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장자여, 네 가지 존재의 태어남이 있습니다. 어떤 것이 넷입니까?
장자여, 여기 어떤 자는 작은 광명[小光]으로 충만하여 머뭅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소광천의 천신들의 동료로 태어납니다.
장자여, 여기 어떤 자는 무량한 광명[無量光]으로 충만하여 머뭅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 무량광천의 천신들의 동료로 태어납니다.
장자여, 여기 어떤 자는 오염된 광명으로 충만하여 머뭅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오염된 광명을 가진 천신들의 동료로 태어납니다.
장자여, 여기 어떤 자는 청정한 광명으로 충만하여 머뭅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청정한 광명을 가진 천신들의 동료로 태어납니다.
장자여, 이것이 네 가지 존재의 태어남입니다."
10.
"장자여,
그 천신들이 한 곳에 모이는 때가 있습니다.
그들이 한 곳에 모이면 안색에서는 차이가 드러나지만 광명은 구별이 없습니다.
장자여,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여러 개의 기름등불을 집안으로 가져온다고 합시다.
그 등불의 불꽃에서는 차이가 드러나지만 광명은 구별이 없습니다.
장자여,
이와 같이 그 천신들이 한곳에 모이는 때가 있습니다.
그들이 한 곳에 모이면 안색에서는 차이가 드러나지만 광명은 구별이 없습니다."
11.
"장자여.
그 천신들이 그곳에서 흩어지는 때가 있습니다.
그들이 흩어지면 안색에서도 차이가 드러나고 광명에도 차이가 드러납니다.
장자여,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여러 개의 기름등불을 가지고 집에서 나온다고 합시다.
그러면 그 등불의 불꽃에서도 차이가 드러나고 광명에도 차이가 드러납니다.
장자여, 이와 같이
그 천신들이 그곳에서 흩어지는 때가 있습니다.
그들이 흩어지면 안색에서도 차이가 드러나고 광명에도 차이가 드러납니다."
12.
"장자여,
그 천신들은 '우리의 [수명]은 항상하고 견고하고 영원하다.'라고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그 천신들은 어디서 거주하건 거기서 그들은 기뻐합니다.
장자여, 마치
파리들이 짐막대기나 바구니에 달라붙어 실려 갈 때
'우리의 [수명]은 항상하고 견고하고 영원하다.'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파리들은 어디서 거주하건 그곳에서 즐거워하는 것과 같습니다.
장자여, 그와 같이
그 천신들은 '우리의 [수명]은 항상하고 견고하고 영원하다.'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그 천신들은 어디서 거주하건 거기서 그들은 기뻐합니다."
13.
"이렇게 설했을 때 사비야 깟짜나 존자가 아누룻다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장하십니다, 아누룻다 존자시여. 여기에 대해 저는 더 깊이 여쭙고자 합니다.
존자시여,
그 광명을 가진 천신들은 모두 소광천의 신들입니까,
아니면 이 중에서 어떤 천신들은 무량광천의 신들입니까?"
"도반 깟짜나여,
어떤 원인으로 인해 여기 어떤 천신들은 소광천의 신들이고 어떤 천신들은 무량광천의
신들입니다."
14.
"아누룻다 존자시여,
어떤 원인과 어떤 조건으로 그 천신들은 같은 천신의 무리에 태어나고서도
어떤 천신들은 소광천의 신들이 되고 어떤 천신들은 무량광천의 신들이 됩니까?"
"도반 깟짜나여,
그렇다면 내가 그대에게 반문을 하리니 그대가 옳다고 여기는 대로 대답하십시오.
깟짜나여, 이를 어떻게 생각합니까?
한 비구가 한 그루의 나무 뿌리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물고,
다른 비구는 두 그루 혹은 세 그루의 나무 뿌리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뭅니다.
이렇게 마음을 닦을 때에 어느 쪽의 마음 닦음이 더 큽니까?"
"아누룻다 존자시여,
비구가 두 그루 혹은 세 그루의 나무 뿌리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물 때
이 마음 닦음이 두 가지 마음 닦음 가운데 더 큽니다."
"깟짜나여, 이를 어떻게 생각합니까?
한 비구는 두 그루 혹은 세 그루의 나무 뿌리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물고,
다른 비구는 네 그루 혹은 다섯 그루의 나무 뿌리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뭅니다.
이렇게 마음을 닦을 때에 어느 쪽의 마음 닦음이 더 큽니까?"
"아누룻다 존자시여,
비구가 네 그루 혹은 다섯 그루의 나무 뿌리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물 때
이 마음 닦음이 두 가지 마음 닦음 가운데 더 큽니다."
"깟짜나여, 이를 어떻게 생각합니까?
한 비구는 한 마을의 땅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물고,
다른 비구는 둘 혹은 세 마을의 땅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뭅니다.
이렇게 마음을 닦을 때에 어느 쪽의 마음 닦음이 더 큽니까?"
"아누룻다 존자시여,
비구가 둘 혹은 세 마을의 땅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물 때
이 마음 닦음이 두 가지 마음 닦음 가운데 더 큽니다."…
"깟짜나여, 이를 어떻게 생각합니까?
한 비구는 한 왕국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물고,
다른 비구는 둘 혹은 세 왕국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뭅니다.
이렇게 마음을 닦을 때 어느 쪽의 마음이 닦음이 더 큽니까?"
"아누룻다 존자시이여,
비구가 둘 혹은 세 왕국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물 때
이 마음 닦음이 두 가지 마음 닦음 가운데 더 큽니다."
"깟짜나여, 이를 어떻게 생각합니까?
한 비구는 둘 혹은 게 왕국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물고,
다른 비구는 바다에 둘러싸인 대지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뭅니다.
이렇게 마음을 닦을 때 어느 쪽의 마음이 닦음이 더 큽니까?"
"아누룻다 존자시여,
비구가 바다에 둘러싸인 대지만큼의 장소를 고귀함으로 가득 채우고 머물 때
이 마음 닦음이 두 가지 마음 닦음 가운데 더 큽니다."
"도반 깟짜나여,
이런 원인과 이런 조건 때문에 그 천신들은 같은 무리에 태어났지만
어떤 신들은 소광천의 신들이 되고 어떤 천신들은 무량광천의 신들이 됩니다."
15.
"장하십니다. 아누룻다 존자시여. 여기에 대해 저는 더 깊이 여쭙고자 합니다.
존자시여,
그 광명을 가진 천신들은 모두 오염된 광명을 가졌습니까,
아니면 어떤 천신들은 청정한 광명을 가졌습니까?"
"도반 깟짜나여,
어떤 원인으로 인해 여기 어떤 천신들은 오염된 광명을 가졌고
어떤 천신들은 청정한 광명을 가졌습니다."
16.
"아누룻다 존자시여,
어떤 원인과 어떤 조건으로 그 천신들은 같은 천신의 무리로 태어나고서도
어떤 천신들은 오염된 광명을 가졌고 어떤 천신들은 청정한 광명을 가졌습니까?"
"도반 깟짜나여, 그렇다면 그것에 대해 이제 그대에게 비유를 하나 들겠습니다.
여기 어떤 지혜로운 사람들은 이 비유로 이 말뜻을 잘 이해할 것입니다.
도반 깟짜나여, 예를 들면
기름등불이 불순한 기름과 때 묻은 심지로 탄다고 합시다.
그 불순한 기름과 때 묻은 심지 때문에 그것은 흐릿하게 탈 것입니다.
도반 깟짜나여,
그와 같이 여기 어떤 비구는 오염된 광명으로 충만하여 머뭅니다.
그는
몸의 무력증을 완전히 떨쳐내지 못했고,
해태와 혼침도 완전히 근절되지 않았고,
들뜸과 후회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습니다.
그는
몸의 무력증을 완전히 떨쳐내지 못했고,
해태와 혼침도 완전히 근절되지 않았고,
들뜸과 후회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흐릿하게 禪을 닦습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오염된 광명을 가진 천신들의 동료로 태어납니다.
도반 깟짜나여, 예를 들면
기름등불이 순수한 기름과 깨끗한 심지로 탄다고 합시다.
그 순수한 기름과 깨끗한 심지 때문에 그것은 환하게 탈 것입니다.
도반 깟짜나여,
그와 같이 여기 어떤 비구는 청정한 광명으로 충만하여 머뭅니다.
그는
몸의 무력증을 완전히 떨쳐내었고,
해태와 혼침도 완전히 근절되었고,
들뜸과 후회도 완전히 제거되었기 때문에
그는 또렷하게 禪를 닦습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청정한 광명을 가진 천신들의 동료로 태어납니다.
도반 깟짜나여,
이런 원인과 이런 조건 때문에 그 천신들은 같은 천신들의 무리에 태어났지만
어떤 천신들은 오염된 광명을 가졌고 어떤 천신들은 청정한 광명을 가졌습니다."
'맛지마니까야(中部) > M127.아누룻다경-무량한·고귀한해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後記: 아누룻다 경을 마치며,,, (0) | 2019.09.30 |
---|---|
6. 나는 오랜 세월 그 천신들과 함께 지낸 적이 있습니다. (0) | 2019.09.19 |
4. '고귀한 마음의 해탈' _ 마음챙김을 통해 마음을 조복시켜 선정을 얻음에 의한 해탈 (0) | 2019.09.19 |
3. '무량한 마음의 해탈' _사무량심(四無量心/四梵住)에 의한 해탈 (0) | 2019.09.18 |
2. '무량한 마음의 해탈'과 '고귀한 마음의 해탈'은 같습니까, 다릅니까? (0) | 2019.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