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비구들이여,
여래는 이전의 삶과 이전의 존재와 이전의 거주처에서 인간으로 태어나서
대중의 섭수에 대해서 생각하면서
'이 자는 이것에 적합하고 저 자는 저 것에 적합하다.'고 고르게 알고 스스로 알았으며
인간을 알고 인간의 차이점을 알았다.
그는 그런 업을 지었고, 쌓았고, 넘치게 하였고, 풍부하게 하였기 때문에
몸이 무너져 뒤 좋은 곳(善處)이나 천상에 태어났다.
그는 거기서 다른 신들보다 열 배나 더 많이
하늘의 수명과, 하늘의 행복과, 하늘의 명성과, 하늘의 권위와,
하늘의 형상과, 하늘의 소리와, 하늘의 냄새와, 하늘의 맛과, 하늘의 감촉을 누렸다.
그는 거기서 죽어 여기에 와서는
니그로다 나무처럼 몸 모양이 둥글게 균형을 잡았고,
꼿꼿이 서서 굽히지 않고도 두 손바닥으로 두 무릎을 만지고 문지를 수 있는
이런 대인상을 얻었다."
2.2
"그는 이런 상을 구족하여
만일 그가 재가에 머물면 전륜성왕으로
정의로운 분이요 법다운 왕이며 사방을 정복한 승리자여서
나라를 안정하게 하고 일곱 가지 보배(七寶)를 두루 갖추게 된다.
그에게는 이런 일곱 가지 보배들이 있으니
윤보(輪寶), 상보(象寶), 마보(馬寶), 보배보(寶貝寶), 여인보(女人寶), 장자보(長子寶),
그리고 주장신보(主臧臣寶)가 일곱 번째이다.
천 명이 넘는 그의 아들들은 용감하고 훤칠하며 적군을 정복한다.
그는 바다를 끝으로 하는 전 대지를 징벌과 무력을 쓰지 않고 법으로써 승리하여 통치한다.
왕이 되면 무엇을 얻는가?
부자가 된다.
그는 큰 재물과 큰 재산을 가졌으며
수 많은 금은과 수많은 즐길 거리와 수많은 재물과 곡식을 가졌으며
그의 창고와 곳간은 가득 차있다.
왕이 되면 이것을 얻는다.
그런데 만일 그가 집을 나와 출가하면
아라한·정등각이 되어 세상의 장막을 벗겨 버린다.
부처가 되면 무엇을 얻는가?
부자가 되어 (다음과 같은) 큰 재물과 큰 재산을 가진다.
그에게는 이런 재물이 있나니 즉,
1) 믿음의 재물,
2) 계의 재물,
3) 양심의 재물,
4) 수치심의 재물,
5) 배움의 재물,
6) 베풂의 재물,
7) 통찰지의 재물
이다.
부처가 되면 이것을 얻는다.
세존께서는 이 뜻에 대해서 (게송으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2.3
여기에 대해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교해 보고 고찰해 보고 생각해 본 뒤에
대중의 섭수에 대해서 생각하면서
이 자는 이것에 적합하고 이렇고 저렇다고
전생에 인간의 차이점을 판단하는 자였다.
(그런 업으로 금생에는) 땅에 서서 굽히지 않고도
두 손바닥으로 두 무릎을 만지고
몸 모양이 둥글게 균형이 잡혔나니
잘 지은 업의 과보가 남음에 의해서이다.
많고 다양한 징표와 상을 아는
아주 현명한 사람들은 설명하였다.
재가자들에게 가치가 있는 많고 다양한 것들을
어린 아이일 때 이미 얻게 될 것이며
재가자들에게 어울리는 많은 것이 있게 될 것이다.
만일 모든 감각적 욕망의 즐거움을 버려 (출가하면)
최상이요 최고인 위없는 재물을 얻게 될 것이다."
'디가니까야(長部) > D30.삼십이상경-업의 과보와 상(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13) 섬세한 미각: 중생을 해코지 하지 않음 / 조화롭고 정진을 감내하는 소화기능 (0) | 2014.03.14 |
---|---|
14. 12) 윗몸이 사자와 같고, 어깨가 잘 뭉쳐졌고, 등이 편평하고 곧음: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평안을 바램 / 성취한 것을 앓지 않음 (0) | 2014.03.14 |
12. 10) 음경이 감추어진 것이 말과 같음: 살다 헤어진 친지 동료를 다시 만남 / 많은 아들을 얻음 (0) | 2014.03.14 |
11. 9) 몸이 황금색이어서 자마금과 같음: 화내지 않음 / 섬세한 옷감을 얻음 (0) | 2014.03.14 |
10. 8) 살과 피부가 부드러워 더러운 것이 몸에 붙지 않음: 법을 질문함 / 위없는 통찰지 (0) | 2014.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