관찰작용을 부정하는 것이 된다.

만일 이러한 관찰작용이 없다면 어떤 요가행자도 무분별지의 상태에 도달할 수 없을 것이다.

 

만일 누가 일체법에 대해 어떤 생각도 하지 않고 의도하는 것도 없다면

이것은 그가 이전에 경험했던 것을 기억하거나 사념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일체법을 사념하지 않기로 작정했다고 할 때

이 생각 자체도 그가 이미 마음작용을 일으켰다는 증거이다.

 

만일 사념하지 않는 것이 깨닫는 것이라면

기절하거나 술에 취한 사람도 깨달음의 상태에 도달한 것이 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관찰작용이 없기 때문에 무분별지에 도달할 수 없는 것이다.

사념작용을 중지했다고 하면 어떻게 일체법의 무자성함을 인식할 수 있겠는가?

 

공성을 증득하지 못한다면 어떤 장애도 제거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관찰작용에 의해서만 잘못된 현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억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 반대가 되므로 좋은 것이 아니다.

기억이나 관찰작용 없이 이전에 거주했던 장소를 상기할 수도 없고

깨딜음에 이르는 것도 불가능할 것이다.


까말라쉴라의 비판은

“어떠한 것도 생각하지 않는 것이 깨달음”이라는 마하연의 두 번째 입론이

깨달음의 과정에서 관찰작용,

비파사나(觀)의 유용성에 대한 부정으로 이끈다는 점에 향해지고 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마하연의 입론이 실은 무분별지에 대한

그릇된 파악에서 나오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기절하거나 술에 취한 사람도 깨달음의 상태에 도달한 것과 같게 될 것이라는

까말라쉴라의 지적은 이미 《유가사지론》, 《섭대승론》 등에서

무분별지에 대한 잘못된 파악의 하나로서 지적되고 있기 때문이다.

 

 

3.


이러한 까말라쉴라의 비판에 비해

함께 논쟁에 참여한 예세 왕뽀 등의 비판은 마하연의 첫 번째 입론,

즉 모든 행위는 해탈을 장애할 뿐이라는 주장에 향해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들의 비판의 요지는 본래적 불성의 존재성에 대한 인식을 통해

즉각적으로 깨달음에 들어가려는 돈오적 방식에 대해

6바라밀의 수습을 통한 점진적 깨달음의 길에 대한 옹호로 나타났다.

 

만일 우리가 어떤 행위도 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해탈을 위한 원인으로서의 수행을 부정하는 것이 될 것이고,

이는 경전의 청문, 10바라밀의 수습, 3현위와 보살의 10지의 단계에서 획득되는 인식을 통해

궁극적 깨달음을 얻는다는 점진적 해탈론과 양립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부똔의 기술은 논쟁의 경과의 서술에 있어

중국측 자료인 《정리결》의 설명과 큰 윤곽에 있어 일치하고 있다.

정리결》에서 마하연에 대한 첫 질문은 구문(舊問),

이에 대한 마하연의 답변에 대한 재질문은 신문(新問)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 질문에서 진실과 방편이라는 대승불교의 근본 과제가 기본이 되어

반야의 지와 그 실천의 문제가 테마가 되고 있고,

마하연은 불사불관(不思不觀), 무작(無作)이라는 용어로 그의 입장을 정리하여 표현하고 있다.


《정리결》의 구문(舊問)에 따르면 반야바라밀은

무상(無想), 무취(無取), 무사(無捨), 무착(無著)으로 정의되고 있고,

이 반야의 실천이란 어떠한 것도 생각하지 않고 어떠한 것도 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해진다.

그렇다면 여기서 반야를 완성시키는 것으로서의 보시 등의 바라밀의 수행은 의미가 없게 될 것이다.

 

 

까말라쉴라는 반야의 작용이란

모든 것이 궁극적 의미에서 실재하지 않음을 관찰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그런데 만일 모든 사고작용을 망상으로 간주해서 이를 제거한다면

반야의 작용 자체도 부정되게 될 것이다.

진실은 반야의 관찰작용에 의해서 비로소 명백하게 된다.

 

반면 마하연의 입장에서는 이것은 모두 망상, 망분별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서

그러한 심작용이 끊어지는 곳에 진실이 현현하는 것이다.

 


까말라쉴라에 의해 비판된 점은 반야의 일상적 실천의 문제이다.

반야라고 할 때 이것은 작용하지 않는 지(智)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보시 등의 실천행으로서 작용할 때 비로소 반야가 완성된다는 것이 반야경의 취지일 것이다.

 

반야와 방편은 대승의 역사를 통해 테마화된 것이고

마하연의 주장은 이러한 대승의 근본 과제를 부인하게 된다고 보는 것이 까말라쉴라의 입장이다.

 


그렇다면 “무엇도 생각하지 않고 무엇도 행하지 않는다”의 근거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

《정리결》은 만일 불사불관한다면 어떻게 일체종지를 얻을 수 있는가의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만일 망심이 생기지 않고 일체 망상을 떠난다면

진실한 본성이 본래 있는 것으로(眞性本有) 일체종지는 자연히 현현하게 될 것이다.


《정리결》은 《화엄경》과 《입능가경》을 인용하면서 이 진성본유를

“태양이 구름에서 나오고 탁수가 깨끗해지고, 깨끗한 거울이 맑고 정결해지고,

은이 광산에서 나오는 것과 같다”고 설명한다.


여기서 마하연의 진성본유라는 표현은

《입능가경》의 본주법성(本住法性, paura?.a-dharmat )를 연상시킨다.

《입능가경》은 “본주법성의 도는 금은을 산출하는 광산과 같은 것이다. ……

법계는 상주하는 것이다.

여래가 세상에 출현하시든 출현하지 않으시든 이러한 제법의 법성,

법의 상주성, 법의 결정성은 …… 존재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입능가경》의 설명은 본성에 있다기보다는

자내증(自內證)되어야 한다는 데 있다고 보인다.

그러나 마하연의 불사불관은 이 본유의 법성이 자연적으로 나오고 있다는 점에 초점이 놓여 있다.

 


여래장과 관련해 《정리결》은 《입능가경》의

“그것은 자성적으로 청정하고 본래 청정하다”는 말을 인용하면서 이에 의거해

“불성은 본래적으로 존재하며 이것은 수행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다만 [탐진치] 3독을 떠난다면 허망한 망분별과 그 습기의 더러운 옷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佛性本有 非是修成 但離三毒 虛妄妄想 習氣垢衣 則得解脫)”고 주장하고 있다.

 

마하연에게 있어 불사불관(不思不觀)은 이러한 망분별과 그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그의 입장은 중국 북선종 계통에 가깝다고 평가되고 있다.

 

 

여기서 까밀라쉴라가 문제 삼은 것은 결코 ‘중생본래유불성’이라는 명제가 아니다.

그것은 중관학파에서도 이미 널리 인정된 교리로서 그에게 새로운 내용은 아니었다.

그가 제기한 반론은 불성이 저절로 어떤 노력 없이 현현한다고 하는 마하연의 설명에 있었다.


이러한 까말라쉴라와 예세 왕뽀 등의 비판에 대해

마하연은 어떤 답변도 하지 못한 채 패배를 자인하고 티베트을 떠났다고 한다.

 

그리고 까말라쉴라는 마하연이 보낸 밀사에 의해 암살되고

예세 왕뽀는 극도의 공포 속에서 단식하다가 죽었다고 부똔의 《불교사》는 기술하고 있다.

 

 

 

 

 

 

 

 


'그의 노래, 그의 이야기 > 그의 야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를 추모하며  (0) 2009.05.25
화엄경을 쉰 이유  (0) 2008.12.31
이유를 안다는 것.  (0) 2008.10.30
정암사 적멸보궁에서.  (0) 2007.05.12
그때도 내가 있었다.  (0) 2007.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