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진암(識盡庵)/마음의 다함

불가촉천민 수니타가 세존을 뵙고 공부하여 법을 얻다.

이르머꼬어리서근 2011. 2. 19. 18:35

 

http://blog.naver.com/nelect/50015957046 의 초전법륜님께 감사드립니다. ((()))

 

 

 

삼보에 귀의하옵고

 

암베드카르박사의 개종에 대한 글을 쓰면서 단편적으로 읽었던

 

수니타 장로의 게송을 최근에 장로게를 읽으면서 직접 모두 읽게 되었다.

 

나무석가모니불

 

 

 

 

 

 
 


부처님 당시의 아라한 장로들의 게송을 담은 <테라가타〉 620에는

천한 가업에 종사했던 수니타장로가 세속에 있었을 때의 일을 회상하는 내용이 있다.

 

나는 천박한 집안에 태어났으며, 가난하고 재산이 없었다.

 점점 직업이 비루해져 마침내는 더러운 물건을 청소하는 사람이 되었다.

 사람들은 나를 기피하고 싫어했으며, 심지어는 경멸하고 모욕했다.

 

 나는 마음이 비루해져 많은 사람들에게 절하게 되었다.

 

 그런데 어느 날 부처님께서 많은 승려들에게 둘러싸여

 마가다국의 최대도시인 수도 왕사성에 들어오는 것을 보고

 마음에 희열을 느껴 출가하게 되었다”고 나온다.
 

 

 

 

테라가타(theragatha, 장로게) 12게집 2. 수니타 장로게(Sunītattheragāthā)

- 테라가타.620~631

 

 

620. 내 미천한 집에서 태어나

       사람이 구차하고 곤궁했나니

       내 직업은 천한 것이어서

       쓰레기 ·똥 치는 소제부였다.

 

 

621. 사람들에게는 꺼림을 받았고

       또 욕설과 꾸지람을 받았다.

       그러나 나는 마음을 낮추어

       모든 사람을 예경했었다.

 

 

 

622. 때에 나는 저 대각자(大覺者)·대웅자(大雄者)가

       비구들에게 둘러싸이어

       마갈타 나라의 가장 큰 도시로

       들어오시는 것을 받들어 뵈었다.

 

                                                        주)대각자.sambuddha 대웅자mahāvīra

 

623. 내 쓰레기통을 던져 버리고

       예배하러 가까이 갔더니

       사람 가운데 가장 높은 어른은

       나를 가엾이 여겨 세우셨었다.

 

 

624. 그래서 나는 스승님 발에

       예배 드리고 한 쪽에 서서

       모든 중생 중에서 가장 높은 이에게

       집을 떠나올 허가를 구했다.

                                                        주) 모든 중생 중에서 가장 높은 이: sabbasattānamuttama

 

 

625. 그래서 저 비민(悲愍)의 스승님,

       일체 세간의 자애자(慈哀者)는

       내게 비구여, 오라고 말씀하셨나니

       이것이 나의 계(戒) 받은 것이었다.

 

 

                                                         625. “Tato kāruniko satthā, sabbalokānukampako;

                                                                  ‘ehi bhikkhū’ti mam* āha, sā me āsūpasampadā.

 

626. 그때부터 나는 게으름 없이

       오직 혼자 숲 속에 있으면서

       스승님의 말씀 그대로 행했다.

       승리자의 가르치신 그대로 행했다.

 

 

                                                        주) 승리자 jina

 

627. 초저녁에는 전생 일 생각하고

       한밤 중에는 하늘눈을 맑게 하고

       그리고 새벽에 이르러서는

       어둠의 온(蘊)을 부숴 버렸다.

 

                                                        627. “Rattiyā pathamam yāmam, pubbajātimanussarim;

                                                                  rattiyā majjhimam yāmam, dibbacakkhum    

                                                                 visodhayim ;

                                                                 rattiyā pacchime yāme, tamokhandham padālayim.

 

 

628. 그 다음부터는 밤이 되었다가

       이튿 날 아침 해 뜰 때가 되면

       인타라와 범천(梵天)은 내게 와

       합장하고 예배했었다.

 

 

                                                      주) 인타라. 제석천

 

 

629. 인간 중에서 생(生)이 훌륭한 사람, 당신에게 귀명합니다.

       인간 중에서 최상인 사람, 당신에게 귀명합니다.

       당신의 모든 번뇌 다했나니

       높은 이여, 당신은 넉넉히 공양 받으리이다.

 

 

 

                                                       629. “‘Namo te purisājañña, namo te purisuttama;

                                                                yassa te āsavā khīnā, dakkhineyyosi mārisa’.

 

630. 그 때에 스승님은

       내가 천신들에게 둘러싸인 것을 보고

       미소를 지우시며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631. 고행(苦行)과 범행(梵行),

       자제(自制)와 조순(調順),

       그러므로 사문이다.

       이를 최상의 사문이라 한다.

 

 

                                                     631. “‘tapena brahmacariyena, sam*yamena damena ca;

                                                              etena brāhmano hoti, etam* brāhmanamuttama”n’ti.

 

 

 

 

 

주) 부처님은 전법 초기에 바라문에 비유한 표현을 많이 사용하였다.

      역시 초기경인 숫타니파타에도 ~이러한 사람이 바라문이다.라는 구절이 많이 나온다.

      위의 게송에서의 구절도 바라문이나 사문으로 바꾸었다.