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찟따여, 예를 들면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되고,
응유로부터 생 버터가 되고,
생 버터로부터 정제된 버터가 되고,
정제된 버터로부터 최상의 버터가 되는 것과 같다.
우유가 되어 있을 때에는
응유라는 이름을 결코 얻지 못한다.
생버터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정제된 버터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최상의 버터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그때에는 오직 우유라는 이름만 얻을 뿐이다.
응유가 되어 있을 때에는
우유라는 이름을 결코 얻지 못한다.
생버터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정제된 버터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최상의 버터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그때에는 오직 응유라는 이름만 얻을 뿐이다.
생버터가 되어 있을 때에는
우유라는 이름을 결코 얻지 못한다.
응유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정제된 버터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최상의 버터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그때에는 오직 생버터라는 이름만 얻을 뿐이다.
정제된 버터가 되어 있을 때에는
우유라는 이름을 결코 얻지 못한다.
응유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생버터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최상의 버터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그때에는 오직 정제된 버터라는 이름만 얻을 뿐이다.
최상의 버터가 되어 있을 때에는
우유라는 이름을 결코 얻지 못한다.
응유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생버터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정제된 버터라는 이름도 결코 얻지 못한다.
그때에는 오직 최상의 버터라는 이름만 얻을 뿐이다."
53.
"찟다여, 그와 마찬가지로
거친 자아의 획득이 있을 때에는
마음으로 이루어진 자아의 획득이라는 명칭을 결코 얻을 수가 없고
물질이 아닌(無色) 자아의 획득이라는 명칭도 결코 얻을 수가 없으며
그때에는 오직 거친 자아의 획득이라는 명칭만을 얻게 된다.
찟따여,
마음으로 이루어진 자아의 획득이 있을 때에는
거친 자아의 획득이라는 명칭은 결코 얻을 수가 없고
물질이 아닌 자아의 획득이라는 명칭도 결코 얻을 수가 없으며
그때에는 오직 마음으로 이루어진 자아의 획득이라는 명칭만을 얻게 된다.
찟따여,
물질이 아닌 자아의 획득이 있을 때에는
그에게 거친 자아의 획득이라는 명칭은 결코 얻을 수가 없고
마음으로 이루어진 자아의 획득이라는 명칭도 결코 얻을 수가 없으며
그때에는 오직 물질이 아닌 자아의 획득이라는 명칭만을 얻게 된다."
찟따여,
이런 자아의 획득들은
세상의 일반적인 표현이며,
세상의 언어이며,
세상의 인습적 표현이며,
세상의 개념이다.
여래는 이런 것을 통해서
집착하지 않고 표현할 뿐이다."
'디가니까야(長部) > D9.뽓타빠다경-인식과 자아, 자아 획득과 버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後記: 뽓타빠다경을 마치며 (0) | 2012.03.07 |
---|---|
26. 찟다 존자의 귀의와 성취 (0) | 2012.01.09 |
24. 그때는 그때의 自我만을 획득하고, 그때 그에게는 그것만이 진실이며, 거기에 맞는 명칭(인습적 표현)만을 얻게된다. (0) | 2012.01.08 |
23. 세 가지 자아의 획득이 무엇인지 알고 보며, 그 버림을 위해 법을 설하심. (0) | 2012.01.08 |
※ 존재들의 거주처 31곳 - 그러나 五蘊, 12處, 18界 (0) | 2012.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