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비구들이여, 참으로
'그가 감각적 욕망 없이, 감각적 욕망의 인식 없이, 감각적 욕망에 대한 일으킨 생각 없이,
감각적 욕망에 탐닉할 것이다.'라는 것은 근거가 없다."
10.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미혹한 자들이
경‧응송‧수기‧게송‧감흥어‧여시어‧본생담‧미증유법‧문답 같은 법을 배우지만
그 법을 배워 통찰지로 그 법의 뜻을 자세히 살펴보지 않는다.
그 법의 뜻을 통찰지로 자세히 살피지 않을 때 그들에게 그 법들은 확립되지 못한다.
그들은 오직 다른 이들을 논박하고 논쟁에서 이기기 위해 법을 배우므로
법을 배우는 그 궁극의 의미를 체득하지 못한다.
그들이 잘못 파악한 그 법들은 그들을 긴 세월 불이익과 고통으로 인도할 것이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비구들이여
법을 잘못 파악했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땅꾼이 뱀을 원하고 뱀을 탐색하고 뱀을 찾아다니다가 큰 뱀을 보았다 하자.
그 사람이 그 뱀의 몸통이나 꼬리를 잡는다면
그 뱀은 되돌아서 그 사람의 손이나 팔이나 몸의 다른 부분을 물어버릴 것이다.
그 때문에 그 사람은 죽음에 이르기도 하고 죽음에 버금가는 고통을 당할 것이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비구들이여,
뱀을 잘못 잡았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여기 어떤 미혹한 자들이 경‧응송‧수기‧게송‧감흥어‧여시어‧본생담‧미증유법‧문답 같은 법을
배우지만
그 법을 배워 통찰지로 그 법의 뜻을 자세히 살펴보지 않는다.
그 법의 뜻을 통찰지로 자세히 살피지 않을 때 그들에게 그 법들은 확립되지 못한다.
그들은 오직 다른 이들을 논박하고 자기 교리를 주장하기 (논쟁에서 이기기) 위해 법을 배우므로
법을 배우는 그 궁극의 의미를 체득하지 못한다.
그들이 잘못 파악한 그 법들은 그들을 긴 세월 불이익과 고통으로 인도할 것이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비구들이여,
법을 잘못 파악했기 때문이다."
11.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좋은 가문의 아들[善男子]들이
경‧응송‧수기‧게송‧감흥어‧여시어‧본생담‧미증유법‧문답 같은 법을 배운다.
그들은 그 법을 배워 통찰지로써 그 법들의 뜻을 자세히 살펴본다.
그 법의 뜻을 통찰지로 자세히 살필 때 그들에게 그 법들은 확립된다.
그들은 오직 다른 이들을 논박하고 자기 교리를 주장하기 위해 법을 배우지 않으므로
법을 배우는 그 궁극의 의미를 체득한다.
그들은 잘 파악한 그 법들은 그들을 긴 세월 이익과 행복으로 인도할 것이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비구들이여,
법을 잘 파악했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땅꾼이 뱀을 원하고 뱀을 탐색하고 뱀을 찾아다니다가 큰 뱀을 보았다 하자.
그 사람이 그 뱀을 염소발 모양의 막대기로 잘 누르고
그런 다음 그 뱀의 머리를 잘 붙잡는다고 하자.
비구들이여,
그러면 그 뱀이 비록 그 사람의 손이나 팔이나 몸의 다른 부분을 몸통으로 휘감겠지만
그러나 그 때문에 그 사람이 결코 죽음에 이르지 않고 죽으메 버금가는 고통을 당하지도
않을 것이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비구들이여,
뱀을 잘 붙잡았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여기 어떤 좋은 가문의 아들[善男子]들이 경‧응송‧수기‧게송‧감흥어‧여시어‧본생담‧미증유법‧문답
같은 법을 배운다.
그들은 그 법을 배워 통찰지로써 그 법들의 뜻을 자세히 살펴본다.
그 법의 뜻을 통찰지로 자세히 살필 때 그들에게 그 법들은 확립된다.
그들은 오직 다른 이들을 논박하고 자기 교리를 주장하기 위해 법을 배우지 않으므로
법을 배우는 그 궁극의 의미를 체득한다.
그들은 잘 파악한 그 법들은 그들을 긴 세월 이익과 행복으로 인도할 것이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비구들이여,
법을 잘 파악했기 때문이다.
12.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그대들이 내 가르침의 뜻을 잘 이해 하거든 그대로 잘 호지하라.
그러나 내 가르침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거든
나에게 다시 묻거나 현명한 비구들에게 물어보아라."
'맛지마니까야(中部) > M22.뱀의 비유 경-건너고자 하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존재하지 않는 것들(안팎으로)에 대해 안달복달하지 않음 (0) | 2016.07.22 |
---|---|
5. 여섯 가지 견해의 토대를 여읨_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 안달하지 않게 됨 (0) | 2016.07.22 |
4. 뗏목에 법을 비유하시다_건너기 위함이지 움켜쥐기 위함이 아니다. (0) | 2016.07.19 |
2. 장애가 되는 법들을 수용하면, 긴 세월 불이익과 고통이 따른다. (0) | 2016.07.18 |
1. 어떤 비구의 사견 (0) | 2016.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