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41

不忘歌 6_마할리경(D6)

제6경 마할리경 무엇을 설하셨나 생명(jiva)이란 이 몸(sarira)이다, 생명 이 몸 다르다. 자아(atta)란 이 몸(sarira)이다, 자아 이 몸 다르다. 세존께선 그런 말씀 않음을 설하셨네. 삼매 선정 증득 위해 도 닦는 것 아니로다 더 높은 법 실현 위해 청정범행 닦나니 예류, 일래, 불환, 아라한 네 가지 과(果) 그것이네 그 법 실현 위한 도(magga), 도닦음(patipada) 무엇인가 여덟 가지 구성요소 팔지성도(八支聖道) 그것이네 자아란 이 몸인가 아니면 따로 있나 그대는 무엇 두고 ‘나’, ‘자아’라 하는가 부품 조립 해놓곤 마차라 부르듯 원인을 조건으로 형성되어 드러났을 뿐 잠시 잠깐 일고지는 다섯 무더기(五蘊) '나'라고들 부르나 인습적인 표현일 뿐 ‘이 몸 나다, 다르다...

不忘歌 5_꾸따단따경(D5)

제5경 꾸따단따 경 무엇을 설하셨나 수승한 제사 무엇인가 그것을 설하셨네 꾸따단따 바라문 세존께 여쭸나니 세 가지 제사 태도 열여섯 필수품 제사 이전 백성의 부족함 없게 하고 제사에 쓰는 재산 후회가 없으며 제사 참여하는 이들 십선업(十善業) 구족하여 몸 말 마음 청정하니 세 가지 그 태도요, 왕족, 대신, 바라문, 장자 네 측근들 동의하고 왕은 여덟 가지 왕의 덕목 갖추고 궁중제관 4가지 덕목을 두루 갖춰 이것이 열 여섯 제사 필수품이러니, 소, 염소, 양, 닭과 돼지 생명 죽임이 없고 나무를 자르거나 풀도 꺾지 않으며 하인 심부름꾼 일꾼들도 눈물 흘리는 일 없고 기름, 버터, 우유, 꿀, 사탕수수즙만으로 그 제사를 완성하니 이 같은 제사 두고 3 태도 16 필수품 갖춘 제사라 하네. 마하위지따 왕 때..

不忘歌 4_소나단다경(D4)

제4경 소나단다경 무엇을 설하셨나 외모 태생 갖추고 만뜨라를 호지해도 살생 도둑 음행 거짓 술을 마신다면 외모 태생 베다 암송 무슨 소용 있는가 나머지 두 가지, 계(sila)와 지혜(panna) 제외하곤 바라문이라 할 수 없다 소나단다 답하였네 계(戒) 통해 지혜 청정, 지혜 통해 계 청정 계 있는 곳 지혜 있고, 지혜 있는 곳에 계가 있으며 계 가진 자 지혜 있고, 지혜 있는 자에겐 계가 있나니 손으로 손을 씻고 발로 발을 씻음 같아 이 세상은 계와 지혜 제일로 하노니 무엇이 그 계(sila)며 그 지혜(panna, 般若)인가? 1. 계를 구족함 법을 듣고 여래에게 믿음 가져 출가하여, 바른 행실과 행동영역 잘 갖추고 작은 허물 대해서도 두려움을 보면서 학습계목 받아 지녀 수행하나니, 유익한 몸과 말..

不忘歌 3_암밧타경(D3)

제3경 암밧타경 무엇을 설하셨나 신들과 인간 중엔 명행족(明行足)이 단연 으뜸 영지(vijja), 실천(carana) 구족한 자 명행족(明行足)이라 하니 태생 가문 자부 결혼 매이지 않도다. 실천(carana)이란 무엇이고 영지(vijja)란 무엇인가? 1. 계를 구족함 법을 듣고 여래에게 믿음 가져 출가하여, 바른 행실과 행동영역 잘 갖추고 작은 허물 대해서도 두려움을 보면서 학습계목 받아지녀 수행하나니, 유익한 몸과 말의 업을 잘 r추고 생계를 청정히 계(戒)를 구족하고, 눈, 귀, 코, 혀, 몸, 마음 육문을 보호하고, 마음챙김 알아차림(正念正知) 갖추어 확립하고 필수품만으로 만족하여 머무나니, 어떻게 계목 단속 계(戒)를 구족하는가? 1)생명을 죽이는 것 여의고 버려 존재들에 영원히 몽둥이를 내려..

그의 부처님 예경

높고 높은 스승님 길 가르쳐 주신 분 억겁(億劫) 묶인 저에게 자유(自由)를 주신 분께 예경드립니다. 때가 없으신 분이시요 모든 것을 보는 분을 가지신 분이시요 슬픔을 여의신 분이시요 영웅이시요 전쟁에서의 승리자이시며 대상(隊商의 지도자이시며 빚이 없으신 분께 예경드립니다. 일체승자(一切勝者)시요 일체지자(一切知者)시요 아라한이시요 위없는 스승이시며 유일한 정등각자이시며 번뇌 다하신 분이시요 진정한 승리자이시며 모든 악을 제거하셨기에 승리자이신 분께 예경드립니다. 심연(深淵)을 알고, 보고, 꿰뚫고, 정복하신 분께 예경드립니다. 2021. 4. 18.

不忘歌 2_사문과경(D2)

제2경 사문과경 무엇을 설하셨나 출가하여 도닦는 결실이 무엇인가 지금여기 스스로 보아서 알 수 있는 수승한 출가 결실(samana-phala) 18가지 설하셨네. 하인이든 장자든 공덕 과보 아는 이가 온갖 욕락(慾樂) 누리는 왕같은 삶 기약하여 재산 친척 다 버리고 삭발하고 출가하여 몸괴 말과 마음으로 단속하고 머물며 먹고 입음 절제하며 지족(知足) 한거(閑居) 기뻐하면 왕이라도 공경하고 보시하고 보호하니 이도 지금 여기 보아 알 수 있는 결실이네 그러나 더 수승한 출가 결실(phala) 있나니, 1. 계를 구족함 법을 듣고 여래에게 믿음 가져 출가하여, 바른 행실과 행동영역 잘 갖추고 작은 허물 대해서도 두려움을 보면서 학습계목 받아지녀 수행하나니, 유익한 몸과 말의 업을 잘 갖추고 생계를 청정히 계(..

저와 같은 이에게 주시는 부처님 가르침

"탐욕이 때일 뿐 먼지를 때라 하지 않네. 때는 탐욕의 동의어 현자는 이러한 때를 버리고 때 없는 자의 교단에 머문다. 성냄이 때일 뿐 먼지를 때라 하지 않네. 때는 성냄의 동의어 현자는 이러한 때를 버리고 때 없는 자의 교단에 머문다. 어리석음이 때일 뿐 먼지를 때라 하지 않네. 때는 어리석음의 동의어 현자는 이러한 때를 버리고 때 없는 자의 교단에 머문다." (Ndl.505)

계정혜(戒定慧)의 무더기를 요약해보다.

세존께서 설하신 계정혜의 무더기(戒蘊, 定蘊, 慧蘊)를 외우기 쉽게 운율에 맞추어 요약해 보았습니다. 디가니까야 34경과 맛지마니까야 152경, 도합 186경을 10년에 걸쳐 사경하고 돌아서 보니 각 경에서 무엇을 설하셨는지가 즉시적으로 기억나지 않아 '불망가(不忘歌)'라는 이름으로 각 경에서 무엇을 설하셨는지 다시 정리하려 하다가,,, 처음 부딪힌 문제가 바로 계정혜의 무더기를 어떻게 요약하는가의 문제였습니다. 세존께서도, 제자들도 수많은 경(經)에서 그 가르침은 계의 무더기(戒), 그에 이은 기본적인 수행의 무더기, 삼매의 무더기(定蘊), 지혜의 무더기(慧蘊)로 설파됩니다. 출가 수행의 결실이 무엇인지(사문과경, D2), 영지와 실천(明과 行, vijja와 carana)이 무엇인지(암밧타경, D3),..

4. 지혜 무더기(慧蘊, 明知, 靈智, nana) 요약_불망가를 위한

1)위빳사나의 지혜(vipassana-nana) 마음이 1)삼매 들고 2)청정하고 3)깨끗하고 4)흠 없고 5)오염 없고 6)부드럽고 7)활발하고 8)안정되고 9)흔들림이 없을 때에 앎(知)과 봄(見)으로 마음을 기울이네. 원인을 조건으로 허공에 사대(四大) 모여 부모에서 생겨났고 밥과 죽을 집적하여 잠시 잠깐 드러났다 무너질 이 한 몸에 대상 따라 일고지는 마음의 앎 매여 있네. 최상품 유리 보석 모든 특질 갖췄는데 청황적백 실에 묶여 있음을 보도다 있는대로 이 몸 마음 꿰뚫어 알고 보니 물질(色) 정신(名) 알고 보는 위빳사나 지혜로다. 2) 마음으로 다른 몸 만드는 지혜 마음이 삼매 들고 청정하고 깨끗하고 흠 없고 오염 없고 부드럽고 활발하고 안정되고 흔들림이 없을 때에 마음으로 만든 몸에 마음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