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
1)
사리뿟따여,
나는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색을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2)
사리뿟따여,
나는 귀으로 인식할 수 있는 소리를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3)
사리뿟따여,
나는 코로 인식할 수 있는 냄새를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4)
사리뿟따여,
나는 혀로 인식할 수 있는 맛을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5)
사리뿟따여,
나는 몸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감촉을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6)
사리뿟따여,
나는 마노[意]로 인식할 수 있는 법을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23.
이렇게 말씀하시자 사리뿟따 존자가 세존께 이와 같이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저는 세존께서 상세하게 뜻을 설해주시지 않고 간략하게 설하신 말씀의 뜻을
이와 같이 상세하게 이해합니다."
24.
"세존께서는 '사리뿟따여, 나는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색(시각대상)을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무슨 연유로 이와 같이 설하셨을까요?
1)
세존이시여,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형색을 받들어 행할 때
해로운 법들이 증장하고 유익한 법들이 줄어들면
그런 형색은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합니다.
세존이시여,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형색을 받들어 행할 때
해로운 법들이 줄어들고 유익한 법들이 증장하면
그런 형색은 받들어 행해야 합니다.
세존께서 '사리뿟따여, 나는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색을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신 것은
이것을 두고 설하신 것입니다."
25.
"세존께서는 '사리뿟따여, 나는 귀로 인식할 수 있는 소리를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무슨 연유로 이와 같이 설하셨을까요?
2)
세존이시여,
귀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소리를 받들어 행할 때
해로운 법들이 증장하고 유익한 법들이 줄어들면
그런 소리는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합니다.
세존이시여,
귀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소리를 받들어 행할 때
해로운 법들이 줄어들고 유익한 법들이 증장하면
그런 소리는 받들어 행해야 합니다.
세존께서 '사리뿟따여, 나는 귀로 인식할 수 있는 소리를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신 것은
이것을 두고 설하신 것입니다."
26.
"세존께서는 '사리뿟따여, 나는 코로 인식할 수 있는 냄새를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무슨 연유로 이와 같이 설하셨을까요?
3)
세존이시여,
코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냄새를 받들어 행할 때
해로운 법들이 증장하고 유익한 법들이 줄어들면
그런 냄새는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합니다.
세존이시여,
코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냄새를 받들어 행할 때
해로운 법들이 줄어들고 유익한 법들이 증장하면
그런 냄새는 받들어 행해야 합니다.
세존께서 '사리뿟따여, 나는 코로 인식할 수 있는 냄새를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신 것은
이것을 두고 설하신 것입니다."
27.
"세존께서는 '사리뿟따여, 나는 혀로 인식할 수 있는 맛을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무슨 연유로 이와 같이 설하셨을까요?
4)
세존이시여,
혀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맛을 받들어 행할 때
해로운 법들이 증장하고 유익한 법들이 줄어들면
그런 맛은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합니다.
세존이시여,
혀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맛을 받들어 행할 때
해로운 법들이 줄어들고 유익한 법들이 증장하면
그런 맛은 받들어 행해야 합니다.
세존께서 '사리뿟따여, 나는 혀로 인식할 수 있는 맛을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신 것은
이것을 두고 설하신 것입니다."
28.
"세존께서는 '사리뿟따여, 나는 몸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감촉을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무슨 연유로 이와 같이 설하셨을까요?
세존이시여,
몸으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감촉을 받들어 행할 때
해로운 법들이 증장하고 유익한 법들이 줄어들면
그런 감촉은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합니다.
세존이시여,
몸으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감촉을 받들어 행할 때
해로운 법들이 줄어들고 유익한 법들이 증장하면
그런 감촉은 받들어 행해야 합니다.
세존께서 '사리뿟따여, 나는 몸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감촉을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신 것은
이것을 두고 설하신 것입니다."
29.
"세존께서는 '사리뿟따여, 나는 마노[意.마음]로 인식할 수 있는 법을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무슨 연유로 이렇게 설하셨을까요?
세존이시여,
마노(意)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법을 받들어 행할 때
해로운 법들이 증장하고 유익한 법들이 줄어들면
그런 법은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합니다.
세존이시여,
마노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법을 받들어 행할 때
해로운 법들이 줄어들고 유익한 법들이 증장하면
그런 법은 받들어 행해야 합니다.
세존께서 '사리뿟따여, 나는 마노로 인식할 수 있는 법을 두 가지로 설한다.
받들어 행해야 할 것과 받들어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신 것은
이것을 두고 설하신 것입니다."
30.
"세존이시여, 저는 세존께서 상세하게 뜻을 설해주시지 않고 간략하게 설하신 말씀의 뜻을
이와 같이 상세하게 이해합니다."
31.
"장하구나, 사리뿟따여. 장하구나, 사리뿟따여.
그대는 내가 상세하게 뜻을 설하지 않고 간략하게 설한 것에 대해
그 뜻을 이와 같이 상세하게 잘 이해하고 있구나."
32∼37.
(세존께서는 §24∼29에서 사리뿟따 존자가 설명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신다.)
38.
"사리뿟따여, 내가 간략하게 설한 것에 대한 상세한 뜻을 이와 같이 알아야 한다."
'맛지마니까야(中部) > M114.행하고행하지말아야함경-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오랜 세월 이익과 행복이 있을 것이다. (0) | 2019.01.15 |
---|---|
11. 3] 행해야 할 것 vs 행하지 말아야 할 것 _ 의복, 음식, 거처, 사람에 대하여 (1) | 2019.01.15 |
9. 세존깨서 사리뿟따 존자의 말을 인정하시고 반복하심 (0) | 2019.01.13 |
8. 1-7) 존재의 획득 _ 행하고 행하지 말아야 할 것 (0) | 2019.01.13 |
7. 1-6) 견해의 획득 _ 행하고 행하지 말아야 할 것 (0) | 2019.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