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굿따라니까야3 251

A2.12.1 발원 경1: 나도 사리뿟따와 목갈라나처럼 되기를!

제12장 발원 품(A2:12:1~11)     Ayacana-vagga      발원 경1(A2:12:1)     Ayacana-sutta      "비구들이여,       신심 있는 비구가 바르게 원한다면 이렇게 원해야 한다.      '나도 사리뿟따와 목갈라나처럼 되기를!'       비구들이여,       이들은 내 비구 제자들의 모범이고 표준이니       다름 아닌 사리뿟따와 목갈라나이다."

A2.11.9 조건 경4: 정법을 듣는 것 & 지혜롭게 마음에 들임 → 바른 견해를 일으키게 한다

"비구들이여, 두 가지 조건은 바른 견해를 일으키게 한다.       어떤 것이 둘인가?       다른 자의 소리를 듣는 것과       지혜롭게 마음에 잡도리함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조건은 바른 견해를 일으키게 한다."          * "다른 사람 곁에서 정법을 듣는 것(saddhamma-savana)이다." (Ibid)

A2.11.8 조건 경3: 정법이 아닌 것을 듣는 것 & 지혜 없이 마음에 들임 → 삿된 견해를 일으킨다

"비구들이여, 두 가지 조건은 삿된 견해를 일으키게 한다.       어떤 것 이 둘인가?       다른 자의 소리를 듣는 것과       지혜 없이 마음에 잡도리함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조건은 삿된 견해를 일으키게 한다."          *"다른 사람 곁에서 정법이 아닌 것을 듣는 것(assaddhamma-savana)           이다."(AA.ii.157)

A2.11.5 사람 경4: 얻는 족족 쌓아두지 않는 자/얻는 족족 베풀지 않는 자 _ 쉽게 만족한다

"비구들이여, 두 부류의 사람은 쉽게 만족한다.       어떤 것이 둘인가?        얻는 족족 쌓아두지 않는 자와       얻는 족족 [모두 타인에게] 베풀지 않는 자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부류의 사람은 쉽게 만족 한다."           * 얻는 족족 베풀지 않는 자:           "얻은 것을 모두 남에게 주지 않고             자기가 필요한 만큼 두고 남에게 주는 것을 뜻한다." (AA.ii.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