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진암(識盡庵)/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Ⅱ-4-1-11. 바른 이해(正見)는 正精進, 正念과 항상 짝이 된다.

이르머꼬어리서근 2012. 1. 29. 17:42

 

 

"잘못된 이해(邪見)를 잘못된 이해라고 알고,

 바른 이해(正見)를 바른 이해라고 알면서,

 

'바른 이해'(첫번 째 덕목)를 닦는다.

 

 

 

 잘못된 이해를 극복하고

 바른 이해를 일으키기 위해서 노력하는 가운데,

 바른 노력(正精 ; 여섯번 째 덕목)을 닦는다.

 

 깨어있는 마음으로 잘못된 이해를 극복하고,

 바른 이해를 지닌 상태에깨어있는 마음으로 지내고 있을 때,

 그는 바른 마음챙김(正念 ; 일곱번 째 덕목)을 닦는 것이다.

 



 따라서 바른 이해(正見)를 포함해서 항상 짝을 이루어 동반되는 세 가지 덕목이 있다.

 

 바른 이해(正見),

 바른 노력(正精進),

 바른 마음챙김(正念)

 

 그 세 가지이다."


中部』117『四十大經』MN III, 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