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벗이여, 고귀한 제자는,
온전치 못함[不善]과 온전치 못함의 뿌리[不善根]에 대해서 알고 있고,
온전함[善]과 온전함의 뿌리[善根]에 대해서 알고 있다.
벗이여,
바로 이와 같은 이유에서
고귀한 제자는 바른 이해가 있는 것이며,
진리(法)에 대해서 흔들리지 않는 청정함을 갖추고 있는 것이며,
이 정법(正法)에 이른 것이다.
벗이여,
온전치 못함과 온전치 못함의 뿌리란 무엇인가?
온전함과 온전함의 뿌리란 무엇인가 ?
먼저 온전치 못함(不善)이란 무엇인가 ?
[신체 행위(身業)]
(1) 생명을 해치는 것은 온전치 못함이다.
(2) 주지 않는 것을 취하는 것은 온전치 못함이다.
(3) 잘못된 성적인 관계는 온전치 못함이다.
[언어 행위(口業)]
(4) 거짓말하는 것은 온전치 못함이다.
(5) 남을 이간시키는 말은 온전치 못함이다.
(6) 거치른 말은 온전치 못함이다.
(7) 꾸며서 하는 말은 온전치 못함이다.
[마음의 행위(意業)]
(8) 탐욕은 온전치 못함이다.
(9) 악의는 온전치 못함이다.
(10) 삿된 견해는 온전치 못함이다.
벗이여,
이것들을 온전치 못함[不善]이라고 한다.
이 열 가지 법을 온전치 못한 행위의 길이라고 한다.
온전치 못함의 뿌리[不善根]란 무엇인가 ?
성냄[瞋]이 온전치 못함의 뿌리이며,
어리석음[痴]이 온전치 못함의 뿌리이다.
벗이여,
온전함(善)이란 무엇인가 ?
[신체 행위(身業)]
(1) 생명을 해치지 않는 것은 온전함이다.
(2) 주지 않는 것을 취하지 않는 것은 온전함이다.
(3) 잘못된 성적인 관계를 하지 않는 것은 온전함이다.
[언어 행위(口業)]
(4) 거짓말을 하지 않는 것은 온전함이다.
(5) 남을 이간시키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은 온전함이다.
(6) 거치른 말을 하지 않는 것은 온전함이다.
(7) 꾸며서 하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은 온전함이다.
[마음의 행위(意業)]
(8) 탐욕이 없는 것은 온전함이다.
(9) 악의가 없는 것은 온전함이다.
(10) 바른 견해는 온전함이다.
벗이여,
이것들을 온전함[善]이라고 한다.
이 열 가지 법을 온전한 행위의 길이라고 한다.
벗이여,
온전함의 뿌리[善根]란 무엇인가 ?
성냄이 없음[無瞋]이 온전함의 뿌리이며,
어리석음이 없음[無痴]이 온전함의 뿌리이다.
'식진암(識盡庵) > 붓다의 말씀-The Word of the Buddha'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Ⅱ-4-1-4. 부적절한 질문 - 말룽키야풋타小經 (0) | 2012.01.28 |
---|---|
Ⅱ-4-1-3. 법의 세 가지 특성(三法印)에 대한 앎 (0) | 2012.01.28 |
Ⅱ-4-1-1. 바른 이해(正見) - 네 가지 고귀한 진리(四聖諦)를 앎 (0) | 2012.01.28 |
Ⅱ-4-0-2.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의 고귀한 진리(苦滅道聖諦) - 팔정도(八正道, 八支聖道) (0) | 2012.01.28 |
Ⅱ-4-0-1.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의 고귀한 진리(苦滅道聖諦) - 두 극단과 중도(中道) (0) | 2012.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