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이해(邪見)를 잘못된 이해라고 알고,
바른 이해(正見)를 바른 이해라고 알면서,
'바른 이해'(첫번 째 덕목)를 닦는다.
잘못된 이해를 극복하고
바른 이해를 일으키기 위해서 노력하는 가운데,
바른 노력(正精進 ; 여섯번 째 덕목)을 닦는다.
깨어있는 마음으로 잘못된 이해를 극복하고,
바른 이해를 지닌 상태에서 깨어있는 마음으로 지내고 있을 때,
그는 바른 마음챙김(正念 ; 일곱번 째 덕목)을 닦는 것이다.
따라서 바른 이해(正見)를 포함해서 항상 짝을 이루어 동반되는 세 가지 덕목이 있다.
바른 이해(正見),
바른 노력(正精進),
바른 마음챙김(正念)이
그 세 가지이다."
'식진암(識盡庵) > 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Ⅱ-4-1-13. 존재하는 현상의 세 가지 특성(三法印) (0) | 2012.01.30 |
---|---|
Ⅱ-4-1-12. 정견(正見) - 사성제四聖諦)로 '나'를 바로 봄 (0) | 2012.01.29 |
Ⅱ-4-1-10. 두 가지 바른 견해 - 세간정견(世間正見)/출세간정견(出世間正見) (0) | 2012.01.29 |
Ⅱ-4-1-9. 괴로움의 소멸로 들어가는 이들 - 사향사과(四向四果)/사쌍팔배(四雙八輩) (0) | 2012.01.28 |
Ⅱ-4-1-8. 이치에 맞는 사유 - 사성제(四聖諦) (0) | 2012.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