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비구는 산란한 마음으로 공양을 해서는 안 된다.
Sati를 두고 고마운 마 음으로 먹어야 한다.
A monk must not eat meals with mind wandering about.
Must eat with care and respect.
32. 두리번거리면서 공양을 해서는 안 된다. 눈은 발우에 맞추어야 한다.
Must not eat meals with eyes roving about. Eyes should be focused on the
alms bowl.
33. 좌차순(座次順)으로 공양하여야 한다. 마음대로 음식을 퍼서는 안 된다.
Must eat meals in serial order. Must not pick up food randomly.
34. 밥보다 많은 카레를 먹어서는 안 된다. 밥 4에 카레는 1이다.
Must not eat more curry than its proportion to rice. 4 parts of rice to 1
part of curry.
35. 밥을 발우에 담아두고 가운데부터 먹으면 안 된다. 가장자리에서부터 먹어야 한다.
Must not eat meals by pilling the rice at the central part of the bowl into a heap, and eating from this part. Meals should be eaten accordingly from
the side.
36. 카레를 밥으로 덮어두고 더 많은 카레를 먹어서는 안 된다.
Must not eat meals by hiding the curry with rice, so as to eat more curry.
37. 자신의 배당 량 보다 더 많은 음식을 요구해서는 안 된다. 아픈 비구가 있다면 제외한다.
Must not ask food for his own benefit and eat it. Pardonable if the monk is sick.
38. 남의 결점을 찾기 위하거나 우스개 거리를 만들기 위해 다른 비구의 발우를 들여다봐서는 안 된다.
Must not look into other monk's alms bowl with an intention of finding fault or making fun.
39. 한 입에 너무 많은 밥을 넣어서는 안 된다. 닭의 알과 공작의 알 사이의 크기가 적당하게 한 입에 넣을 수
있는 양(量)이다.
Must not take in large mouthfuls of food. Each mouthful of food should be
between the size of a hen's egg and the size of a peacock's egg.
40. 한 입 분량에 맞게 둥글게 만들어 먹어야 한다.
Must take in a round mouthful of food.
'Vinaya-비구 227계(戒) > 7. Sekhiya 75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공양작법에 관한 戒 (Surusuru Section/rules on table manners) (0) | 2015.08.15 |
---|---|
5. 공양작법에 관한 戒 (Kabala Section/rules on table manners) (0) | 2015.08.15 |
3. 품위 있는 행동에 관한 戒 (Khambhakata Section/rules on gentle gesture) (0) | 2015.08.15 |
2. 言行에 관한 戒 (Ujjagghika Section/rules on verbal and action) (0) | 2015.08.15 |
1. 바른 옷매무새에 관한 戒(Parimandala Section/rules on dressing evenly) (0) | 201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